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8504(Print)
ISSN : 2287-8165(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Vol.32 No.4 pp.315-319
DOI : https://doi.org/10.12719/KSIA.2020.32.4.315

Survey on Insecticides for Controlling Migratory Rice Planthoppers in Major Rice Production Countries of Southeast Asia

Bueyong Park*,**, Jum Rae Cho*†
*Crop Protection Division, Department of Agro-Food Safety and Crop protectio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Wanju, 55365
**Planning and Coordination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giricultural Sciences, Wanju, 55365
Corresponding author (Phone) +82-63-238-3285 (E-mail) jrcho82@korea.kr
July 30, 2020 October 6, 2020 October 29, 2020

Abstract


Rice is an important crop in Southeast Asia and accounts for the majority of the cultivation area. In order to increase the rice production, there are breeding methods and plant management method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n the management of rice planthoppers and registered insecticides for controlling rice planthopper. For planthopper control, main method is to use insecticides which are registered each country. We introduce the registered insecticides varying slightly in each country, since information on insecticide use in Southeast Asia countries is lagging far behind. Southeast Asia countries have been using the Neonicotinoid type of insecticides for a long time. Thus, it is expected that the long-term use of similar typed-insecticides results in the insecticide resistance development. This tendency is thought to have an effect on Korea’s pesticide resistance, because rice planthoppers are flying from Southeast Asia into Korea. To cope with these common matters such as insecticide resistance, various international cooperative researches among Southeast Asia countries are required. Therefore, the Asian Food & Agriculture Cooperation initiative (AFACI) project promoted by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will strengthen the capacity of research cooperation among AFACI member countries.



동남아시아 벼 재배국가의 이동성 멸구류 방제 및 약제 현황

박부용*,**, 조점래*†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작물보호과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기획조정과

초록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RDA)
    PJ01488702

    서 언

    멸구류[노린재목(Hemiptera), 멸구과(Delphacidae)]는 세계적 으로 거의 모든 벼 재배지에서 발생하며 장립종(Indica), 단립 종(Japonica) 구분없이 모두 가해하는 주요 해충이다. 멸구류 중 벼멸구(Nilaparvata lugens), 애멸구(Laodelphax striatellus) 및 흰등멸구(Sogatella furcifera)가 많은 피해를 주고 있는데, 이 중 벼멸구는 직접 가해로 인한 피해 외에도 대규모 황화 (Yellow syndrome)와 같은 바이러스 매개로 인한 2차 피해도 주며 필리핀 등 열대·아열대 지역에서 연간 300만 달러 이상 의 경제적 손실을 야기하는 해충이다(Chen, 1978;RDA, 1998). 애멸구는 국내에서 월동이 가능하지만, 벼멸구와 흰등멸 구는 월동하지 못하고 중국 남부지역과 동남아 등지에서 제트 기류를 타고 국내로 넘어오는 비래해충으로 알려져 있는데 (Song & Lee, 2007), 중국 광동·광서성 등 동남부 지역의 발 생과 한국의 발생시기가 비슷하다는 사실을 확인하여 동남아- 중국 남부-한국의 경로로 비래하는 것을 추정하였고(Hu et al., 2014), 베트남 북부의 홍강(Red river) 일대의 평야지에서 동북 방향으로 진행되는 기류를 타고 벼멸구가 비래하는 것을 추정 하였는데(Kisimoto & Sogawa. 1995;Otuka, 2013), 정확한 경로를 제공하지는 않았으나 공통적으로 베트남 북부나 중국 남부를 비래원으로 추정하고 있다.

    동남아 국가들은 쌀을 주식으로 하기 때문에 벼 재배면적이 넓으며1) 메콩델타를 중심으로 주요 벼 생산 국가간에 지리적 으로 인접해 있는 조건으로 인하여 이동성 해충의 발생은 벼 생산량을 유지하는데 매우 중요한 문제라 할 수 있고, 실제로 멸구류에 의한 집단 피해인 hopper burn이 종종 발생한다(Qiu et al., 2016). 동남아 지역에서는 주식인 벼의 안정적 생산과 생산량 증가가 중요한 목표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새 로운 품종개발과 시비, 수확 등 재배기술의 진보와 같은 재배 적 방법과 병해충 예찰이나 방제를 통해 피해율을 줄이는 관 리적 방법이 중요할 것으로 본다.

