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8504(Print)
ISSN : 2287-8165(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Vol.32 No.4 pp.408-414
DOI : https://doi.org/10.12719/KSIA.2020.32.4.408

Current Status of Dairy Industry in Malaysia and Analysis of Dairy Bull Semen Export Quarantine

Soyoen Kim*, Youlim Choi, Joohyeon Cho, Hakkyo Lee, Jaeyoung Heo****†
*International Agricultural Development Cooperation Center, Je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54932, Korea
**Animal Genetics & Breeding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Cheonan, 31000, Korea
***Dairy Cattle Improvement Center, Nonghyup, Goyang, 10292, Korea
****Department of Animal Biotechnology, Je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54932, Korea
Corresponding author (Phone) +82-63-270-5925 (E-mail) jyheo@jbnu.ac.kr
October 7, 2020 November 18, 2020 November 30, 2020

Abstract


Malaysia has made tremendous efforts toward improving the genetic resources of the national dairy herd. Through its subsequent development plans up to the 11th Malaysian Plan, the government has supported numerous livestock breeding projects to attain self-sufficiency. Despite the efforts, Malaysia’s domestic supply for dairy products does not meet consumer’s demand, and thus predominantly relies on imports. This has been attributed to the unstructured nature of the dairy industry, low breeding rates of dairy cattle, absence of profitable dairy industry models, and limited utilization of advanced genetic breeding technologies. To overcome these challenge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dairy industry by importing high-performance dairy bull semen and applying technologies aimed at improving the national dairy herd. It is also crucial for exporters to understand the status of the dairy industry and its germplasm importing procedures in Malaysia. In order to conclude the quarantine agreement of dairy bull semen, Malaysia and South Korea streamlined quarantine conditions by consultations linking with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inducing active participation of local agents, and creating local promotional activities to enhance genetic improvement and to adopt advanced livestock breeding technologies.



말레이시아 낙농산업 현황 및 젖소정액 수출 검역 분석

김소연*, 최유림, 조주현, 이학교, 허재영****#x2020;
*전북대학교부설 국제농업개발협력센터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축개량평가과
***농협경제지주 젖소개량사업소
****전북대학교 동물생명공학과

초록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RDA)
    PJ01361101

    서 론

    말레이시아는 지난 5년간 연 평균 4.9%의 안정적인 경제 성장률을 유지하고 있다(IMF country report, 2020). 말레이시 아 정부는 향후 고소득 및 포괄적 개발을 위한 생산성 향상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제조업 및 농업 분야의 자동화를 계획하고 있다(IMF country report, 2020). 말레이시아 Vision 2020 경제개발 청사진에서는 1인당 GNI 15,000달러 이상 고소득국가를 목표로 제 11차 말 레이시아 계획(2016-2020)을 추진하고 있으며, 최근 정부 부채 증가 및 보호무역주의 확산에 대한 영향을 반영하여 고소득국 가 달성 목표시기를 2024년 이후로 조정하였다.

    말레이시아는 인구 및 소득 증가와 도시화로 인해 유제품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현재 세계 우유 및 유제품 시장에서 8 번째로 큰 수입국이다(Faghiri et al., 2019). 그러나 낙농 및 육우산업은 40년 전부터 개선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산업화 기술 수준은 낮은 편이다(Ibragimov et al., 2016). 정 부 산하 농장과 비교하여 기반시설 및 목초지가 열악한 소규 모 농가에서 말레이시아 반추동물의 약 90%가 사육되고 있기 때문에(Ibragimov et al., 2016; Mohamed et al., 2013) 육 우 생산량 확대를 위해서는 정부 및 지자체의 적극적인 지원 이 필요한 상황이다. 현지 소비동향에서도 낙농분야에 대한 소 비량은 2025년까지 매년 5% 이상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어 체 계적인 낙농산업 모델 개발을 위해 낙농기술 및 현대적인 유 전육종기술에 대한 수요가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본 논문에서는 말레이시아 낙농산업 현황과 관련법 및 연구 기관, 낙농 유전자원 수출검역절차와 같은 수출 여건 조사와 국내 젖소정액의 말레이시아 수출 사례 제시를 통해 젖소 정 액 수출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론

