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8504(Print)
ISSN : 2287-8165(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Vol.31 No.2 pp.123-130
DOI : https://doi.org/10.12719/KSIA.2019.31.2.123

Analysis on Once-over Harvesting System of Chinese Pepper

Doojong Ha*†, Chilku Choi**, Sugon Woo***, Jongzhu Li****
*RDA Farm & Agribusiness Management Division, Jeonju 54875, Korea
**RDA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Wanju 55364, Korea
***RDA Farm & Agribusiness Management Division, Jeonju 54875, Korea
****Qingdao Agricultural Univ., Chengyang Qingdao 266-109, China
Corresponding author (Phone) +82-63-238-1191 (E-mail) workman@korea.kr
December 24, 2018 June 10, 2019 June 14, 2019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once-over Chinese pepper harvesting system and to adapt it to Korea pepper farming system. To analyze, 7 farm households in Xinjiang area and 11 farm households in Jilin pepper farm were surveyed. The cultivated type has been made in the column 25 cm × row 41 cm × width 110 cm in the Xinjiang area and column 26 cm × row 63 cm × width 118 in Jilin area. The labor input was 10.2 days, which is 5.7 days for self-input labor and 4.5 days for self-employed labor in the Xinjiang area. Jilin input a total of 7.4 days, with 4.0 days of self-employment and 3.4 days of employment. The yield of dried pepper per 10a in Xinjiang area was 666 kg. The gross income was 5,530 Yuan, the management cost was 3,901 Yuan, so the profit become 1,629 Yuan. In Jilin Province, the yield of dried pepper was 554.4kg per 10a. The gross income was 4,684 Yuan, the management cost was 2,579 Yuan, so the net income came to 2,105 Yuan. It is difficult to adapt in Korea red pepper farm, because of different climate and soil condition. But it is expected to greatly reduce management costs if once-over harvest system is adopted to Korea red pepper industry with several consideration.



중국의 일시수확 고추 생산체계 분석

하 두종*†, 최 칠구**, 우 수곤***, 이 종수****
*농촌진흥청 농산업경영과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농촌진흥청 농산업경영과
****청도농업대학교

초록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PJ012105

    연구의 필요성

    고추는 우리나라의 음식문화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채소이다. 주로 음식의 양념으로 사용되고 있고, 김치, 고추장 등의 주재료로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생산 을 위한 노동력이 많이 소요됨에도 불구하고 주요 채소로 재 배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고추 재배 면적은 1980년 133천ha를 정점으로 점점 감소하여 2017년에는 28천ha까지 감소하고 하 였다. 재배면적의 감소에 따라 생산량도 125천톤에서 56천톤 까지 줄어들었다(농식품주요통계). 국내에서 부족한 고추 수요 량은 외국에서 수입하여 충당하고 있다.

    생산량이 줄어든 이유는 경영비 상승, 농촌의 고령화로 인한 노동력 부족과 기상여건의 악화에 따른 단위당 생산량 변동 등 이다. 우리나라에서 식재료로 필수적인 고추의 기반이 점점 줄 어들고 있기 때문에 안정적인 고추 산업의 유지와 발전을 위 해서 생산 기반 확보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고추 재배에 있 어서 가장 큰 애로사항은 농촌노동력의 감소와 노령화에 따른 노동력 부족과 경영비 상승이다. 이중에서 농가에서 능동적으 로 해결할 수 있는 것이 경영비 절감이다. 새로운 기술의 투입 으로 생산량을 늘리거나, 품질향상으로 농가수취가격을 높일 수도 있다. 경영비 절감을 위해서는 새로운 생산기술의 도입이 필요하다. 우리나라 고추재배에 있어서 가장 많은 경영비가 소 요되는 작업과정은 수확작업이다. 고추 재배는 파종, 육묘, 정 식, 병해충방제, 수확, 건조의 재배 과정을 거치며 노동력이 매 우 많이 투입되는 작물로 수확노동력이 전체 노동력의 약 26%를 차지한다(허봉구 등 2001, 황재문 2002). 정종성 등 (2003)의 연구에 의하면 일시수확체계를 도입하면 전체 투입 노동력의 48%가 절감된다고 보고하였다. 우리나라 고추는 6~7 회 정도 수확 작업을 하므로 수확에 투입되는 노동력을 줄이 면 경영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다. 수확에 필요한 악성노동력 을 줄이면 농가들의 고추재배 참여는 확대 될 것이며 농가의 소득도 증가할 것이다.

