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8504(Print)
ISSN : 2287-8165(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Vol.31 No.4 pp.393-398
DOI : https://doi.org/10.12719/KSIA.2019.31.4.393

Survey of Rice Cropping Systems and Nutrient Management in Different Agroecosystem, Southern Cambodia

Yun-Ho Lee, Myung-Chul Seo†
Crop physiology and production,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81, Hyeoksin-ro, Iseo-myeon, Wanju-gun, Jeollabuk-do 55365, Republic of Korea
Corresponding author (Phone) +82-63-238-5281 (E-mail) mcseo@korea.kr
November 1, 2019 December 4, 2019 December 10, 2019

Abstract


Cambodia rural area is under rapid development. However, rice grown in Cambodia mainly under rainfed lowland condition and average production is low. This study is based on 191 farmers from different agroecosystems of Takeo province in Cambodia, who were surveyed in 2015 using an interview questionnair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ice cropping system, cultivation management, and nutrient management at rainfed and irrigated lowlands, and recession rice field. In particular, the seed and nitrogen fertilizer consumption per area were 305 kg /ha and 121 kg /ha for KampongReab commune, respectively, a lot higher than recommended dose of nitrogen fertilizer. This may be due to limited irrigation supply and hand sowing. On the other hand, the seed and nitrogen fertilizer consumption per area of Popel commune was 71 kg /ha and 36 kg /ha, respectively, which was similar to the recommended dose. This is possibly because the commune has the highest number of rural extension services and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and new technologies including System of Rice Intensification have been introduced. It should be noted that the current rural communities in Cambodia are constantly changing. Thu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ppropriate cropping system considering water environment and topography for the rural development plan in Cambodia.



캄보디아 남부 농업 생태환경이 다른 지역에서 벼 작부체계와 비료 사용 관리에 대한 실태 조사

이 윤호, 서 명철†
국립식량과학원 작물재배생리과

초록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PJ0123012019

    서 언

    캄보디아에 있어서 벼는 매우 주요한 작물로서 2018년에 약 4.4만톤이 소비되었으며, 전체 재배면적의 80%를 차지하고 있 다(Index Mundi, 2019). 지난 2018년 우기에 수확된 재배 면 적은 26.5만ha이었으며, 단위 면적당 수량은 3.09 t/ha을 기록하 였다. 한편 건기에 수확된 재배면적은 5.9만ha이었고, 단위 면 적당 수량은 4.51 t/ha이었다(MAFF, 2019).

    캄보디아 벼 재배는 건기와 우기로 구분되며 벼 재배 면적 에 있어서 우기 재배가 약 83%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Kea et al., 2016). 캄보디아 농업 생태환경은 수분과 지형에 따라 천 수답 저지대(Rainfed lowland), 관개수로 저지대(Lowland irrigated/dry season), 감수지대(Recession rice) 및 천수답 고지 대(Rainfed upland)로 구분을 한다(Nesbitt, 1997). 천수답 저지 대는 1년에 1기작 지역으로 캄보디아 벼 재배 지역의 80.5%를 차지하며, 7월 중순에서 12월 하순까지 재배를 한다(MAFF, 2019). 저지대 관개수로지역은 1년에 2기작이 가능한 지역으 로 전체 재배 면적의 17.0%를 차지하며 4월 하순에서 7월 하 순 (이른 우기)과 7월 하순에서 12월 초순까지(주요 우기) 재 배를 한다. 감수지역은 메콩강과 밧삭강 및 뚤레샵이 범람하 는 지역으로 전체 재배 면적의 1.5%를 점유하고 있다(Fukai and Ouk, 2012). 이 지역은 강물이 범람하였다가 강물이 감수 하는 12월 중순에서 그 다음해 2월 중순까지 재배를 한다 (Fox and Wood, 1999).