    1. 말레이시아 낙농산업 현황

    말레이시아의 농업은 248억 달러 규모로 2018년 기준 GDP 의 7.3%를 차지하고 있으며, 팜오일(Palm Oil)이 가장 높은 비중인 37.9%, 축산업 14.9%, 어업 12.5%, 임업 및 벌목 6.9%, 고무산업 2.8%, 그 외 농업분야 25.1%로 구성되어 있 다(DOSM, 2019). 2009년부터 2018년까지의 축산업 가축사육 두수의 변화를 살펴보면 젖소를 제외하고는 모두 하향세를 보 이고 있다. 젖소는 2009년 31,997두에서 2018년 32,366두로 연평균 증가율이 0.1로 비교적 안정적인 추세를 보이고 있다. 그 외 버팔로와 염소는 연평균 증가율 –4.8%로 나타났으며, 육우는 –3.3%, 양은 –0.7%로 나타났다(Fig. 1).

    2009년부터 2018년까지 말레이시아의 젖소 사육두수 추이 에서 토착종 젖소의 사육두수는 외래종과 교배 개량된 젖소의 사육두수보다 현저히 적었다(Fig. 2). 2018년 기준 토착종은 558두, 개량종은 31,808두로 개량종이 57배 가량 많고 토착종 의 숫자가 현저히 줄어들었는데 이는 지속적인 품종개량을 통 한 축군 개선의 결과라고 볼 수 있다(DVS, 2019).

    우유수입량 측면에서 말레이시아는 중국, 멕시코, 알제리에 이어 세계에서 8번째로 많은 편이며, 2017년 대비 2018년 우 유수입 증가량은 세계에서 두 번째로 높게 나타나(FAO, 2019) 우유소비에 대한 급격한 증가를 보여주고 있다. 1970년 말레이시아의 유제품 수입 가격은 6천 9백만 링깃(말레이시아 화폐단위)에서 2014년 12억 링깃으로 빠르게 증가하였으며, 지 난 40년간 우유생산량 또한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국 내 수요를 충족시킬 수 없어 수입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 상황 이다(Suntharalingam & Zhong, 2015). 크게 뉴질랜드, EU28, 미국, 호주, 캐나다 다섯 국가에서 대부분 분말 형태(powdered milk)로 수입하고 있으며 거대 기업(네슬레, 프리슬란트캄 피나, 폰테라 등)의 시장 점유율은 93.9%로 매우 높은 편이 다(AAFC, 2019).

    현지소비자의 수입 유제품에 대한 고려 요인 중 ‘할랄인증’ 이 1위였으며 그 외 ‘가격’, ‘건강’, ‘품질’, ‘맛’ 요인들을 중 요시 하였고 ‘원산지’ 요인이 가장 낮게 나타나(KATI, 2017) 수입 유제품에 대한 현지소비자의 거부감이 낮은 편이다. 2020 년 말레이시아 1인당 연간 유제품 소비량은 22.5kg, 수입은 13억 9천만 달러로 추정되며 향후 2025년까지 연간 6.9% 성 장할 것으로 예상된다(Statista, 2020). 시유 생산량은 2013년 28.8백만L에서 2018년 38.5백만L로 연평균 6.0% 증가하였으 나, 유제품 생산을 위한 원유 소비는 37.6백만L에서 62.8백만 L로 연평균 10.8% 상승하였고, 2019년 추정치는 더 높게 나 타났다(Fig. 3). 이러한 소비자의 수요 증가는 유제품에 대한 영양적 이점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증대와 우유 유래 유제품 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짐에 따라 상승하였다고 볼 수 있다 (Suntharalingam & Zhong, 2015).