    그동안 고추의 수확노동력 투입을 줄이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특히 여러 번에 나누어 수확하지 않고 한 번에 수확하는 일시수확 재배법에 대한 연구도 많이 진행되었다. 그 러나 일시수확재배 시스템은 고온다습한 한국의 기상여건에 적합하지 않아 실질적으로 농가에 적용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중국의 고추 주산지에서는 대부분 일시수확체계 (Once-over Harvesting System)에 의한 재배가 이루어지고 있 다. 중국의 기후와 토양이 우리나라와 다르기 때문에 중국의 고추 일시수확체계를 바로 우리나라에 도입하기에는 현실적으 로 애로사항이 많은 것으로 판단되지만 중국의 일시수확시스 템을 분석하여 점차 개선하여 나간다면 우리나라의 고추산업 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이 논문에서는 중국의 고 추 일시수확체계를 분석하여 우리나라 고추재배 시스템에 적 용가능성을 검토해 보고자 한다. 주요 연구 내용으로는 중국 고추 일시수확재배 체계, 투입노동력비교, 경영비, 소득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선행 연구 검토

    전종옥 등(2003)의 연구 결과 한국에서 고추 일시수확 계통 은 일반품종보다 수량이 4% 정도 감소되었으며, 역병 및 탄 저병 발생률은 일시 수확형 계통이 현저하게 낮은 것으로 조 사 되었다.

    고추 직파재배 적정 거리는 120 cm 이랑에 20 cm 간격으로 2줄 재배가 적당하다고 보고하였다. 한국의 건고추 수확은 4~7 차례 수확하여 건조하는데 이 시기에 노동력이 많이 소요 된 다(정종성 등, 2003). 시험 결과 10a 당 노동력 투입시간은 일관생산체계에서 관행대비 43~48% 수준으로 낮게 나타났다. 생산비는 일관생산기술이 관행대비 73~79% 수준으로 낮았다 (정종성 등, 2003).

    하두종 등(2015)은 중국의 채소류 생산관리체계를 분석한 연 구에서 중국의 산동지역 고추관리체계를 분석하여 제시하였지 만 일시수확고추에 대한 분석은 실시하지 않았다. 이외에 한 국의 고추일시 수확재배에 관한 연구(황재문 2002, 조명철 등, 2002)는 주로 육묘, 기계, 품종 등에 관한 연구이며 재배체계 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중국의 고추에 관한 연구는 新疆지역에서 많이 진행되었으 며 그중에서 생산량, 비용절감, 발전방안 등에 관한 연구는 다 음과 같다. 高万里(2014)는 중국 백성지역 고추산업발전방안 대책 연구에서 고추 산업체인의 형성은 지역의 농촌 경제 발 전에 기여하였으며, 동시에 지역에 많은 일자리를 제공하고 이 주 노동자 수를 줄였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도 고추산업의 발전이 곧 지역의 일자리 창출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志信 등(2012)은 중국 新疆지역 고추 특산품 발전방안 연 구에서 新疆지역의 고추 재배 면적은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고추 산업은 농업 개발 방식을 변화시키고 시장 공급을 보장 하며 농민 소득을 증가 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보고하였다. 그렇지만 시장의 큰 가격 변동 및 불안정한 제품 품질은 고추 산업의 발전에는 저해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생 산 표준화가 낮고 대규모 운영 및 전문 생산 수준이 높지 않 다. 제품 품질이 고르지 않으며 브랜드 규모가 불충분하며 시 장 경쟁력이 강하지 않다고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다.

    宋文 등(2010)은 新疆지역의 건조 및 가공 고추 산업의 개요 및 개발 동향 연구에서 新疆지역의 건고추는 중국내 다 른 산지보다 2~3배 더 많이 생산되며, 10a당 건고추 평균 생 산량은 400~450 kg로 분석하였다. 품질면에서 新疆지역의 말 린 고추는 과형이 크고, 매운맛이 적당하고, 당분이 높고, 맛 도 좋고, 적색소 함량이 높은 등 장점이 있으며, 판매가격이 국내 고추 생산지역 강서, 하남, 산동 보다 낮아 국내외 시장 에서 비교적 우세하다고 하였다.