    농촌진흥청은 벼 생산성 향상을 위해 이동성 해충인 멸구류 의 관리를 통해 피해를 줄이고 안정적인 생산을 도모하기 위 해 아시아농식품기술협력협의체(The Asian Food and Agriculture Cooperation Initiative, AFACI)를 구성하여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AFACI, 2016), 한국을 포함한 포함한 12개 국 가가 AFACI 내 PMP project (Establishment of Prevention Network for Migratory Pests in Asia region)로 참여하고 있다. 이 사업은 경제적 파급효과를 추정한 결과 정(+)의 편익을 나 타냈다고 하였으나(Kim et al., 2016), 아직 해충 방제프로세 스가 체계화되지 못한 부분이 많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AFACI 회원국이자 동남아 주요 국가인 태국, 베트남, 캄보디 아, 라오스 및 미얀마의 멸구류 방제를 위해 등록된 농약을 소개하고 방제 약제에 관한 현황을 파악하여 향후 해당 국가 들의 벼 멸구류 방제의 효율성 증대를 위한 기반자료로 활용 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농약은 전 세계 대부분의 국가에서 법령으로 관리하고 있으 며, 등록되어 있는 성분만 사용하도록 되어 있고 국가별로 등 록된 약제가 다를 수 있다. 따라서 국가별 공인된 벼 멸구류 방제용 등록 농약정보가 필요하며, 이는 해당 국가의 농업연 구기관을 통해 정보를 제공받았다. 국가별 벼 멸구류 방제 실 태는 AFACI 사업을 통해 해당 국가에 직접 방문하여 조사하 였는데, 현지 벼 포장에서 멸구류 방제에 대한 정보를 얻는 방법과 현지 농업인에 대한 면접조사 및 국가별 농업연구기관 담당자의 발표 자료와 현장방문 논의를 통하여 확인하는 방법 을 병행하였는데, 이들은 농촌진흥청 국제기술협력국의 아시 아팀의 협조를 얻어 접촉한 관계관이다.

    결과 및 고찰

    벼 멸구류를 방제하기 위해 국가별로 등록된 약제 현황은 Table 2~6과 같다. 이 등록된 약제의 성분을 기반으로 해당국 내 여러 회사에서 농약을 제조하며 성분간 혼합 제조된 혼합 제도 시판되고 있었다.

    살충제는 그 기작이 크게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기능 저해, GABA 연결 염소통로 차단, 나트륨 통로 조절, 아세틸콜린의 정상적인 결합 차단 및 이상신호 발생, 아세틸콜린 수용체 결 합 저해, 현음기관 통로 조절작용과 같은 신경작용제, 유약호 르몬, 탈피호르몬, 기틴합성 저해 등 주로 곤충호르몬에 작용 하는 생장조절제, 세포막 파괴, 미토콘드리아 ATP 합성효소 저해, 수소이온의 활성화 저해, 전자전달계 복합체의 기능을 저하시키는 등의 신진대사작용제가 있으며, 이외에 두 가지 이 상의 작용을 하는 복합작용제와 구체적인 작용 기작이 밝혀지 지 않은 제제가 있다(IRAC, 2019).