    그러나 말레이시아에서 유통되는 원유는 세균수가 높아 품 질이 낮고 유통기한이 짧은 특성을 지니고 있는데, 그 이유는 젖소의 건강상태, 젖소 유방을 통한 세균감염, 비위생적 착유 공정 및 장비와 처리기, 보관 및 운송수단을 청소하는 데 사 용되는 세척수의 열악한 수질 등에 기인한다(Khairunnisak et al., 2019; Chye et al., 2004). 종합적으로 말레이시아 낙농산 업은 높은 수요에 대응하지 못하는 열악한 인프라를 포함하여 낮은 젖소 번식능력과 개체 수, 비구조화된 번식체계, 수입의 존 유전자원, 수익성 있는 낙농산업 모델 부재, 현대적인 유전 육종기술 부재, 가축사육 프로젝트 지역(Mafriwal) 및 규모의 제한성을 문제점으로 요약할 수 있다(DVS, 2013).

    2. 말레이시아 낙농분야 프로그램 및 정책

    말레이시아 낙농관련 프로그램 및 정책은 1966년에 시작된 국가 다양성 5개년 개발계획과 1984년부터 시작된 국가 농업 정책과 밀접히 연결되어 왔다. 5개년 개발계획 40년 동안의 정책에서는 쇠고기 및 유제품산업의 개발과 상용화를 위해 우 유 수집센터(Milk Collection Centres, MCCs)를 설립하여 우 유 생산을 촉진시켜왔다(Table 1). 특히 1974년 소규모 낙농가 들을 지원하기 위한 국가낙농개발 프로그램(National Dairy Development Program, NDDP)이 시작되었으며, 이를 위해 말 레이시아 수의국(Department of Veterinary Services, DVS)에 서 우유 품질테스트, 교육, 운송, 저장 및 마케팅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해왔다. 제2차 계획(1971-1975)까지만 해도 당 시 6,890만 달러의 유제품을 수입할 정도로 의존도가 높았던 반면, 제3차 계획(1976-1980)에 이르러 주요 우유 생산지역 인근에 총 19개의 우유수집센터(MCCs)를 설립하여 1980년대 초 MCCs의 수가 43개로 증가하게 되었다. 제5차 계획(1986- 1990) 당시 830만 리터에 불과하던 우유생산량은 1995년 3,380만L, 2005년 4,110만L로 급격히 성장하였다.

    그러나 1990년대 중반부터 농업정책의 우선순위가 고부가 가치 작물재배로 옮겨감에 따라 유제품의 중요도가 상대적으 로 낮아지게 되었다. 이후 제7차 계획(1996-2000)에 이르러 1997년 아시아 금융위기에 직면하게 되면서 다시 수입유제품 에 의존하게 되는 상황이 전개되었다. 제3차 국가농업정책 이 후 시작된 국가농식품정책(2011-2020)에서는 ‘식량안보 및 안 전을 위한 지속가능한 생산 보장’을 목표로 다시 수입유제품 의 의존도를 낮추고 자급자족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Suntharalingam, 2019; Suntharalingam & Zhong, 2015).

    3. 말레이시아 낙농 유전자원 정책 및 관련기관

    낙농 관련 유전자원 정책은 5개년 단위로 진행되는 ‘국가농 업정책’ 내에서 일부 추진되고 있다. ‘국가농업식품정책(2011- 2020)’을 통해 토착종에 대한 육종 및 영양 관련 연구개발을 육 성하고 있으며, 경제적 및 지속가능한 가축사육정책(Malaysian Livestock Breeding Policy, 2013), 가축보전과 가축질병 전파 억제 및 수출입에 관련된 동물법(The Animal Act, 1953)과 연 구, 실험 및 실습에 이용되는 동물과 관련된 인증절차가 포함 된 동물복지법(Animal Welfare Act, 2015)이 있다.