    캄보디아는 정부는 지속적인 농촌지도를 통해 관개수로 정 비, 우량 품종 육성, 화학비료 및 병충해 관리 방법 등을 농 가에 보급하여 단위 면적당 생산량 증가에 공헌을 하였다(Kea et al., 2016). 그러나 아직까지 많은 저지대 천수답 농가에서 는 제한된 관개 공급과 재래품종의 사용으로 수량은 낮다. 또 한 지속적인 화학비료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농가는 비료 사용량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상태이다(Vuthy et al., 2014). 최근 캄보디아 농림수산부에 따르면 2018년까지 캄보 디아로 수입된 화학비료 량은 1,084,239톤이고, 농약은 61,537 톤이었다(MAFF, 2019). 캄보디아는 화학비료의 대부분을 인 접국가인 베트남(65%)과 태국(35%)으로부터 수입되고 있다 (World Bank, 2015).

    따라서 본 연구는 남부 캄보디아에서 농업 생태환경이 다른 지역을 대상으로 벼 작부체계, 벼 재배 방법과 화학비료 관리 에 대한 실태 조사를 하여 향후 캄보디아 농촌개발 사업에 기 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조사지역의 벼 생산량, 강수량 수집 및 농가 면접조사

    본 연구는 캄보디아 남부 Takeo주(Province)에 있는 TramKak와 Bati 및 PreyKabass지역(District)에서 농업 생태환 경이 다른 Popel코뮌(Commune), Potsar코뮌, KampongReab 코뮌을 대상으로 벼 작부체계, 재배법, 화학비료 관리에 대해 서 농가 면접조사를 하였다(Fig. 1). Takeo주는 수도 프놈펜에 서 남쪽으로 약 75km 떨어진 곳으로서 캄보디아 내에서 벼 생산량이 높은 지역 중에 하나이며, 동쪽으로는 밧삭강이 흐 르고, 남쪽으로는 베트남과 경계를 이루는 지역이다.

    TramKak와 Bati 및 PreyKabass지역에 대한 강수량과 강수 위 및 벼 생산량 자료는 Takeo주에 있는 수자원기상부 (Ministry of Water Resources and Meteorology: MOWRAM) 와 농림수산부(Ministry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MAFF)로부터 제공을 받았다. 또한 Takeo주의 토양 그룹은 캄 보디아 농업개발연구소(Cambodian Agricultural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CARDI) 토양, 물 관리실로부터 제공 을 받았다.

    면접 조사는 Popel코뮌, Potsar코뮌, KampongReab코뮌에서 농업을 생계로 하는 농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면접조사 방 법은 단순임의추출법으로 하였다. 총 표본 수는 191농가로 Popel코뮌 60농가, Potsar코뮌 75농가, KampongReab코뮌 56 농가를 방문 면접조사를 하였다. 조사는 재배가 시작하는 2015 년 7월중순부터 그 다음해 1월 말까지 실시하였다. 주요 조사 내용은 재배 품종, 재배면적, 종자 사용량, 육묘 일수, 재식거 리, 화학비료 관리 방법 등이었다. 조사 시간은 농가 당 약 30분 정도가 소요되었다.

    조사 지역의 벼 생산량, 강수량 및 토양 특성

    조사 지역의 벼 재배 면적과 단위 면적당 수량은 점진적으 로 증가를 보였다(Fig. 4). 2003년에서 2015년까지 TarmKak지 역의 벼 재배면적은 32,712 ha에서 35,724 ha로 9.2%가 증가하 였고, 이 기간 동안 평균 단위 면적 당 수량은 2.98 t/ha을 기 록하였다. 같은 기간 Bati지역의 벼 재배면적은 22,422 ha에서 22,500 ha로 0.35%가 증가하였고, 이 기간 동안 평균 단위 면 적 당 수량은 3.07 t/ha을 기록하였다. 또한 PreyKabbs지역은 같은 기간 동안 벼 재배 면적은 18,069 ha에서 20,290 ha로 12.3%가 증가하였으며, 동일 기간 평균 단위 면적 당 수량은 3.07 t/ha을 기록하였다. 3개의 코뮌에서 TarmKak지역이 벼 재 배 면적이 가장 높았으나, 단위 면적 당 수량은 다소 낮았다. 이는 천수답 지역에 따른 결과로 판단되었다.

