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8504(Print)
ISSN : 2287-8165(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Vol.32 No.4 pp.431-437
DOI : https://doi.org/10.12719/KSIA.2020.32.4.431

Analysis of Supply Trends and User Satisfaction of Domestic and Imported Agricultural Machinery

Jeongmin Lee, Byounggap Kim
Dept. of Agricultural Engineering,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D.A., Jeonju, 55365, Korea
Corresponding author (Phone) +82-63-238-4022 (E-mail) jmk526@korea.kr
October 19, 2020 November 25, 2020 November 30, 2020

Abstract


The supply of tractors, riding-type rice transplanters, and combine harvesters by Korean government (as loans) has been decreasing over the past decade. By contrast, the import of agricultural machinery in 2019 increased by approximately 1.1 to 2.1 times compared to that 10 years ago. In this study, the supply trends and satisfaction levels with regard to agricultural machinery being supplied across the Republic of Korea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were used as basic data to improve the industrial competitiveness of domestic agricultural machinery. Based on an analysis of replacing agricultural machinery in farms, the purchase loyalties of farms with imported agricultural machinery (such as tractors and riding-type rice transplanters) were 9.4%p and 14.3%p, respectively—higher than those of the farms with domestic agricultural machinery. Furthermore, during the selection of manufacturers (for purchasing agricultural machinery), satisfaction over quality and occurrence of failure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urchase of tractors (p < .001). Moreover, satisfaction over quality, occurrence of failure, and follow-up suppor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urchase of riding-type rice transplanters and combine harvesters (p < .05). Therefore, technical development goals should be achieved to improve quality and follow-up support,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domestic agricultural machinery, and change consumer perception.



국산 및 외국산 농업기계 공급동향과 사용자 만족도 분석

이정민, 김병갑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초록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RDA)
    PJ01513102

    서 언

    우리나라의 농업기계화는 정부 주도로 추진되어왔다. 정부 에서는 농업인의 농업기계 구입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구입 자금 일부를 융자 및 보조 지원해왔으며, 2000년 이후 융자로 만 지원하였다. 이러한 노력으로 벼농사 기계화율은 2017년 98.4%에 이르러, 경운·정지에서 건조까지 대부분의 작업을 기 계로 수행하게 되었다(RDA, 2018). 또한 벼 수확면적 10a당 소요되는 노동투하시간의 경우 2019년 10.6시간으로 1990년에 비해 48.8시간 감소하였다(KOSIS, 2019).

    논벼 수확 농가의 농업기계 보유율은 2015년 트랙터 31.2%, 이앙기 26.4%, 콤바인 11.5%로 나타났는데(KOSIS, 2015), 이 는 농업기계가 없는 농가의 경우 농작업을 위탁해서 기계로 농 사를 짓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향후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농가 경영주의 고령화 현상(Shin et al., 2015), 대형 농업기계에 대한 수요 증가(Hong & Choi, 2019) 등을 고려했을 때 농가의 농업기계 보유율이나 보유대수는 다소 감 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로 국내 농업기계 보유현황 통계를 보면 2000년 트랙터 192천 대, 이앙기 341천 대, 콤바인 87천 대에서 2019년 트랙터 299천 대, 이앙기 184천 대, 콤바인 74천 대로 트랙터는 107천 대가 증가하였으며 승용이앙기와 콤바인은 각각 157천 대, 13천 대 감소하였다(MAFRA, 2019). 트랙터의 경우 경운기를 대체하는 등의 이유로 아직까 지 증가세를 보이고 있지만, 증가폭은 감소하고 있다. 한편 2018년 외국산 농업기계의 수입실적은 561백만$로 2000년도 132백만$에 비해 약 4배가 증가하였다. 특히 일본산 농업기계 의 경우 2017년에 비해 수입실적이 23.6% 이상 증가하여 높 은 국내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당분 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KAMICO, 2019).