    宋文 등(2014)의 新疆지역의 가공형 고추 파종 및 수확 기계화 재배기술 연구에 의하면 기계를 이용한 파종과 수확은 新疆지역 가공형 고추 재배에서 종자 사용량 및 재배 원가를 대폭 낮출 수 있었다고 한다. 또한 건고추 평균생산량도 450 kg/10a 이상 확보하면서 파종량은 600~700 g/10a에서 120~150 g/10a로, 생산원가는 1,000위안/10a에서 567위안/10a 으로 인하하면서 생산비도 400위안으로 낮췄다. 중국에서도 정 식과 수확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여 경영비를 절감하고자 하는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葛菊芬 등(2010)은 新疆지역에서 고추는 토마토 다음으로 중 요한 작물이며 2009년 재배면적은 3백 67만 m2로 1인당 평 균 순수입은 9,131위안이라고 제시하였다. 생고추는 10a당 평 균소득이 1,500위안을 넘어섰고, 색소용 건고추의 생산량은 10a당 450~500kg이라고 밝혔다.

    王등(2014)의 新疆지역의 고추 재배의 비교 우위에 관 한 실증 연구에서는 新疆지역 고추의 지역별 우위성은 지형, 기후, 경제적 수준 및 식재 이력의 차이로 인해 발생한다고 밝혔다. 이상에서와 같이 중국에서는 新疆지역에서 가격우위 와 품질이 좋은 고추가 생산되고 있으며 농가의 주소득원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수확, 건조 등에 투입 되는 노동력이 적기 때문에 수익성이 높음을 알 수 있다.

    중국의 고추 일시수확 생산 체계 비교

    조사 지역 및 재배 형태

    조사지역은 중국의 新疆自治區 博湖縣과 吉林省 image.gif南市를 직접 방문하여 농업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新疆自 治區는 연간 강수량이 180 mm 이하로 고온건조하고 강수량이 적어 천산산맥에서 나오는 지하수를 이용한 농업을 하고 있 다. 농지는 대면적(1구획 가로 100 m ×세로 1,000 m)을 이용 한 기계화된 농업을 영위하고 있다. 新疆지역의 건고추 연간 재배 면적은 35,000 ha에 달하고 말린 고추의 연간 생산량은 15-20 만톤 수준이다(宋文 등, 2010).

    吉林省은 북방 대륙성 계절풍 기후에 속하며 겨울이 춥고 길며 여름은 짧고 따뜻하다. 1월의 평균 기온은 -20에서 -14 도까지 떨어지며, 7월에는 16도에서 24도 사이에 분포한다. 연 강수량은 350~1,000 mm 정도이다.

    新疆지역은 10농가를 조사하여 그중 7농가를 분석에 이용하 였다. 吉林지역은 15농가를 조사하여 11농가를 분석에 이용하 였다. 조사농가의 호당 총재배면적은 新疆이 37,028 m2, 吉林 이 85,000 m2 이며, 이중에서 가구당 고추 평균 재배면적은 각각 22,589 m2, 14,636 m2로 조사되었다<Table 1>.

    지역별 고추 재배 형태를 보면 新疆지역은 주간 25 cm × 조간 41 cm ×이랑넓이 110 cm으로 재배하고 있으며 吉林은 주간 26 cm ×조간 63 cm ×이랑넓이 118 cm로 재배하고 있 는 것으로 나타나, 新疆지역이 좀 더 밀식 재배를 하고 있다. 또 다른 특징은 新疆지역은 평지에 고추를 심고 난 후 이랑만 만들어 주는 형태이지만 吉林지역은 두둑을 형성한 후 두둑의 가장자리에 고추를 식재한다. 新疆지역은 대부분 위탁작업에 의한 기계멀칭을 하고 있지만 吉林지역은 농가에서 직접 수작 업을 이용한 멀칭 작업을 하고 있다. 또한 新疆지역은 1포기 에 2주를 심지만 吉林지역은 1포기에 1주만 식재하는 등 재 배 형태에 차이가 많다<Table 2>.

