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8504(Print)
ISSN : 2287-8165(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Vol.34 No.2 pp.143-148
DOI : https://doi.org/10.12719/KSIA.2022.34.2.143

Effect of Planting Date on Forage Maize Growth and Yield in Cambodia’s Wet Season

Yun-Ho Lee*, Tae-Young Hwang**
*Crop physiology and production,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181 Hyeoksin-ro, Iseo-myeon, Wanju-gun, Jeollabuk-do 55365, Republic of Korea
**Department of Crop Science, College of Agriculture, Life Science and Environment Chemistr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eongju, 28644, Korea
Corresponding author (Phone) +82-43-261-2511 (E-mail) hwangty@chungbuk.ac.kr
April 25, 2022 May 24, 2022 May 24, 2022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forage maize varieties and sowing date under wet seasons conditions and determined the effects on yield in Cambodia. In this study, the number of days from sowing to silking was approximately nine longer in May and June than in July, August, and September. The number of days from silking to harvest was seven shorter in May and June than in July, August, and September. The variety with the least decrease in ear height was ‘BT5666’, and the variety with the least decrease in ear height ration was ‘CP888’. On the other hand, in sowing days, ear height ratio decreased in September. The best sowing season in ear length, ear width, number of ears and number of grains per row was in May. In this study, ‘BT5666’ was the variety with significant decrease with a 90% reduction in yield.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yield was high during the sowing period in May and in June because of the appropriate precipitation, temperature, and solar radiation. However, August and September had significantly reduce in yield by high precipitation and low solar radiation.



캄보디아 우기 재배시 파종시기별 사료용 옥수수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이윤호*, 황태영**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작물재배생리과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식물자원학과

초록


    서 언

    사료용 옥수수(Zea Mays L.)는 에너지가 높고 섬유소 함량 이 상대적으로 낮아서 가축에 대한 기호성과 소화율이 높아 가 축 생산성이 높다(Son et al., 2009). 또한, 적기에 예취한 옥 수수는 수용성 당의 함량이 높아 사일리지 발효가 잘되어 저 장하기 쉬우며(Chung et al., 2010), 사료작물 중에서 수량이 가장 많아 배합사료 원료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Lee et al., 2004).

    캄보디아에 있어서 옥수수는 벼, 카사바 다음으로 매우 중요 한 경제 작물이다. 캄보디아 사료용 옥수수 재배는 우기(5월 ~10월)와 건기(11월~4월)로 구분하여 농업 생산성을 평가하고 있다(Stephanie and Christine, 2008). 캄보디아 우기 재배 면 적은 197,640 ha이며, 생산량은 1,101,181 ton인 반면, 건기 재배면적은 29,700 ha이고, 생산량은 130,285 ton을 기록하였 다(MAFF, 2018). 이러한 우기와 건기의 생산량 차이는 재배 면적에 기인할 수 있으나, 품종, 파종시기, 수확시기, 재배기술 등의 재배 조건과 지역, 기상, 토양 비옥도 및 토양수분 함량 등과 같은 재배환경에 의해 실제 수량 차이가 나타난다(Lee and Kim, 1986;Park et al., 1987;Chung et al., 2010;Son et al., 2011). 재배 면적이 넓은 우기 재배의 단위면적당 생산량을 최대로 높이기 위해서는 적정 재배기술과 함께 적정 파종 시기와 수확 시기가 매우 중요하다(Lee et al., 2019). 따라서 옥수수의 수량을 높일 수 있는 방법 중 하나가 옥수수 의 적기 파종이라고 하였다(Aldrich et al.,1986). 본 시험은 캄보디아에서 5월부터 10월까지 매월 사료용 옥수수를 파종하 여 우기 재배기간 생육 특성과 종실 수량 변화에 대한 적정 시기를 설정하여 단위 면적당 최대 수량을 구명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본 시험은 캄보디아 Cambodia Agricultural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CARDI) 내의 시험 포장(위도 11.4, 경 도 104.8)에서 2014년 5월 5일, 6월 5일, 7월 4일, 8월 5일, 9월 5일에 파종하였다.