    한편, 국내 농업기계 시장규모는 융자기종을 중심으로 봤을 때 약 1조 정도로 추정되며, 현재는 정체 단계에 접어들었다 고 평가되고 있다(KREI, 2013). 이처럼 규모가 한정된 농업기 계 내수시장의 한계를 극복하고 국내 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해외시장 개척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KREI, 2012). 그러나 내 수시장 기반이 약화될 경우 장기적인 수출 성장을 기대하기 어렵다. 더욱이 농업기계 산업은 식량안보 측면에서도 반드시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 따라서 외국산 농업기계와의 경쟁이 불가피한 국내시장에서 국산 농업기계의 경쟁력 확보하기 위 해서는 품질 개선을 위한 관련 기술개발이나 소비자 인식 전 환 등을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품질 개선과 관 련해서는 트랙터 정유압 기계식 변속기 설계(Baek et al., 2016), 부분경운 콩 파종기 개발 및 특성 분석(Kang et al., 2015), 콤바인 예취성능 향상(Jo et al., 2015), 승용이앙기 작 업부 기구 해석(Kim et al., 2006) 등의 다양한 연구가 수행 되었지만, 국내에 공급되고 있는 국산 및 외국산 농업기계의 공급동향에 관한 연구는 Shin et al.(2013) 이후 수행되지 않 았다. 또한 사용자 만족도와 관련해서는 주요 농업기계 품질 만족도 분석(Lee et al., 2018), 핵심 농업기계 이용 만족도 분석(Hong & Choi, 2019) 등의 연구가 수행되었지만, 현재 보유하고 있는 농업기계에 대한 이용 만족도가 향후 교체구입 과 관련하여 제조국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수행된 바 없었다.

    본 연구는 국내에 공급되고 있는 주요 농업기계에 대한 국 산 및 외국산의 공급동향과 사용자 만족도를 조사·분석하여 정 책, 생산, 연구 분야에 국내 농업기계 산업 경쟁력 향상을 위 하여 개선이 필요한 부분을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조사 및 분석 방법

    주요 농업기계 공급동향과 사용자 만족도 조사·분석은 국내 농업기계 매출액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트랙 터, 승용이앙기, 콤바인 등 3개 기종을 대상으로 하였다. 농업 기계 공급동향은 정부지원 대상 농업기계를 선정하고 관리하 는 한국농기계공업협동조합으로부터 제공받은 최근 10년간 (2010~2019) 정부 융자지원 공급 자료에 농업기술실용화재단 의 검정성적 자료를 매칭시켜 농업기계 모델별 규격이나 완제 품 및 엔진의 제조국 등을 분류하고 국산 및 외국산의 공급대 수, 매출액 등을 분석하였다.

    농업기계 교체구입 의향과 사용자 만족도 조사는 면접조사 형태로 2020년 5월에서 9월까지 전국 9개도 150개 읍·면 300개 마을의 농업기계 보유 농가를 대상으로 수행하였으며, 트랙터 616대, 승용이앙기 261대, 콤바인 187대가 조사되었다. 설문내용은 농업기계 교체구입 의향과 사용 만족도 등이었 다. 농업기계 사용자 만족도는 농업기계 이용과 관련하여 기 존의 연구(Lee et al., 2016;Hong & Choi, 2018)에서 사용 되었던 품질, 고장발생, 사후관리 등의 항목을 5점 척도로 가 장 우호적인 답을 5점, 가장 비우호적인 답을 1점으로 구성하 였다. 또한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보유하고 있는 농업기 계의 기종별 제조국에 따른 교체구입 의향과 사용자 만족도를 분석하였으며, 현재 보유하고 있는 농업기계에 대한 만족도가 향후 교체구입 시 제조국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분석하고자 판별분석을 실시하였다.

