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8504(Print)
ISSN : 2287-8165(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Vol.35 No.3 pp.179-183
DOI : https://doi.org/10.12719/KSIA.2023.35.3.179

‘Hanabell’, ornamental Crabapple Cultivar with Good Floral Scent

Young Soon Kwon, Jeong-Hee Kim, Jong Taek Park
Apple Research Institute,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Gunwi 39110, Korea
Corresponding author (Phone) +82-54-380-3132 (E-mail) peat1004@korea.kr
June 5, 2023 July 8, 2023 July 10, 2023

Abstract


'Hanabell' is a new ornamental crabapple cultivar bred in 2020 at the Apple Research Institute,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It was selected from seedlings obtained through the open-pollination of Malus baccata collected from Mt. Palgong, Gunwi-gun, and Gyeongsangbuk-do. Line selections were conducted from 2009 to 2016, and characteristic tests were evaluated from 2017 to 2019. The tree vigor and form of 'Hanabell' were determined to be medium and spreading, respectively. The flowering season of 'Hanabell' starts on April 17th and ends on May 2nd, lasting approximately 15 days. The size of 'Hanabell' flowers is approximately 48 mm, larger than that of general apple flowers, and they have a high ornamental value due to the abundance of blooms each year. Furthermore, 'Hanabell' possesses a distinct floral scent that releases a significant amount of benzyl acetate (C9H10O2) into the air during flowering, attracting bees. Subsequently, 'Hanabell' was officially submitted for variety protection to the KoreaSeed & Variety Service in 2021(Applicationno.2021-144).



진한 꽃향기가 있는 관상용 꽃사과 ‘하나벨’ 육성

권영순, 김정희, 박종택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사과연구소

초록


    서 언

    꽃사과(Malus spp.)는 사과나무속(genus Malus.)의 다양한 야생종으로 유래된 직경 5cm 미만의 과실을 가지는 사과나무 의 일반명이다(Jiang et al., 2020;Guo et al., 2009). 꽃사과 의 꽃은 홑꽃, 반겹꽃, 겹꽃의 형태와 흰색, 분홍색, 빨간색, 보 라색 등 아름다운 색을 가지고 있다. 나무 자람세는 무측지형, 직립형, 개장형, 하수형 등 다양하며 과실의 색깔도 노란색, 빨 간색, 주황색, 분홍색, 녹색으로 다양하다(UPOV, 2003;Xu et al., 2021). 또한 병해충에 강하고 환경적응성이 높아 관상 및 조경용으로 이점을 가지고 있다(Cho et al., 2021). 사과나 무속은 25~47종으로 알려져 있으며 사과나무속 내 종간교배 가 매우 쉽다(Phipps et al., 1990). 현재의 재배종 사과(M. domestica Borkh.)는 오랜시간을 거친 야생종의 종간교배를 통 해 유래되었다(Kumar et al., 2019). 관상용 꽃사과는 꽃과 과 실의 색상, 모양, 형태, 지속기간 등 관상가치에 주요한 목표가 있다. 최근 중국은 꽃사과 육종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개발된 다양한 꽃사과 신품종을 보고하고 있다. 주로 야생종 꽃사과를 모본으로 한 방임수분의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교잡육종 및 방사선 조사를 통한 돌연변이 육종으로 신품종을 개발하기도 하였다(Fan et al., 2019: Wang et al., 2021;Zhou et al., 2019). 국내의 꽃사과 품종 육성은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사과연 구소에서 주로 수행 중이며 무측지성 ‘팅커벨’(Kwon et al., 2016), 분홍색의 겹꽃 ‘로즈벨’(Kwon et al., 2013), 황색 열매 를 감상할 수 있는 ‘골든벨’(Kwon et al., 2013), 꽃가루양이 많은 수분수용 ‘버디벨’(Kwon et al., 2022) 등 7품종을 개발 하여 국립종자원에 품종보호등록 하였다. 그 외 Ha & Shim(1995)이 수분수용 꽃사과품종을 교잡과 방임수분을 이용 하여 개발한 바 있다. 최근 중국에서 꽃사과 신품종 개발을 보고한 것 외에 국제적으로 꽃사과 품종개발이 활발히 진행되 고 있지는 않지만 정원, 공원, 가로수용으로 관상용 꽃사과 품 종에 대한 수요는 꾸준하다. 따라서 최근 국내에서 개발된 흰 색의 큰 꽃이 풍성하고 개화기간이 길며 진한 꽃향기가 나는 관상용 ‘하나벨’의 육성 경위와 주요 특성을 보고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시험수 양성