    조사지역의 강수량과 하천 수위 간에는 유사한 양상을 보였 다(Fig. 2). 조사 지역의 지난 13년(2003년-2015년)간 TramKak 지역의 월 평균 강수량은 92 mm이었고, Bati지역이 88 mm이 었으며 PreyKabass지역은 88 mm이었다. 강수 양상은 6월부터 점점 높아지면서 10월에 최고 점을 찍은 후 11월부터 점점 감소를 보였다(Fig. 2A). KampongReab코뮌 인근에 있는 하 천 수위에 대한 측정한 결과(2004년-2015년)는 강수량과 매우 유사한 양상을 보였는데 우기가 시작하는 6월부터 강수위가 증가하면서 10월에 최고점에 도달한 후 11월부터는 강수위가 낮아졌다(Fig. 2B).

    Takeo주의 토양은 7개 그룹으로 분류가 되었으며(Fig. 3), 조사 지역의 토양 그룹은 프레이크마에(Prey Khmer: old alluvial, colluvial-alluvial)와 바칸(Bakan: colluvial-alluvial, old alluvial)으로 두개의 그룹으로 분포하였다. Popel코뮌과 Potsar코뮌의 토양 그룹은 프레이크마에로 캄보디아 내에 약 10- 12%를 차지하며 대부분이 사질토양이다. 반면 KampongReab코 뮌의 토양 그룹은 바칸으로 캄보디아에 약 10%에서 15%를 점유하고있으며 양질식토양라고 하였다(White et al., 1997;Seng et al., 2001;Hin et al., 2005).

    벼 작부체계

    3개 코뮌의 벼 작부체계는 농업 생태환경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Fig. 4). Tramkak지역의 Popel코뮌은 대표적인 천수답 저지대로서 재배 시기는 7월 중순에서 12월 중순이었고 1년 에 1기작을 시행하였다. 일반적으로 천수답 저지대는 논의 지 형에 따라 위, 중간 및 아래로 구분을 하여 중생종과 만생을 재배하다 하였다(Nesbitt, 1997). 이는 수분 공급과 수확시기와 관련이 있다고 하였다(Fukai and Ouk, 2012). 인근의 자연 호수를 이용하여 관개수로를 만든 Bati지역의 Potsar코뮌은 Takeo주의 대표적인 저지대 관개수로 지역이다. 1년에 2기작 이 가능한 지역으로 이른 우기인 4월 하순에 모내기를 시작하 여 7월 중순에서 7월 하순경에 수확을 한다. 이른 우기가 끝 나면 주요 우기로서 7월 하순에서 12월 중순까지 관개수로의 위치에 따라 중생종과 만생종을 재배한다. Preykabass지역의 KampongReab코뮌은 저지대 감수답 지대로 8월에서 11월까지 밧삭강의 범람으로 하천과 농지의 수위가 상승하다가 수위가 낮아지는 12월 중순부터 직파 재배를 시행한다. 이 지역은 관 개 공급에 따라 1기작 또는 2기작이 가능하며 대부분 조생종 이 재배되고 있다. 본 조사 결과 3개 코뮌의 작부체계는 수분 환경에 의해 만들어 지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벼 재배 관리

    3개 코뮌의 벼 재배 준비와 방법은 농업 생태환경에 따라 상이하였다(Table 1). Popel코뮌에서 재배되고 있는 품종은 재 래종인 Phka Khnei과 육성된 품종인 Phka Rumdoul로서 주 로 감광성 중생종과 만생종이 재배되고 있다. 반면 Potsar코뮌 은 이른 우기에는 IR504(IR50401-77-2-1-3)와 SenPidao과 같 은 조생종인 반면, 주요 우기(7월-12월)에는 Phka Rumdoul, PhkaChansensar, RiangChey와 같은 중생종과 만생종이 재배 되고 있다. KampongReab코뮌 지역은 2000년 중반까지 IR66 을 재배되었지만 2-3년 전부터 베트남에서 넘어온 IR504를 재 배하고 있다. 이 품종은 생육기간은 약 90일로 건기나 이른 우기에 많이 재배되고 있으며, 수확한 IR504의 대부분 남부 캄보디아 국경 지역을 통해 베트남으로 수출되고 있다(Wang et al., 2012;Dalgliesh, et al., 2016).