    판별분석(discriminant analysis)은 연속형 자료인 예측변수들 의 선형조합을 통해 집단을 분류하고 예측할 목적으로 사용하 는 통계분석법으로 예측 오차가 최소가 되도록 식 1과 같은 회귀식을 도출한다. 판별분석에서는 정확히 분류된 대상의 수 를 전체 대상의 수로 나눈 비율(hit ratio)을 통해 판별함수의 전반적인 적합도를 판단하며, 정준상관(canonical corr) 값을 통해 판별함수와 집단 간의 관련성을 판단한다. 또한 Wilk`s λ값을 통해 판별력을 점검할 수 있다. 여기에서 Wilk`s λ는 값이 낮을수록 판별력이 높음을 의미한다. 이 분석법은 명품 소비자 태도에 따른 와인선택속성 차이 분석(Kim & Gho, 2020), 송이버섯 균사체와 바실러스를 이용한 발효대두의 향 미 분석(Kim et al., 2018) 등의 다양한 분야의 연구에 사용 되고 있다.

    Z = b 0 + b 1 X 2 + b 2 X 2 + + b n X n
    (1)

    여기서, Z= 판별함수, b0: 절편, bn: 판별계수, Xn: 예측변수

    분석은 국산 농업기계를 보유하고 있으며 교체구입 계획이 있는 농가의 트랙터 134대, 승용이앙기 41대, 콤바인 31대를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품질, 사후관리, 고장발생 등의 농업기 계 이용 관련 항목에 대하여 5점 리커트 척도로 조사된 만족 도를 독립변수로 하고 교체구입 시 구입희망 제조국을 집단변 수로 설정하여 판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그 결과를 바탕 으로 2018년에 같은 내용으로 조사된 표본을 분류하여 판별 모델의 정확성을 재확인하였다. 분석에는 SPSS 26.0이 사용되 었으며, 외국산 농업기계를 보유하고 교체구입 계획이 있는 농 가의 경우 사례수가 부족하여 분석대상에서 제외하였다.

    결과 및 고찰

    1. 국내 주요 농업기계 공급 동향

    트랙터, 승용이앙기, 콤바인의 연간 공급대수를 보면 전체적 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인다. 트랙터의 경우 2011년 13.0천 대로 정점을 찍고 꾸준히 감소하여 2019년에는 18.0% 감소한 10.7천 대를 기록하였다. 승용이앙기와 콤바인은 2019년 각각 3.6천 대, 2.1천 대로 2010년 대비 23.4%, 34.4%가 감소하였 다(Table 1).

    2019년 트랙터의 규격별 공급 대수 비율을 보면 29 kW 미 만, 29~44 kW, 44~74 kW 규격은 각각 3.5%, 40.1%, 37.3 %로 2010년에 비해 0.9~7.9%p 감소하였지만 74 kW 이상의 대형 규격에서는 16.6%p 상승하였다(Fig. 1). 또한 승용이앙기 는 최근 10년간 6조 이하가 88.0~92.8%를 차지하고 있으며, 2019년 7조 이상이 차지하는 비율은 12.0%로 2010년에 비해 3.7%p 상승하였다(Fig. 2). 콤바인의 경우 2019년 5조 이상 모델의 구성 비율이 86.2 %로 2010년에 비해 33.0%p 상승 하여 대형화 추세가 뚜렷하게 나타났다(Fig. 3).

    국내 유통되고 있는 수입 완제품 농업기계의 공급 비율은 2010년에 비해 2019년 트랙터 3.2%p, 승용이앙기 5.6%p, 증 가하였으며, 같은 기간동안 콤바인의 경우 19.9%에서 43.2% 로 23.3%p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Table 2).

    수입 완제품 농업기계의 수입액을 보면, 2019년 트랙터 1,433억 원, 승용이앙기 545억 원, 콤바인 881억 원으로 2010 년에 비해 47~648억 원 증가하였다(Fig. 4). 규격별로 살펴보 면 2019년 트랙터의 경우 29 kW 미만은 0.1%, 29~44 kW 미만은 8.1%, 44~74 kW 미만은 25.2%, 74 kW 이상은 66.6%로 74 kW 이상의 대형기종의 비율이 2010년에 비해 32.3%p 증가하여 가장 높게 나타났다(Fig. 5). 또한 승용이앙 기는 2019년 6조 이하 83.6%, 7조 이상 16.4%로 지난 10년 간 5%p 내외의 변동폭이 유지되었으며, 콤바인의 경우 5조 이상의 대형기종의 비율이 2019년 97.2%으로 2010년에 비해 45.7%p 증가하여 수입기종 매출액의 대부분을 차지하게 되었 다(Fig. 6).