    말레이시아는 당초 살아있는 유전자원을 농민들에게 보급하 기 위해 수의연구소(Institute Veterinary Malaysia, IV)와 같은 자연번식 기반 사육장을 운영하였다. 인공수정을 활용한 고품 질 유전자원 생산 및 유전육종 개선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 라 1970년대에 국립동물센터(National Animal Breeding Center, NABC)를 설립하였다. 이후 유전자원 개선의 요구에 따라 1997년 8월 국립수의생물다양성연구소(National Institute of Veterinary Biodiversity, NIVB, 이전 NIAB에서 명칭 변경) 정부산하 농장이 설립되어 NABC는 운영을 중단하게 되었다. 현재 말레이시아에서 동물유전자원과 관련된 기관은 첫째, 농 림부(Ministry of Agriculture and Agro-based Industry) 산하 수의학 및 가축생산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수의국이 있으며, 둘째, 농림부 산하 농업연구소(Malaysia Agriculture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MARDI)는 농업 및 농업기반산업 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농림부가 위임한 법정기구로써 새로운 가축품종의 개발과 유전개량을 위한 번식기술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다. 셋째, 국립수의생물다양성연구소(NIVB)는 말레이시아의 가축 인공수정 서비스센터로 국가 가축정액은행 을 보유하고 있다. 해당 기관에서는 독자적인 프로그램을 통 해 낙농 육우 혼합종인 Mafriwal 품종 냉동정액을 생산하고 있으며 정액 및 동물유전자원의 수입을 담당하고 있다 (Raymond & Saifullizam, 2010).

    4. 말레이시아 젖소정액 수입 절차 및 수출 검역 분석

    말레이시아 젖소정액은 일반적으로 동물성 제품으로 분류되 어 수입절차가 진행된다(Table 2). 먼저 수의검역부에 온라인 (e-permit1) 또는 서면(form A)으로 검역신청서를 제출하는데 내용에는 젖소정액의 원산지와 품종, 정액생산 센터 및 정액 을 생산한 소의 소속 농장, 수입하는 회사 및 농장 각각의 상 호명과 연락처, 주소가 포함되어야 한다. 이후 검역비용 납부 후 해당제품의 검역이 승인되면 동물건강증명서가 발행되면서 승인내역과 증명서가 세관에 자동적으로 통지된다.

    말레이시아 수출 검역 사례로 한국의 젖소정액 수출과 관련 하여 말레이시아 정부는 질병 비발생과 같은 포괄적인 검역조 건을 요구하였다. 세부적으로 정액생산용 소와 생산지역의 모 든 전염성 질병의 비발생, 정액생산소의 가계 내 전염성질병 비발생, 정액생산 시 OIE(국제수역사무국) 기준 준수의 내용 이 포함되어 있다. 이에 한국은 말레이시아의 요구조건을 모 두 맞추게 될 시 수출이 제한적이게 되므로 모든 전염성 질병 을 우결핵과 우역 등으로 제한하고 가계 내가 아닌 정액생산 소의 유전질병 비발생, BLAD(Bovine leukocyte adhesion deficiency), DUMPS(Deficiency of uridine monophophate synthase)로 명시하였으며, OIE 기준이 아닌 HACCP 기준 준 수로 일부 내용을 조율하여 보다 구체적인 검역조건을 제시하 였다(Table 3). 2017년 양국 간에 수출 검역 협정이 체결되어, 최초로 한국 젖소정액이 말레이시아로 수출되었다. 이후 한국 정부는 2019년 5월 말레이시아 현지 협동조합과 연계하여 육 성우 전문 목장법인을 설립하였으며, 한국산 젖소정액을 활용 한 우수 암송아지 생산 및 보급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결론 및 시사점