    시험 품종은 국내에서 육성한 ‘광평옥’, 캄보디아 농림부 농 업국에서 육성한 ‘BT5666’, 캄보디아 품종 ‘Loeung Mongkul’ 그리고 ‘CP888’을 사용하였다. 시비량은 N-P2O-K2O=100-80- 60 kg/ha로 질소의 50%는 파종 전에 밑거름으로 처리하였으 며, 질소 25%는 파종 후 20일과 40일에 각각 웃거름으로 하 였다. 재식 거리는 75 × 25 cm로 주당 2~3립씩 파종하였고, 파종 15일 후 1주에 1개체만 남기고 솎아주었다. 우기 파종기 시험의 주요 특성 조사는 출사기, 간장 및 수량 구성과 관련 한 형질을 조사하였다. 기타 재배 관리는 농촌진흥청 옥수수 표준 재배 기준(2012)에 준하였다. 시험 구역 배치는 난괴법 3반복으로 실시하였다. 기상 자료는 캄보디아 농업개발연구소 (CARDI)로부터 제공받았다.

    통계 분석은 SAS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ver. 9.2, SAS Institute, UAS)으로 PROCANOVA procedure를 이용하여 유 의성 검정 후 Duncan의 다중 범위 검정 방법(Duncan’s multiple range test, DMRT)를 통해 평균값을 5% 유의수준에 서 비교하였다.

    결과 및 고찰

    파종 시기별 기상 환경

    우기 파종기별 기상 환경은 Table 1과 같다. 재배기간 평균 온도는 30°C로 최저 24°C에서 최고 44°C이었다. 강수량은 5 월이 47.5mm로 우기로 갈수록 높은 강수량을 기록하였다. 증 발산량은 5월과 6월이 높았으며, 우기 정점의 8월과 9월은 낮 았다. 일반적으로 캄보디아는 4월부터 건기가 끝나고 5월에서 7월사이가 이른 우기이고 8월부터 10월까지는 본격적인 우기 기간이다. 따라서 이른 우기에는 온도, 일사량 및 증발산량은 높고 강수량은 낮으나. 8월, 9월 및 10월은 많은 강수로 온도, 일사량 및 증발산량은 낮다.

    파종시기별 생물 계절

    파종기에 따른 재배기간 생물계절 변화는 Table 2와 같다. 재배 기간은 1월 1일을 1일로 하여 365일로 계산하였으며, 파종에서 출사기까지의 영양생장 기간과 출사기에서 수확 기까지의 등숙기간 그리고 파종기에서 수확기까지로 구분 하였다. 파종에서 출사기까지의 소요일 수는 5월과 6월이 각각 51일과 53일로 7월(47일), 8월(48일) 및 9월(45일)에 비하여 약 9일 정도 길었다. 국내 사일지 옥수수의 연구와 유사하게 파종기가 늦어 질수록 출사일수가 짧아지는 경향 을 보였다(Son et al., 2009).

    출사기부터 수확기까지의 소요일수는 5월과 6월이 각각 45 일과 42일로 7월(47일), 8월(46일), 9월(49일)에 비하여 7일 정 도 짧았다. 이며 파종에서 수확까지는 106~108일이 소요된다.

    우기의 파종 시기별 생육 특성

    파종시기별 옥수수 생육 특성 결과는 Table 3과 같다. 파종 시기별 간장은 7월 파종이 평균 226 cm로 가장 높았고, 착수 고는 5월 파종이 평균 106 cm로 가장 높았다. 품종에서는 ‘BT5666’이 광평옥, ‘L.M’ 및 ‘CP888’에 비하여 간장과 착수 고는 높았으며, 다른 품종들에 비하여 감소 폭이 낮았다. 착수 고의 감소폭이 가장 낮은 품종은 ‘CP888’로 최대 13%가 감 소하였다. 간장과 착수고는 수량 구성요소로서 이들의 감소는 수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감소폭이 낮은 품종을 선택하는 것이 유리 하였다(Ji et al., 2009). 한편, 착수고율은 5월 파종이 53%로 6월, 7월, 8월 및 9월 파종보다 높았으며, 우기로 갈수록 평균 착수고율은 감소하였다. 품종에서는 ‘BT5666’과 ‘CP888’이 ‘광평옥’과 ‘L.M’에 비하여 높았다. 착 수고는 도복과 밀접한 관계가 높으며 도복 발생 시 수량 손실 과 사일리지 제조 시 발효에 나쁜 영향을 준다고 하였다(Lee et al., 2004;Kim et al., 2012). 100주당 이삭수는 파종시기, 품종간에는 높은 유의성을 보였으나 파종시기와 품종간에는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100주당 이삭수는 우기로 갈수록 평균 이삭수는 감소하였다.