    트랙터, 승용이앙기, 콤바인의 연간 공급대수는 감소하고 있 으나 대형화 추세가 지속되고 있다. 그러나 수입 완제품 농업 기계의 공급률과 대형기종에 대한 매출액은 증가하고 있어 향 후 국산 농업기계의 국내 시장 점유율은 다소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하여 국산 농업기계의 경쟁력 향상을 위하 여 대형기종에 대한 국산화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2. 농업기계 교체구입 의향 및 사용자 만족도

    농업기계의 수명이 다했을 때 교체구입을 하겠다는 농가는 트랙터 27.6%, 승용이앙기 24.1%, 콤바인 20.9%로 나타났다 (Fig. 7). 이 중 국산 농업기계로 교체구입을 하겠다는 농가는 트랙터 65.9%, 승용이앙기 52.4%, 콤바인 53.8%였으며, 외국 산을 구입하겠다는 농가는 트랙터 31.2%, 승용이앙기 46.0%, 콤바인 35.9%로 승용이앙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Fig. 8).

    한편, 국산 농업기계를 사용하는 농가 가운데 다시 국산으 로 교체구입 하겠다는 농가는 트랙터 76.8%, 승용이앙기 71.4%, 콤바인 60.6%였으며, 외국산을 구입하겠다는 농가는 트랙터 20.3%, 승용이앙기 26.2%, 콤바인 33.3%로 나타났다 (Fig. 9). 외국산 농업기계를 사용하고 있는 농가 가운데 국산 으로 교체구입을 하겠다는 농가의 경우 트랙터 10.3%, 승용이 앙기 14.3%, 콤바인 20.0%였으며, 다시 외국산으로 교체구입 하겠다는 농가는 트랙터 86.2%, 승용이앙기 85.7%, 콤바인 60.0%로 나타났다(Fig. 10). 이는 수입산 농업기계를 사용하는 농업인이 국산 농업기계를 사용하는 농업인에 비해 구매 충성 도가 트랙터는 9.4%p, 이앙기는 14.3%p 정도 높다고 볼 수 있다.

    현재 국산 농업기계를 사용하고 있으며, 향후 “교체구입 의 향이 있다”라고 응답한 농가는 기종별로 트랙터 134호, 승용 이앙기 41호, 콤바인 31호였다. 또한 이들을 대상으로 농업기 계 이용과 관련한 항목에 대해서 5점 리커트 척도로 만족도를 설문한 결과 전체적으로 외국산 농업기계로 교체구입을 희망 하는 농가의 만족도가 국산보다 0.1~0.8점 낮게 나타났다 (Table 3).

    과거에 사용했던 농업기계에 대한 만족도가 농업기계 교체 구입 시 제조국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파악하고자 판별분석을 수행한 결과는 Table 4와 같이 나타났다. 먼저 트 랙터는 농가에서 교체구입 시 희망하는 제조국을 구분하는데 고장과 관련한 만족도가 유의미한 영항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으며(p<.001), 사후관리 만족도에 대한 변수는 영향을 미치 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판별함수의 정준상관은 .484 로 제조국 집단과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람다값 은 .766, 정확하게 분류된 비율은 72.4%로 나타났다. 승용이 앙기와 콤바인의 경우 품질, 고장, 사후관리 만족도 모두 농가 에서 교체구입 시 희망하는 제조국을 구분하는데 유의미한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이때 승용이앙기에 대한 판별함수의 정준상관은 .675로 제조국 집단과 비교적 높은 상 관관계를 보였으며, 람다값은 .545, 정확하게 분류된 비율은 82.9%로 나타났다. 또한 콤바인의 경우 정준상관은 .710로 트 랙터나 승용이앙기에 비해 제조국 집단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 였으며, 람다값은 .496, 정확하게 분류된 비율은 90.3%로 나 타났다(Table 4).