    농경지는 농가의 중요한 자산이자 경영 규모의 지표로 이용 된다. 조사 지역간 농가호당 벼 재배면적은 통계적 차이를 보 이지 않았지만, KampongReab코뮌이 다른 지역에 비하여 다 소 높았다. 농가호당 재배 품종 수는 Popel코뮌이 가장 높았 고, 그 다음으로는 Potsar코뮌 그리고 KampongReab코뮌 순이 었다. 본 조사에서 주목할 점은 Popel코뮌이 다른 지역에 비 하여 재배 품종 수가 많다는 것이다. 이는 논 지형에 따른 품 종 선택과 농가가 소유한 농지 수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 되었다. 일반으로 천수답 저지대에서 높은 지형에는 중생종이 재배되고, 낮은 지형에는 만생종이 재배된다 하였다 (Nesbitt,1997;Fukai and Ouk, 2012). Fig. 5

    재배면적당 종자 사용량에 있어서 KampongReab코뮌이 가 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는 Potsar코뮌이고 그리고 Popel코뮌 순 이었다. KampongReab코뮌이 다른 지역에 비하여 높은 원인 은 일반적으로 건기에 직파재배(hand broadcast)로 인한 것으 로 판단되었다. 캄보디아는 건기에 모내기 보다는 직파재배를 선호한다고 하였다(Chhun et al., 2019). 이는 건기의 제한된 수분 공급과 관련이 있다.

    벼 육묘 기간은 평균 Popel코뮌이 36일이고, Potsar코뮌이 44일로 조사되었다. Potsar코뮌은 관개수로 지역임에도 불구하 고 Popel코뮌에 비하여 육묘 일 수가 약 8일 정도 길었다. 이 는 일부 농가가 이른 우기(5월초에서 7월 말까지)에 재배를 하 여 주요 우기에 육묘 일수가 길어 진 것으로 판단되었다. 조 사 지역의 모내기 주 수는 Popel코뮌(주 당 2.7개)이 Potsar코 뮌(주 당 4.0개)에 비하여 낮았다. 본 조사지역에서 Popel코뮌 은 Takeo주에서도 농촌지도와 NGO의 활동이 가장 많은 지역 중에 하나이다. 특히 지난 2000년부터 SRI(System of Rice Intensification)라는 재배법이 보급되면서 종자 사용량과 모내 기 주 수 및 화학비료 량이 감소하고 있는 지역이다(Kennvidy, 2011;Lee et al., 2018).

    화학비료 및 퇴비 관리

    캄보디아의 화학비료 사용량은 우기와 건기에 각각 40%와 80%가 사용된다고 하였다(World Bank, 2015). 조사 지역의 대부분 농가에서는 요소(Urea, 46:0:0), 인산이암모늄(Diammonium phosphate, 16:46:0) 및 복합비료(16:16:8:13s)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KampongReab코뮌은 복합비료를 사용 되지 않았다. 조사 지역의 면적 당 비료 사용량을 알아보기 위해 비료종류와 성분을 조사하였다(Table 2). 특히 질소량은 KampongReab코뮌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는 Potsar코뮌 이고 그리고 Popel코뮌 순이었다. KampongReab코뮌이 가장 높은 원인은 제한된 수분 조건에서 최대 수량을 올리기 위한 농가들의 관행적 행동과 IR품종의 재배에 따른 결과로 판단되 었다. 반면 Popel코뮌은 상대적으로 KampongReab코뮌과 Potsar코뮌에 비하여 질소량이 매우 낮았다. 이는 아직까지 재 래품종의 사용과 함께 상대적으로 높은 퇴비 투입량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Potsar코뮌은 KampongReab코뮌과 Popel 코뮌의 중간이었는데 이러한 원인은 일부 농가에서 개선된 품 종 사용과 함께 원활한 수분 공급의 결과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조사 지역의 면적 당 비료 사용량은 농업 생태환경에 따 라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캄보디아 정부는 토양그룹에 따라 비료 권장량을 보급하고 있다(Blair and Blair, 2010). 조사지역의 토양 그룹에 따라 비 료 권장량은 Potsar코뮌과 Popel코뮌의 질소 투입량은 28 kg/ ha이라고 하였다. 조사 결과 Popel코뮌은 권장량과 비슷하였으 나 Potsar코뮌은 권장량에 비하여 다소 높았다. 반면 KampongReab코뮌의 토양 그룹은 권장량이 75 kg/ha인데 실제 농가에서는 이 보다 훨씬 초과를 하였다. 본 조사 결과에는 없지만 Popel코뮌이 Potsar코뮌에 가축 수가 많기 때문에 Popel코뮌이 Potsar코뮌에 비하여 높았다. 반면 KampongReab 코뮌은 하천과 농경의 범람으로 인해 퇴비를 투입하지 않는다 고 하였다.