    파종시기별 이삭 수량 특성

    파종시기별 옥수수의 이삭 및 수량 특성은 Table 4와 같다. 5월 파종이 6월, 7월, 8월 및 9월 파종에 비하여 이삭장, 이 삭폭, 이삭열수, 이삭열 당 립수는 높았으며, 품종에서는 ‘BT5666’이 ‘광평옥’, ‘L.M’ 및 ‘CP888’에 비하여 이삭장, 이 삭폭, 이삭열수, 이삭열 당 립수가 높았다. 착립장 이삭 비율 은 5월 파종에서 9월 파종으로 갈수록 감소하였으며, 파종시 기 간에는 높은 유의성이 있었으나, 품종간, 파종시기와 품종 간에는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착립 이삭 비율이 높으면 알곡 비율이 높아지는 결과를 가져오기 때문에 사료용 옥수수 품질을 높이는데 유리하다고 하였다(Hut et al., 1992). 100립 중은 5월, 6월, 7월 파종이 높았으며, 같은 기간 ‘BT5666’이 다른 품종에 비하여 100립중이 높았다. 반면 8월과 9월 파종 은 급격히 감소하였다. 종실 수량은 5월 파종과 6월 파종이 각각 6.11 t/ha와 6.13 t/ha로 최고 수량을 보였으며, 최저 수 량은 9월 파종은 1.38 t/ha을 기록하였다. 따라서 우기로 갈수 록 종실 수량은 감소하였다. 캄보디아 우기에 사료용 옥수수 재배는 8월과 9월 보다는 5월과 6월이 종실 수량이 높다 하 였다(Lee et al., 2019). 이러한 원인은 8월과 9월의 집중 강 수가 토양 과습을 일으켜 옥수수에 습해를 일으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Aldrich et al. (1986) 의 보고에 따르면 옥수수는 전 생육기간에 많은 수분을 필요로 하지만 다른 작물에 비해 습해에 약하다고 하였다.

    옥수수 재배기간 강우량은 450~600mm 내외가 생육에 적당 하다 하였다(Min et al., 2021). 본 연구 결과 품종간에는 뚜 렷한 차이는 없었지만, 5월과 6월 파종기에는 적정 강수량과 적정 온도로 인하여 종실 수량은 높았지만 8월과 9월 파종기 는 높은 강수량과 낮은 일조로 습해가 발생하여 수량 감소가 크게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캄보디아 우기에 사료용 옥수 수의 재배 시기는 5월에서 6월 사이에 파종하는 것이 생육과 종실 수량에 좋을 것을 판단된다.

    적 요

    본 시험은 캄보디아 우기 재배의 적정 파종시기를 구명하고 자 한 시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파종에서 출사기까지의 소요일 수는 5월과 6월이 7월, 8 월 및 9월에 비하여 약 9일 정도 길었다. 출사기부터 수확기 까지의 일수는 5월과 6월이 7월, 8월, 9월에 비하여 7일 정도 짧았다

    2. 간장 감소폭이 가장 적은 품종은 ‘BT5666’이었고, 착수 고의 감소폭이 가장 적은 품종은 ‘CP888’이었다. 한편, 착고 율은 늦게 파종 할수록 낮았다.

    3. 이삭장, 이삭폭, 이삭열수 및 이삭열 당 립수에서 가장 우수한 파종기는 5월이었으며, 착립장률은 5월 파종기에서 9 월 파종기로 갈수록 감소하였다.