    2002년 경상북도 군위군 팔공산에서 야광나무(M. baccata) 의 가지를 수집하여 2003년 실생대목에 접목 후 육묘장에서 묘목을 양성하였다. 2004년 경상북도 군위군 소보면에 위치한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사과연구소(36°16′N, 128°27′E, 해발고도 71m)의 다양한 사과나무속 야생 수집종(M. asiatica, M. baccata, M. floribunda, M. pumila)이 있는 시험연구포장에 식재하여 모수로 활용하였다. 2008년 자연방임수분에 의해 착 과 된 과실로부터 종자를 채종한 후 물에 씻어 건조하고 층적 저장하였다. 플라스틱상자(W52×L37×H32cm)에 항습처리 된 버미큘라이트((주)신성미네랄, Korea)를 채우고 종자를 넣어 비 닐로 밀봉 후 0~2°C 저온저장고에 3개월 처리하여 휴면을 타 파하였다. 2009년 3월 105구 육묘트레이(영광, Korea)에 원예 용 상토((주)신성미네랄, Korea)를 채우고 종자를 하나씩 파종 하여 유리온실에서 실생 유묘를 생육시켰다. 본엽이 5매 정도 전엽되면 육묘용 화분(D10×H16cm)으로 이식하여 노지로 옮 기고 낙엽이 진 후 접수를 채취하였다. 채취한 접수는 2010년 실생대목에 접목 후 육묘장에서 묘목을 양성하였다. 2011년 15개의 실생 묘목을 시험연구포장에 4×2m 간격으로 정식하 였다. 대조품종은 실생대목에 접목한 ‘만추리안’으로 하였다.

    특성 조사

    2018년부터 2020년까지 국제식물신품종보호협회 조사기준 (UPOV, 1994)과 농업과학기술 연구조사분석기준(RDA, 2012) 에 따라 나무, 엽, 꽃, 과실 및 개화 특성을 조사하였다.

    화분량 조사

    화분량은 ‘하나벨’, ‘메이폴’, ‘만추리안’의 충분히 성숙한 풍 선기 꽃봉오리 1,000화로부터 꽃밥을 채취하여 25°C에서 24 시간 개약시킨 후 화분의 중량을 3반복 조사하였다.

    향기 분석

    ‘하나벨’ 꽃의 향기성분 분석은 Kim et al(2014)의 연구를 참고하여 SPME법으로 분석하였다. 2018년 4월 17일 개화 된 꽃 5개를 20mL vial에 담아 60분간 SPME fiber (65μm PDMS/DVB, sigma)에 향기성분을 흡착시킨 후 GC-MS (Agilent 7890B, Agilent Technologies, CA, USA)를 이용하 여 향기성분을 정성분석 하였다. SPME fiber를 GC 주입구에 5분간 탈착시켜 사용하였고, GC column은 HP-5MS UI (30 m×0.25 mm×0.25 μm)로 유속은 1.3mL·min−1 였다. 초기 오븐 온도는 50°C에서 1분간 유지한다음 150°C까지 승온하면 서 성분을 분리시키고 5분 간격으로 300°C까지 총 140분 분 석하였다.