    추가적으로 교차타당화를 위해 2018년에 조사된 표본에 앞 에서 도출된 판별함수를 적용시켜 분석한 결과 정확하게 분류 된 비율이 트랙터 73.6%, 승용이앙기 81.8%, 콤바인 87.2% 로 나타나 Table 4의 결과가 다른 표집에도 잘 적용되는 것을 확인하였다(Table 5).

    농업기계의 교체구입을 계획하고 있는 농가의 국산 농업기 계 이용 관련 만족도는 향후 교체구입 농업기계의 제조국을 선택하는 데 영향을 준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농가의 농업 기계 이용 만족도 교체구입 계획 등을 고려했을 때 향후 농업 기계 교체구입 수요 가운데 외국산의 점유율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하여 국산 농업기계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 해서는 품질 개선을 위한 관련 기술개발, 사후관리 지원 등의 소비자 인식 전환을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적 요

    국내 농업기계 산업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트랙터, 승용이앙기, 콤바인에 대한 국내 공급현황과 농업기계 보유 농가의 향후 교체구입 의향과 사용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 1. 최근 10년간 정부 융자지원으로 국내에 공급된 주요 농 업기계의 공급대수를 보면 2019년 트랙터 10.7천 대로 2011 년 이후 꾸준히 감소하고 있으며, 승용이앙기와 콤바인은 2019 년 각각 3.6천 대, 2.1천 대로 10년전에 비해 23.4, 34.4% 감소하였다.

    • 2. 반면 수입 완제품 농업기계의 수입실적의 경우 2019년 트랙터는 1,433억 원, 승용이앙기는 545억 원, 콤바인은 881 억 원으로 2010년에 비해 47~648억 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 으며, 트랙터와 콤바인의 경우 대형기종이 차지하는 비율이 같 은 기간동안 각각 32.3, 45.7%p 상승하였다.

    • 3. 한편 농가의 농업기계 교체구입 의향을 분석한 결과 외 국산 농업기계를 보유하고 있는 농가의 구매 충성도가 국산 농업기계 보유 농가에 비해 트랙터 9.4%p, 이앙기 14.3%p 높 게 나타났다.

    • 4. 또한 농가에서 농업기계 교체구입 시 제조국을 선택하는데 트랙터의 경우 품질과 고장 관련 만족도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 쳤으며(p<.001), 승용이앙기와 콤바인의 경우 품질, 고장, 사후 관리 만족도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p<.05).

    • 5. 결과적으로 국내 농업기계 공급동향과 농가의 농업기계 교체구입 계획을 고려했을 때 향후 농업기계 교체구입 수요 가운데 외국산의 점유율은 증가한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국산 농업기계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품질 개선 을 위한 관련 기술개발, 사후관리 지원 등의 소비자 인식 전 환을 위한 노력이 요구될 것으로 보이며, 이를 위한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한 시기로 판단된다.

    ACKNOWLEDGMENTS

    본 연구는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과학기술연구개 발사업(과제번호: PJ01513102)의 지원에 의해 이루어진 것임.