    본 연구 결과 남부 캄보디아는 농업 생태환경에 따라 작부 체계, 재배법 및 비료관리에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본 조사가 끝날 무렵 조사 지역 인근에 봉제 공장이 생겼다. 이러한 결 과 일부 농가에서 일 손 부족현상이 나타나면서 모내기 보다 는 직파 재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향후 캄 보디아 농촌개발에 있어서 생태환경에 따른 직파 재배법이나 기계화에 대한 관심을 가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적 요

    본 연구는 남부 캄보디아 Takeo주에서 수분환경에 의한 벼 생태 환경이 다른 농가를 대상으로 벼 작부체계, 벼 재배법 및 비료 관리에 대한 결과이다. 저지대 천수답 지역, 저지대 관개수로 지역 및 감수지역의 작부체계는 양상은 상당한 차이 를 보였다. 또한 조사지역에 있어서 품종, 육묘일 수, 재배 방 법, 비료 관리 등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면적 당 종자 사용량과 질소 비료 사용량은 KampongReab코뮌이 각각 305 kg/ha과 121 kg/ha로 질소 비료는 권장량을 훨씬 초과를 하였다. 이는 제한된 관개공급과 직파 재배에 의한 원인으로 볼 수 있다. 반면 Popel코뮌의 면적 당 종자 사용량과 질소 비료 사용량은 각각 71 kg/ha와 36 kg/ha로 질소량은 권장량과 비슷하였다. 최근 이 지역은 농촌지도 활동과 NGO 활동이 가 장 높은 지역으로서 새로운 농업기술이 즉 SRI가 많이 보급 되어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 주목할 점은 현재 캄보디아 의 농촌의 발전은 현재 진행이다. 따라서 향후 캄보디아 농촌 개발계획에 있어서 수분과 지형에 따른 재배법 등에 정확한 목표를 두고 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CKNOWLEDGMENTS

    본 연구는 농촌진흥청 작물시험연구사업 (과제 번호: PJ0123012019)의 지원에 의해 수행되었다.

    Figure

    KSIA-31-4-393_F1.gif

    Study area of Takeo province

    KSIA-31-4-393_F2.gif

    Monthly rainfall (A) and water level at Thnaut Kanchrung, Takeo in study area

    KSIA-31-4-393_F3.gif

    Rice soil map of Takeo province

    BK: Bakan, KP: Kbal Po, KR: Krakor, KT: Koktrap, OR: Orung, PK: Pre Khmer, PL: Prateah Lang

    KSIA-31-4-393_F4.gif

    TramKak(TK), Bati(Bt), and PreyKabass(PK) rice cultivation area and yield, 2003-2015

    KSIA-31-4-393_F5.gif

    Rice cropping systems by agroecosystem at Popel, PotSar, and Kampong Reab communes.

    Table

    Rice cultivation practices by different agroecosystem at Popel, PotSar, and Kampong Reab communes.

    Nutrient management by different agroecosystem at Popel, PotSar, and Kampong Reab communes.