    결과 및 고찰

    육성 경위

    관상용 꽃사과 품종개발 수요에 대응하기 위하여 2002년 경 상북도 군위군 팔공산에서 수집한 야생 야광나무(M. baccata.) 를 모수로 증식하여 자연방임수분 하였다. 이후 얻은 15개의 실생계통 중 꽃의 관상가치가 높고 진한 향이 있으며 개화기 간이 긴 ‘KP-PG-4 OP’를 2016년 1차 선발하고, 2017년부터 2019년까지 특성조사 후 2020년 ‘하나벨(Hanabell)’로 명명하 여 최종선발하였다(Fig. 1). 2021년 국립종자원에 품종보호출 원 하였다.

    주요 특성

    2017년부터 2019년까지 경북 군위지역에서 조사한 ‘하나벨’의 주요 특성은 다음과 같다. ‘하나벨’의 수세는 중간정도이며 수자 는 개장형이다. ‘하나벨’의 엽신 길이와 너비는 각각 107 mm, 52 mm로 ‘만추리안’(91 mm, 50 mm)에 비해 큰 편이며, 엽병 길이는 26mm로 ‘만추리안’(40 mm) 보다 짧은 편으로 차이가 있었다(Table 1). 재식 5년차 수고는 346 cm, 수폭은 304 cm 로 실생대목에 접목하여도 일반적인 사과나무처럼 크게 자라 지 않았으며, 나무모양이 둥근 원형에 가까워 가로수나 조경용 으로서 관상 가치가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Table 2, Fig. 2).

    ‘하나벨’은 ‘만추리안’에 비해 개화시기가 느리고 개화기간 은 길며, 꽃의 크기는 더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Table 3). 개 화시는 4월 17일, 만개기는 4월 21일, 개화종은 5월 2일로 총 개화기간은 15일 정도였다. 꽃의 크기는 48mm로 일반적 인 사과 꽃에 비해 큰 편이며 풍선기에는 분홍색, 만개기에는 흰색이다(Fig. 2). ‘하나벨’은 매년 개화량이 많고, 흰색의 큰 꽃을 오랜기간 감상할 수 있어 관상용으로 적합한 특성을 보 유하고 있다.

    ‘하나벨’의 과실은 0.9g으로 크기가 매우 작고, 8월 하순경 부터 착색이 시작되어 과피 전체가 붉게 전면착색된다(Fig. 2). 과총 당 과실수는 5개이며, 과경의 길이는 38mm로 긴 편이 다. 과실이 착색되는 시기부터 낙과되는 시기까지의 기간은 ‘만추리안’은 40일 정도이나, ‘하나벨’은 120일 정도로 매우 길어 붉은 색의 과실을 오랜기간 감상할 수 있다. ‘하나벨’은 단과지, ‘만추리안’은 중과지에 착과되는 차이가 있다(Table 4).

    ‘하나벨’의 풍선기 꽃봉오리 1,000화 당 화분량은 32mg으 로 매우 적었다(Table 5). 수분수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메이 폴’은 446mg, ‘만추리안’은 477mg으로 ‘하나벨’에 비해 14~15배 이상 많은 화분량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화분량이 매우 적은 ‘하나벨’은 다른 품종의 수분수로 활용하기는 어려 울 것이다.

    개화 된 ‘하나벨’ 꽃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한 결과 총 13종의 물질이 동정되었다(Table 6). 13종의 물질 중 40.6%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한 benzyl acetate (C9H10O2)는 달콤하 고 상쾌한 향기를 발생하며 꿀벌을 유인하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Schiestl & Roubik, 2003). 사과, 자두와 같은 과일에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과일향이 나는 성분인 hexyl acetate (C8H16O2)도 2.9% 포함되어 있었다(Gomez & Ledbetter, 1994).