    Figure

    KSIA-32-4-431_F1.gif

    Distribution of supplied unit number according to tractor specifications

    KSIA-32-4-431_F2.gif

    Distribution of supplied unit number according to specifications of rice transplanters

    KSIA-32-4-431_F3.gif

    Distribution of supplied unit number according to specifications of combine harvesters

    KSIA-32-4-431_F4.gif

    Sales of agricultural machinery by year

    KSIA-32-4-431_F5.gif

    Sales ratio of tractor by year

    KSIA-32-4-431_F6.gif

    Sales ratio of rice transplanter and combine harvester by year

    KSIA-32-4-431_F7.gif

    Product purchase/replacement plan of users of agricultural machinery

    KSIA-32-4-431_F8.gif

    Product purchase/replacement plan of users (according to the countries of manufacture)

    KSIA-32-4-431_F9.gif

    Product purchase/replacement plan of users of domestic agricultural machinery

    KSIA-32-4-431_F10.gif

    Product purchase/replacement plan of users of imported agricultural machinery

    Table

    Government loaning agricultural machinery over the years (Unit: 1,000 units)

    Ratio of imported agricultural machinery loan granted by the government (Unit: %)

    User satisfaction of agricultural machinery

    Discriminant analysis results

    Classification results (verification sample)

    Reference

    1. Baek, S. M. , Kim, W. S. , Kim, Y. S. , Baek, S. Y. , Kim, Y. J. 2020. Design of the hydro-mechanical transmission for a 55kW-class agricultural tractor. Journal of Drive and Control. 17(2):19-27.
    2. Hong, S. H. , Choi, K. H. 2018. Analysis of utilization and maintenance of major agricultural machine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30(4):292-299.
    3. Hong, S. H. , Choi, K. H. 2019. Analysis of market and technology status of major agricultural machine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31(1):8-16.
    4. Jo, J. S. , Jung, H. J. , Jin, B. O. , Lee, M. H. , Kim, M. I. , Kim, C. H. , Park, T. J. , Heo, M. H. , Kim, H. T. 2015. Optimization of speed model for cutting performance in half feed combine. KSAM 2015 Autumn Conference Proceedings. 20(2):92-93.
    5. Kang, T. G. , Jun, H. J. , Choi, Y. , Choi, I. S. , Lee, C. K. , Kim, G. Y. , Lee, J. T. 2015. Development of partial tillage seeder with new technology of soybean and analysis on seeding patter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27(2):176-181.
    6. Kim, S. Y. , Lee, K. S. , Hwang, H. , Lee, S. S. 2006. Mechanism analysis of working equipment and development of hydraulic system for rice transplanter for riding.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31(2):88-94.
    7. Kim, D. S. , Kim, H. S. , Seo, W. T. , Shin, E. C. 2018. Flavor and Taste Properties of Fermented Soybeans with Mycelia of Tricholoma matsutake and Bacillus sp.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47(1):107-115.
    8. Kim, D. H. , Ko, J. Y. 2020. Analysis of difference in wine selection attributes by luxury consumer attitude. Journal of Hospitality and Tourism Studies. 22(1):173-189.
    9. KREI(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2012. World Agriculture. 45(140):89.
    10. KREI(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2015. World Agriculture. 03(174):77.
    11. KOSIS(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2015. Census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AG151161&conn_path=I2).
    12. KOSIS(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2019. Agricultural and livestock production cost survey(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EC0008&conn_path=I2).
    13. KAMICO(Korea Agricultural Machinery Industry Cooperative).2019. Agricultural Machinery Yearbook Republic of Korea. p. 33.
    14. Lee, J. M. , Shin, S. Y. , Kim, Y. Y. , Hwang, S, J., Noh, J. S.2016. An analysis of user satisfaction on major agricultural machinery. KSAM 2016 Autumn Conference Proceedings. 21(2):108.
    15. MAFRA(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2019. Agricultural machinery holdings survey. p. 6-7.
    16. RDA(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2018. 2017 Agricultural machinery utilization survey. p. 61.
    17. Shin, H. H. , Cho, G. D. , Woo, S. G. 2015. Analysis of manpower employment demand based on agricultural forms in accordance of the aging south korean agricultural managers. 27(2):138-148.
    18. Shin, S. Y. , Chang, C. H. , Kim, B. G. , Kim, Y. Y. , Kim, J. O. , Lee, K. S. 2013. Demand and Supply Trend of Agricultural Machinery.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38(4):248-2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