    태국, 베트남, 미얀마, 캄보디아 및 라오스에 등록되어 있는 벼 멸구류 방제 농약은 네오니코티노이드계(neonicotinoids) 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이 외에 카바메이 트계(carbamates)와 피레스로이드계(pyrethroids), 유기인계 (organophosphates)가 주를 이루고 있다. 현지 방문조사에서 태국은 등록 약제 중 뷰프로페진, 아이소프로카브, 에토펜프 록스를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미얀마는 다이메소에이트, 이 미다클로프리드, 클로르피리포스 등, 캄보디아는 페노뷰카브 와 뷰프로페진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베트남은 상대적으로 가장 다양한 약제가 등록되어 있었으나 사용약제는 다른 국가 들처럼 네오티코티노이드계를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이는 전 술한 살충제의 기작을 감안하였을 때 벼 멸구류에 약제 저항 성을 증가시킬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등록 약제의 계통 이 다양하지 않은 상황에서 동일계통 약제의 연용이 불가피하 기 때문인데, 약제 계통적으로 태국은 6개 약제 중 생장조절 제인 뷰프로페진을 제외한 5개가 아세틸콜린(acetylcholine) 등 신경계가 작용점인 약제이며 캄보디아도 뷰프로페진을 제외한 약제는 모두 신경작용제이다. 이 외 국가들은 모두 신경계 교 란이 기작인 약제 위주로 구성되어 있으며, 태국, 베트남, 캄 보디아에 생장조절제(growth & development) 계통인 뷰프 로페진이 1종이 있다(Table 7). 신경작용제도 더욱 세분하면 아세틸콜린뿐 아니라 GABA나 나트륨 통로 및 현음기관 (TRPV) 통로 차단 등 10여개의 계열로 나눌 수 있지만 동남 아 국가들은 group 1~4에 속하는 신경전달물질 차단인 약제 가 많다. 이로 인하여 어떠한 농약을 사용하든지 도태된 개체 들로부터 저항성이 발현될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여겨진다. 이 개체들이 한국으로 비래해 올 경우 국내에서 같은 계통의 약 제를 사용할 경우 방제 효율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국내의 경우 동남아 국가들의 주 방제기작인 신경작용제 외에도 탈피 호르몬 교란 작용을 하는 생장조절제 계통인 크로마페노자이 드, 메톡시페노자이드 및 테부페노자이드(group 18)를 사용할 수 있고 신경작용 계열이라 하더라도 작용점이 다른 인독사카 브(22A), 메타플루미존(22B), 플로니카미드(29) 및 group 29에 속하는 클로란트라닐리프롤, 사이안트라닐리프롤 및 플루벤디 아마이드와 같은 동남아와 다른 약제를 사용할 수 있어 저항성 으로 인한 피해를 줄일 수 있지만 비래원 지역에서의 약제의 단 순성은 분명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같은 성분이라 하더라도 국가별로 사용량에 차이가 존 재하는데 이는 국가별로 농약에 대한 등록과 관리를 자체적으 로 하기 때문이다. 제형별로 차이가 존재하지만 일반적으로 태 국이 다른 국가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약제를 낮은 농도로 살포하도록 정해져 있고 베트남이 높은 농도로 살포할 수 있 도록 규정되어 있다. 라오스의 경우 약제 정보는 있으나 약량 정보는 제공받지 못하였는데 라오스는 실상 농약의 대부분을 중국이나 태국에서의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에서 수입국 의 경우에 준하여 사용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들 5개국의 관계자도 약제의 계통이나 저항성에 대한 부 분을 우려하지 않는 것은 아니나 농약 원제의 수입의존도가 높 고, 상대적으로 최근에 나온 농약 성분들은 가격이 비싸기 때 문에 계통의 다양화를 꾀하지 못하고 있다. 제형 역시 수화제 (WP)나 유제(EC)처럼 쉽고 흔하며 상대적으로 원제가 저가인 제형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국책 연구기관 에서 님오일 등 살충성 식물추출물과 같은 유기농자재를 권장 하고 있으며 남베트남의 경우 천적농업에 관심을 두고 있다.

    전반적으로 식품안전과 안전농산물에 대한 세계적인 관심의 증가로 동남아 역시 화학농약 및 비료를 절감하고 친환경농업 에 대한 의지를 가지고 있으나 실제 현장에서는 아직 정착되 지 않고 있으며 그 이전에 가짜농약의 근절, 미등록 약제의 무 단사용 금지 계도와 같은 내부적인 정비도 필요한 상황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에 발생하는 멸구류는 베트남 북부와 중국 남부에서 기류를 타고 비래한다고 알려져 있다. 중국 남 부 역시 베트남 북부나 라오스, 태국과 관련이 있다고 추정된 다(Kisimoto & Sogawa, 1995;Song & Lee, 2007). 따라서 이들 국가들에서 멸구류의 약제저항성이 발현이 되면 국내에 도 그 영향이 미칠 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90년대 이후 중국 에서 fipronil과 같은 새로운 농약이 사용되기 시작한 시점을 기준으로 국내에 비래하는 벼멸구의 개체수에 큰 차이가 나타 나 중국에서 멸구류 방제상황에 따라 국내에도 영향을 미친 경 우라 볼 수 있다(Matsumura et al., 2009;Hu et al., 2014). 동남아 지역의 농약 사용 실태에 대하여 등록 약제 외에 공인 된 통계가 없어 현지조사와 상대국 연구자의 의견에 의존한 점이 있다는 것에서 한계점이 있지만, 큰 틀에서 향후 대책 마련을 위해 충분히 감안할 수 있을 정도 내에서 그 방향성을 알아볼 수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중국과 함께 국내 비래원 인 동남아 지역에서 적절한 이동성 멸구류 관리가 필요하다고 여겨지며, 관련 국가간 공조를 통해 사용 농약과 방제 시기 등 방제 협력을 통한 통합관리가 필요하다고 사료되며 현재 AFACI 사업을 통해 추진중인 국가별 약제저항성 검정 및 표 준화된 방제 실증실험을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고 범국가 차원 에서의 멸구류 방제체계를 확립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적 요

    벼는 동남아에서 매우 중요한 작물이며 작물 재배면적의 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벼 생산량 증대를 위해 주요 문제 해 충인 멸구류를 방제하는 것이 중요하다. 방제 방법으로는 농 약을 이용한 방제가 주를 이루고 있는데, 규정상 농약은 공인 된 등록약제를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동남아 주요 벼 재배국가의 방제 농약의 정보는 국내에 알려져 있지 않기 때 문에 멸구류 방제용 등록 약제를 소개한다.