    재배상 유의점

    ‘하나벨’은 꽃가루가 적어 다른 사과품종의 수분수로 활용될 수 없다. 시험기간 중 사과 주요 병해충인 갈색무늬병, 점무늬 낙엽병, 탄저병, 노린재 피해는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병해 충 발생 시에는 일반 사과에 적용되는 약제를 기준으로 방제 하도록 한다. ‘하나벨’은 실생대목을 사용하여도 일반적인 사 과나무처럼 크게 자라지 않았다. 왜성대목을 사용한다면 동일 면적 내에 더 많은 묘목이 필요하게 되므로 관상 목적 및 활 용 방법에 따라 사용할 대목과 재식 주수를 고려하여 묘목을 생산하는 것을 추천한다.

    유용성

    관상용 꽃사과 ‘하나벨’은 품종보호권 설정을 위해 2021년 국립종자원에 품종출원(출원번호: 2021-144)을 실시하고, 임시 보호권 획득 후 종묘업체에 보급 중이다.

    적 요

    ‘하나벨’은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사과연구소에서 2020년 육 성한 관상용 꽃사과 신품종이다. 경상북도 군위군 팔공산에서 수집한 Malus baccata의 자연방임수분에 의하여 획득한 종자 로부터 선발되었다. 2009년부터 2016년까지는 계통선발을 실 시하였고, 2017년부터 2019년까지 특성검정을 실시하였다. ‘하나벨’의 수세는 중간정도이며 수자는 개장형이다. 개화시는 4월 17일, 개화종은 5월 2일로 개화기간은 약 15일 정도로 길 다. ‘하나벨’ 꽃의 크기는 48mm로 일반적인 사과 꽃에 비하 여 크고 매년 개화량이 많아 관상가치가 아주 높다. 개화 된 ‘하나벨’ 꽃은 진한 향기를 풍기는데, 꿀벌을 유인하는 물질인 benzyl acetate (C9H10O2)가 다량 포함 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나벨’은 2021년 국립종자원에 품종보호 출원을 완료하였다 (출원번호: 2021-144).

    ACKNOWLEDGMENTS

    본 연구는 농촌진흥청의 농업과학기술개발연구과제(과제번 호: PJ01194003)의 지원에 의해 이루어진 것입니다.

    Figure

    KSIA-35-3-179_F1.gif

    Pedigree diagram of ‘Hanabell’ crabapple cultivar.

    KSIA-35-3-179_F2.gif

    Tree shape, flower, leaf and fruit of ‘Hanabell’ crabapple cultivar.

    Table

    Tree and leaf characteristics of ‘Hanabell’ at Gunwi, Korea from 2017 to 2019.

    ZValues are means±SD (n=3). Data represent the mean of 3 years of experiments (2017 to 2019).

    Tree growth of ‘Hanabell’ grafted on seedling rootstocks in the 5th year of planting.

    ZValues are means±SD (n=5).

    Flower characteristics of ‘Hanabell’ at Gunwi, Korea from 2017 to 2019.

    ZValues are means±SD (n=3). Data represent the mean of 3 years of experiments (2017 to 2019).
    yPeriod from first flowering date to last falling blossoms date.

    Fruit characteristics of ‘Hanabell’ at Gunwi, Korea from 2017 to 2019.

    ZValues are means±SD (n=3). Data represent the mean of 3 years of experiments (2017 to 2019).
    yPeriod from coloring to falling of fruits.

    The pollen amount of ‘Hanabell’, ‘Maypole’ and ‘Manchurian’.

    ZValues are means±SD (n=3).

    Volatile organic compounds of flowers in ‘Hanabell’. The flower was harvested on 17 April in 2018.