    말레이시아는 지난 40년 동안 5개년 단위로 이루어지고 있 는 국가 농업정책과 그 외 여러 정책들을 통해 낙농 유전자원 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있다. 그러나 오랜 노력에도 불구하 고 국내 소비량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우수 유전자원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 등으로 인해 현재까지 관련분야 낮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산업의 비구조화, 낮은 젖소 번식률, 수익성 있는 낙농산업 모델의 부재 및 현대적인 유전육종기술 사용의 부재 등 여러 가지 이유들로 인해 원유공급을 수입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소비자의 유제품에 대한 선호가 높아 짐에 따라 더욱 수요를 충족시키기 어려운 상황에서 원유 수 입의존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낙농 유전자원 개선이 필수불가 결하며 우수한 낙농 유전자원의 수입을 통한 개량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우리나라 낙농 유전자원의 수출 가능성을 모 색할 수 있으며 성공적이고 지속적인 수출을 위해서는 말레이 시아의 낙농산업 현황과 수출 진입에 따른 검역절차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낙농유전자원 검역통과를 위해서는 수입국의 포괄적인 검역 조건 제시에 대한 전략적인 접근방법이 필요하다. 검역조건에 따라 진입절차가 간소화될 수 있으므로 양국 간 협의를 통해 검역조건을 최소화하는 것이 관건이다. 말레이시아와의 협의 에서 우리나라는 모든 전염성 질병을 우결핵과 우역 등으로 제한하고 가계 내가 아닌 정액생산소의 유전질병 비발생, BLAD, DUMP로 명시하였으며, OIE 기준이 아닌 HACCP 기준 준수로 일부 내용을 조율하여 보다 구체적인 검역조건을 제시하여 제한적인 수출장벽을 해소하였다. 검역조건 간소화 를 위한 접근방법으로는 국제협력사업과의 연계, 현지 에이전 트 발굴로 적극적인 참여 유도 및 현지 홍보활동 등이 있다. 검역조건 체결 이후에는 검역통관 시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현지 파트너기관과 긴밀한 협조가 이루어져야 낙농유전자원의 지속적인 수출이 가능할 수 있다.

    적 요

    • 1. 말레이시아는 젖소 유전자원 개선을 위해 다수의 가축 사 육 프로젝트를 지원해오고 있다. 그러나 소비자의 유제품 수 요가 빠르게 늘어나는 상황에서 이를 충족시키기 위해 유전자 원과 유제품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이다.

    • 2. 이는 낙농산업 분야에서의 낮은 젖소 번식능력과 개체 수, 비구조화된 번식체계, 수입의존 유전자원, 수익성 있는 낙농산업 모델 부재, 현대적인 유전육종기술 한계에 기인한다 고 볼 수 있다.

    • 3. 말레이시아는 향후 정책지원을 통해 낙농산업의 효율성 향상을 진행할 것으로 전망되며, 이러한 상황 속에서 우리나 라의 우수한 낙농 유전자원 수출을 위해서는 현지 낙농산업 현황과 검역절차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 4. 말레이시아 젖소정액 검역 통관을 위해서는 포괄적인 검 역조건 대응으로 협의를 통한 검역조건 간소화가 필요하며, 수 출 지속성 제고를 위해 국제협력사업과의 연계, 현지 에이전 트 발굴을 통한 적극적인 참여 유도, 한류 등을 활용한 현지 홍보활동 방안이 있다.

    ACKNOWLEDGMENTS

    본 논문은 농촌진흥청 연구사업(과제번호: PJ01361101)의 지원에 의해 이루어진 것임.

    Figure

    KSIA-32-4-408_F1.gif

    Trend of livestock population in Malaysia (2009-2018).

    Source: DVS, 2013, 2015, 2019.

    KSIA-32-4-408_F2.gif

    Trend of dairy cattle population by breed in Malaysia (2009-2018).

    Source: DVS, 2013, 2015, 2019.

    KSIA-32-4-408_F3.gif

    Trend of output and consumption of milk product in Malaysia (2013-2019E).

    Source: DVS, 2013, 2015, 2019.

    E: Estimate.