    4. 수량은 5월 파종기와 6월 파종기는 생육에 적당한 강수 량과 적산온도로 인하여 수량이 높았으나, 8월 파종기와 9월 파종기에서는 낮은 일사량과 높은 강수량에 의한 습해의 발생 과 적산온도의 감소에 의해 수량이 크게 감소되었다. 품종에 서는 ‘BT5666’이 90%의 수량 감소로 수량의 감소가 가장 큰 품종이었다.

    Figure

    Table

    Monthly meteorological date around the experimental periods at CARDI.

    Effect of different sowing dates on phenology in the experimental periods.

    Effect of different sowing dates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Effect of different sowing dates on ear characteristics and grain yield at maturity.

    Reference

    1. Aldrich, S.R. , Scott, W.O. , Holeft, R.G. 1986. Modern corn production (3rd ed.). A&L Publications Inc Station. Lllonois.
    2. Chung, E.S. , Jo, M.H. , Kim, J.K. , Nam, D.W. , Jin, S.J. , Jang, S.Y. , Kang, H.S. 2010. Agronomic and silage traits of corn over time. J. Kor. Grassl. Forage Sci. 30:325-332.
    3. Hunt, C.W. , Kezer, W. , Vinanade, R. 1992. Yield chemical composition, and ruminal ferment ability of corn whole plant, ear and stover as affected by hybrid. J. Pro. Agric. 5:286-290.
    4. Ji, H.C. , Kim, W.H. , Kim, K.Y. , Lee, S.H. , Yoon, S.H. , Lim, Y.C. 2009. Effect of different drained conditions on growth, forage production and quality of silage corn at paddy field. J. Kor. Grassl. Forage Sci. 29:329-336.
    5. Kim, W.S. , Hwang, J.H. , Le, J.H. , Kim, E.J. , Jeon, B.T. , Moon, S.H. , Lee, S.M. 2012. A Comparative study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nutritional components of corn hybrids for silage at paddy field cultivation. J. Kor. Grassl. Forage Sci. 32:15-28.
    6. Lee, S.S. , Yun, S.H. , Seo, J.M. , Yang, S. K. , Min, H.K. , Ryu, S.H. , Park, J.Y. , Kim, S.K. 2004. Silage productivity of Korean improved and introduced maize hybrids. J. Kor. Grassl. Forage Sci. 24:323-334.
    7. Lee, S. S. , Kim, T.J. 1986. Temperature and sweet corn production at different planting dates under polyethylene tunnel and mulch. Korean J. Crop Sci. 31:84-90.
    8. Lee, Y.H. , Seo, M.C. , Bang, J.K. 2019. Growth characteristics and grain yield under tropical monsoon climate in forage maize. Korean J. Int. Agric. 31:255-260.
    9. Min, C.W. , Kim, W.J. , Kim, D.H. , Jung, J.S. , Lee, B.H. 2021. Correlation analysis of climatic factors with forage maize (Zea mays L.) yield in Southern region of Korea. J. Agri & Life. 55:19-26.
    10. Ministry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MAFF).2018. Annual Report in Cambodia.
    11. Park, S.U. , Park K.Y. , Kang, Y.K. , Jong, S.K. 1987. Effects of polyethylene mulching and tunnel on the growth and yield of early produced sweet corn. Res. Rep. RDA(Crops). 29:245-250.
    12. Son, B.Y. , Kim, J.T. , Song, S.Y. , Baek, S.B. , Kim, C.K. , Kim, J.D. 2009. Comparison of yield and forage quality of silage corns at different planting dates. J. Kor. Grassl. Forage Sci. 29:179-186.
    13. Son, B.Y. , Kim, J.T. , Lee, J.S. , Baek, S.B. , Kim, W.H. , Kim, J.D. , Ko, K.H. 2011. Response of growth characteristics and yield of silage corns at different regions. J. Kor. Grassl. Forage Sci. 31:251-260.
    14. Stephanie, B. , Christine, B. 2008. A Guide to Upland Production in Cambodia: Maize, NSW Department of Primary Indust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