    Reference

    1. Cho, M.S. , Kim, J.H. , Yamada, T. , Maki, M. , Kim, S.C. 2021. Plastome characterization and comparative analyses of wild crabapples (Malus baccata and M. toringo): insights into infraspecific plastome variation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s. Tree Genet. Genomes. 17:41.
    2. Fan, J. , Zhang, W. , Zhang, D. , Zhou, T. , Jiang, H. , Wang, G. , Cao, F. 2019. ‘Fenghong Nichang’ Flowering Crabapple. HortScience. 54: 1260-1262.
    3. Gomez, E. , edbetter, C.A. 1994. Comparative study of the aromatic profiles of two different plum species: Prunus salicina Lindl and Prunus simonii L. J. Sci. Food. Agric. 65:111-115.
    4. Guo, L. , Fang, L.J. , Zhang, Z.S. , Shen, X. , Cao, Y. , Zhang, D.L. , Shu, H.R. 2009. AFLP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pple species, hybrids and varieties. Scientia Silvae Sinicae. 4:33-40.
    5. Ha, Y.M. , Shim., K.K. 1995. Selection of new crabapple cultivars as pollinizers for apple orchard. J. Kor. Soc. Hort. Sci. 36:281-291.
    6. Jiang, H. , Zhou, T. , Fan, J. , Zhang, D. , Zhang, L. , Sun, Y. , Zhang, W. 2020. ‘Yangzhi Yu’: A double-flowered ornamental crabapple. HortScience. 55:589-590.
    7. Kwon, S.I. , Kim, J.I. , Kim, J.H. , Shin, Y.U. , Kim, M.J. , Kweon, H.J. 2012. ‘Goldenbell’, new ornamental apple variety having a yellow skin color fruit sustainable for a long time. Kor. J. Hort. Sci. Technol. 30:141.
    8. Kwon, S.I. , Kim, M.J. , Kim, J.H. , Lee, J.W. 2013. ‘Rosebell’, new ornamental apple variety having large compound petals. Kor. J. Hort. Sci. Technol. 33:176.
    9. Kwon, S.I. , Kwon, Y.S. , Park, J.T. , Kim, M.J. , Kim, J.H. 2016. New columnar apple variety ‘Tinkerbell’ for pollinizer. Protected Hort. Plant Fac. 25:173-176.
    10. Kwon, Y.S. , Kwon, S.I. , Park, J.T. , Park, M.Y. , Kim, J.H. 2022. A new crabapple cultivar ‘Buddybell’ for pollinizer. J. Korean Soc. Int. Agric. 34:18-22.
    11. Kumar, C. , Singh, S.K. , Singh, R. , Pramanick, K.K. , Verma, M.K. , Srivastav, M. , Tiwari, G. , Choudhury, D.R. 2019. Genetic diversity and population structure analysis of wild Malus genotypes including the crabapples (M. baccata (L.) Borkh. & M. sikkimensis (Wenzig) Koehne ex C. Schneider) collected from the Indian Himalayan region using microsatellite markers. Genet. Resour. Crop Ev. 66:1311-1326.
    12. Phipps, J.B. , Robertson, K.R. , Smith, P.G. , Rohrer, J.R. 1990. A checklist of the subfamily Maloideae (Rosaceae). Can. J. Bot. 68:2209-2269.
    13. Schiestl, F.P. , Roubik, D.W. 2003. Odor compound detection in male euglossine bees. J. Chem. Ecol. 29:253-257.
    14. The International Union for the Protection of New Varieties of Plants (UPOV).2003. Guidelines for the conduct of tests for distinctness, uniformity, and stability [ornamental apple (Malus Mill.)]. UPOV. Geneve, Swizerland.
    15. Wang. X. , Huang, Y. , Tian, J. , Zhang, J. , Lu, Y. , Qin, X. , Hu, Y. , Yao, Y. 2021. A rose-red-flowered crabapple ‘Chunmei Donghong’. HortScience. 56:860-863.
    16. Xu, I. , Chen, Y. , Zhang, W. , Zhang D. 2021. ‘Luokeke Nüshi’ crabapple. HortScience. 56:1289-1290.
    17. Zhou, T. , Jiang, H. , Zhang, D. , Fan, J. , Zhang, L. , Wang, G. , Zhang, W. , Cao, F. 2019. ‘Fen Balei’ crabapple. HortScience. 54:1433-14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