    Table

    Malaysia developmental policies on the dairy sector

    Importing procedures and required documents for animal products in Malaysia

    Quarantine requirements and suggested conditions between Malaysia and Korea

    Reference

    1. AAFC(Agriculture and Agri-Food Canada).2019. Customized report service-Powdered milk in Malaysia. Accessed 16 November 2020. <https://www.agr.gc.ca>.
    2. DOSM(Department of Statistics Malaysia).2019. Selected Agricultural Indicators, Malaysia, 2019. Accessed 16 June 2020. <http://www.dosm.gov.my>.
    3. DVS(Department of Veterinary Services).2013. Malaysian Livestock Breeding Policy. Accessed 25 June 2020. <http://www.dvs.gov.my/dvs/resources/user_1/DVS%20pdf/Livestock_Breeding_Policy.pdf>.
    4. DVS.2013. Livestock Statistics 2012/2013. Accessed 1 June 2020. <http://www.dvs.gov.my/index.php/pages/view/1496>.
    5. DVS.2015. Livestock Statistics 2014/2015. Accessed 1 June 2020. <http://www.dvs.gov.my/index.php/pages/view/1498>.
    6. DVS.2019. Livestock Statistics 2018/2019. Accessed 1 June 2020. <http://www.dvs.gov.my/index.php/pages/view/2758?mid=42>.
    7. Faghiri, H. , Yusop, Z. , Krauss, S.E. , Othman, M.H. and Mohamed, Z. 2019. Factors Influencing the dairy industry development and milk production level in Malaysia: A hybrid approach of coding and theme develop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Mod-ern Trends in Business Research. 2(10):34-51.
    8. FAO.2019. Dairy market review: Overview of global dairy market developments in 2018. p.8.
    9. Ibragimov, A. , Fatimah, M.A. , Bala, B.K. , Bach, N.L. and Sahra, M. 2016. Management of beef cattle production in Malaysia: A step forward to sustainability. American Journal of Applied Sciences. 13(9) p.976.
    10. IMF.2020. Malaysia 2020 Article ? Consultation. No.20/57.
    11. KATI(Korea Agricultural Trade Information).2019. Malaysia Quarantine System. Accessed 16 November 2020. <https://www.kati.net/nation/basisInfo.do?lcdCode=MD191>.
    12. KATI.2017. Market Trends in Malaysia's Made Powdered Milk. Accessed 16 November 2020. <https://www.kati.net/board/export-NewsView.do?board_seq=80958&menu_dept2=35&menu_dept3=71&dateSearch=>.
    13. Khairunnisak, M. , Chandrawathani, P. , Tariq, J. , Saira Banu, M.R. , Faizah Hanim, M.S. , Zulkifli, A. , Santhi, M. , and Marzuki, Z. 2019. Short communication Microbiological Quality of local milk submitted to regional veterinary laboratories in 2017. Malaysian Journal of Veterinary Research. 10(2) pp.164-165.
    14. Korean embassy in Malaysia.2020. Malaysia's Economic and Financial Trends and Future Outlook in the First Quarter of 2020. p2.
    15. Mohamed, Z. , Hosseini, A. and Kamarulzaman, N.H. 2013. Analysis of Malaysian beef industry in peninsular Malaysia under different importation policies scenarios and rate management systems. Pertanika Journal of Social Science & Humanities. 21(S):1-16.
    16. Raymond, A.K. , and Saifullizam, A.K. 2010. The Cattle Artificial Insemination Industry in Malaysia. Malaysian Journal of Veterinary Research. 1(1):1-7.
    17. Statista.2020. Milk: Malaysia. Accessed 16 November 2020. <https://www.statista.com/outlook/40010100/122/milk/malaysia>.
    18. Suntharalingam, C. 2019. Marketing Mix of Milk and Dairy Products in Peninsular Malaysia. in Kusano, E.(ed.). Food Value Chain in ASEAN: Case Studies Focusing on local producers. ERIA Research Project Report FY2018 No.5 Jakarta: ERIA. pp.116-133.
    19. Suntharalingam, C. and Zhong, Z. 2015. Dairy sector in Malaysia: A review of policies and programs. Food & Fertilizer Technology Center Agricultural Policy Platform. Accessed 16 June 2020. <https://ap.fftc.org.tw/article/9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