    • 1. 등록 약제는 국가별로 소폭 차이는 있으나 그 계통이 네 오니코티노이드계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는 점에서 공 통점을 보였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동일 약제의 연용으로 인 한 저항성 발현 문제가 잠재되어 있다고 판단된다.

    • 2. 이는 동남아만의 문제가 아니라 장기적으로는 기류를 타 고 멸구류가 비래해오는 우리나라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 3. 따라서 향후 동남아 국가간 공동방제 등 상호협조가 필 요하며, 농촌진흥청에서 추진하고자 하는 AFACI 사업을 통해 국가별 약제저항성 검정 및 방제 표준화기술 확립 등과 같은 지원에 협력을 해 주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CKNOWLEDGMENTS

    본 연구는 농촌진흥청의 예산 지원을 받아 수행한 공동연구 사업 “아시아지역 국가별 벼 주요 해충 발생정보 및 방제협력 네트워크 구축(PJ01488702)”의 결과로서 연구에 협력해주신 AFACI PMP 회원국(태국, 베트남, 미얀마, 캄보디아, 라오스) 의 PI, Co-PI께 감사드립니다.

    Figure

    Table

    Information on the agency and person in charge

    Information on pesticides registered for controlling rice planthopper in Thailand

    Information on pesticides registered for controlling rice planthopper in Vietnam

    Information on pesticides registered for controlling rice planthopper in Southeast Myanmar

    Information on pesticides registered for controlling rice planthopper in Cambodia

    Information on pesticides registered for controlling rice planthopper in Laos

    Numbers of registered insecticides on different mode of action groups in each countries

    Reference

    1. AFACI.2016-2019. Country report.
    2. AFACI.2017. 7th AFACI expert workshop on construction of epidemiology information interchange system for migratory disease and insect pests in Asia.
    3. Chen, C. C. 1978. Rice wilted stunt and its transmission by the brown planthopper, Nilaparvata lungens (Stal). Plant Prot. Bull (Taiwan) 20: 376.
    4. Hu, G. , F. Lu, B. P. Lu, M. H. Lu, W. C. Liu and F. Zhu.2014. Outbreaks of the brown planthopper nilaparvata lugens (stal) in the yangtze river delta: immigration or local reproduction? PLoS ONE 9, e88973.
    5. IRAC,2019. IRAC Mode of action classification scheme.
    6. Kim, Y. D. , S. H. Chae and S. D. Lee.2016. Analysis for economic impacts of AFACI projects. J. Korean Soc. Int. Agric. 28(1): 37- 48.
    7. Kisimoto, R. and K. Sogawa.1995. Migration of the brown planthopper, Nilaparvata lugens and the white-backed planthopper Sogatella furcifera in East Asia: the role of weather and climate, in V. A. Drake and A. G. Gatehouse (eds.), Insect migration tracking resources through space and tim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p. 67-91.
    8. Matsumura, M. , Takeuchi, H. , Satoh, M. , Sanada-Morimura, S. , Otuka, A. , Watanabe, T and Van Thanh, D. 2009. Current status of insecticide resistance in rice planthoppers in Asia, In Heong KL, Hardy B, editors. 2009. Planthoppers: new threats to the sustainablity of intensive rice production systems in Asia. Los Banos (Philippines): International Rice Research Institute. p. 233-244.
    9. Otuka, A. 2013. Migration of rice planthoppers and their vectored reemerging and novel rice viruses in East Asia. Front. Microbiol. 4, Article 309.
    10. Qiu, Y. , X. Jiao, D. Hu, F. Liu, F. Huang and R. Li.2016.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ST-SSR to evaluate the genetic diversity of south east asia rice planthoppers. J. of Asia-Pacific Entomol. 19(3): 625-629.
    11.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1998. Occurrence and control sourcebook of brown planthopper, white backed planthopper.
    12. Song, Y. and J. H. Lee.2007. Studies on the prediction models for the outbreaks of the long range migratory planthoppers on ri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Korea, p. 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