    Reference

    1. Blair, G. and N. Blair.2010. Soil fertility constraints and limitations to fertilizer recommendations in Cambodia. 2010 19th World Congress of Soil Science, Soil Solutions for a Changing World 1-6 August 2010, Brisbane, Australia. Published on DVD.
    2. Chhun, S. , V. Kumar, R. J. Martin, P. Srean, and B. A.R. Hadi.2018. Weed management practices of smallholder rice farmers in Northwest Cambodia. Crop Protection. Available online 16 April 2019.
    3. Dalgliesh, N. P. , P. Charlesworth, L. Lonh, and P. L. Poulton.2016. Promoting resilience in Cambodian lowland rice ecosystems- Farming system research to support flexible climate response strategies for smallholder farmers. Field Crops Research. 198:148-159.
    4. Fox, J and J. Ledgerwood.1999. Dry-season flood-recession rice in the mekong delta: two thousand years of sustainable agriculture. Asian Perspectives. 38(1): 37-50.
    5. Fukai, S. and Ouk, M. 2012. Increased productivity of rainfed lowland rice cropping systems of the Mekong region. Crop and Pasture Science. 63 (10): 944-973.
    6. Hin, S. , N. Schoknecht, W. Vance, R.W. Bell, and V. Seng,2005. Soil and Landscapes of Sandy Terrain in Tram Kak district, Takeo province, Kingdom of Cambodia. CARDI Soil and Water Science Technical Note No.7.
    7. Index Mundi.2019. Cambodia milled rice domestic consumption by year. https://www.indexmundi.com/agriculture/?country=kh&commodity=milled-rice&graph=domestic-consumption, (Accessed 10 November 2019).
    8. Kea, S. , H. Li, and L. Pich.2016. Technical efficiency and its determinants of rice production in Cambodia. Economies. 4(4): 22.
    9. Kennvidy, S. 2011. Organic rice farming systems in Cambodia: socioeconomic impact of smallholder systems in Takeo Province.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and Rural Development. 2(1): 112-117.
    10. Kleinhenz, V. , S. Chea, and N. Hun.2013. Survey of rice cropping systems in Kampong Chhnang province, Cambodia. Rice Science. 20(3): 154-164.
    11. Lee, Y.H., M.C. Seo, J.I Cho, H.S. Cho, J.H. Kim, P. Shin, J.K. Baek, and W.G. Sang.2018. On-Farm Study of the System of Rice Intensification (SRI) of Rainfed Lowland in Southern Cambodi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e. 30(4): 285-291.
    12. Ministry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of Cambodia.2019. Annual report for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2018- 2019 and Direction 2019-2020. MAFF Conference.12 March 2019.
    13. Nesbitt, H. J. 1997. Rice production in Cambodia. Cambodia-IRRIAustralia Project.
    14. Seng, V. , C. Ros., R.W. Bell., P.F. White, and H. Sarith.2001. Nutrient requirements of rainfed lowland rice in Cambodia. In: Fukai, S. and Basnayake, J., (eds.) Increased Lowland Rice Production in the Mekong Region; proceedings of an international workshop held in Vientiane, Laos, 30 Oct-1 Nov. ACIAR, Canberra, pp.169-178.
    15. Vuthy, T. , K. Pirom, and P. Dary.2014. Development of the fertilizer industry in Cambodia: Structure of the market, challenges in the demand and supply sides, and the way forward. A CDRI Publication. Working Paper Series. No. 91.
    16. Wang, H. , S. Pandey, and O. Velarde.2012. Pattern of adoption of improved rice varieties and its determinants in Cambodia. Procedia Economics and Finance. 2: 335-343.
    17. White, P. F. , T. Oberthur, and P. Sovuthy.1997. The soils used for rice production in Cambodia. A manual for their recognition and management. Manila (Philippines): International Rice Research Institute. 71.
    18. World Bank.2015. Rapid appraisal of fertilizer quality in Cambodia. The International Bank for Reconstruction and Development / The World Bank 1818 H Street, NW, Washington, DC 204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