    생산체계

    지역별로 일시수확 고추의 재배체계는 대부분 비슷하나 지 역적 특색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다. 각 지역별 일시수확고 추재배의 체계를 <Table 3>에 정리하였다. 新疆은 묘를 구입 하고 경운, 정지, 멀칭 위탁(위탁회사는 대형기계를 이용하여 일관작업) → 자가노동과 고용노동을 이용하여 정식 → 정식 후 제초작업을 5회 정도 실시 → 고추가 조금 자라면 기계를 이용하여 이랑작업 실시 → 수로를 통하여 물을 인입한 후 고 추 포장에 점적관수하기 때문에 물관리에 많은 시간을 할애함 → 관수를 중지하면 고추가 점점 익고, 잎이 마르면 포기 채 수확을 하거나 일시에 수확 → 수확 후 건조를 위하여 사막으 로 이동하거나 본 밭 바닥에 널어 말리기도 한다. 농가가 10a 에 투입하는 종묘는 9,507주이며 주당 가격은 0.08위안으로 총 투입 종묘비는 6,240위안이다. 종묘는 128공 트레이에 육 묘되어 있으며 트레이 당 가격은 10위안 정도이다. 특징적인 것은 1주당 2본을 식재하여 초 밀식재배를 하고 있으며, 재식 거리는 주간 25 cm ×조간 41 cm ×이랑사이 110 cm으로 초 밀식재배를 하고 있다. 정식을 할 때는 두둑을 만들지 않고 평지에 멀칭 후 심지만 활착 후 기계를 이용하여 골을 파서 이랑을 만든다. 관수는 천산 산맥의 물을 지하관정을 이용하 여 퍼 올려 점적관수하고, 추비는 점적관수로 액비를 시비한 다. 병해충 방제는 연간 7.9회 정도 실시한다. 관수를 중단하 거나 고사제를 살포하면 잎줄기가 마른 후 일시에 수확한다. 수확이 종료되면 본 밭에 널어서 말리거나 인근 사막으로 이 동하여 자연 건조한다.

    吉林省 도남시의 일시수확고추 재배는 新疆지역과 비슷하지 만 다른 지역과는 차이가 있다. 2월 10일경 종자를 파종하여 자가 육묘를 하거나 주당 0.08위안에 공정육묘를 구입하기도 한다. 10a에 소요되는 묘의 수는 6,084주로 新疆지역보다는 소 요량이 적다. 1주에 1본을 심는 것과 정식 전 먼저 두둑을 만 든 후 가장자리에 2줄로 심는 점이 新疆의 재배체계와 다른 점이다. 추비는 점적관수로 실시하고, 점적관수 호스는 멀칭 비닐 아래에 설치한다. 일시수확하여 자연건조하거나 열풍건 조하기도 한다.

    재배품종 및 재배기간

    新疆지역에서 재배 중인 고추는 ‘흥농 19호’, ‘미연’ 등이며, 식 용으로 판매되기도 하지만 주 용도는 색소 추출용이며 매운 맛 이 적고 단맛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2월 10~20일 파종하여 4월 10~20일 정식한다. 9월 20~25일 수확하며 재배기간은 160일로 吉林지역보다 40일 이상 재배기간이 길다<Table 4>. 따라서 수 확량이 많고 색택이 좋아 품질이 우수하다. 고추 종자는 1 kg 단 위로 비닐 포장 되어 있으며 가격은 40위안으로 조사되었다.

    吉林지역은 조사농가 모두가 금탑종자를 금탑회사와 계약재배 하고 있으며, 재배기간은 新疆지역보다 지역특성상 짧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吉林지역이 위도가 높아 여름이 짧기 때문이다. 이 지역에서 생산되는 고추는 금탑회사에서 전량 수매하여 고춧가 루, 냉동고추, 건고추를 만들어 한국, 일본 등으로 수출된다.

    투입노동력

    新疆지역의 고추 전체 재배기간에 투입되는 자가노동은 10a 당 5.7일, 고용노동은 4.5일으로 총 10.2일이며 자가노동력 투 입이 많다. 吉林지역은 자가노동 4.0일, 고용노동 3.4일으로 총 7.4일을 투입하고 있다. 新疆지역이 吉林지역은 물관리, 시비 등에서 노동력이 많이 투입되고 있다. 한국의 고추 생산에 투 입되는 노동력 19.6 시간에 비하면 중국은 8.9시간으로 45.4% 수준이다. 연간 6회 정도 수확하는 한국에 비하여 중국은 1회 만 수확하기 때문이다. 고용노동력 투입은 오히려 한국보다 19.7%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新疆지역에서 대규모 재배 면적에 필요한 노동을 고용노동에 의존하기 때문이다<Table 5>. 다만 우리나라의 고추 수확에만 투입되는 작업단계별 노 동시간에 대한 통계가 없어서 각 단계별 투입되는 노동력을 별도로 비교 할 수 없었다.

    경영성과 및 경영비 비교

    新疆지역의 10a 당 건고추 생산량은 666 kg 이며, kg 당 8.3위안에 판매하여 조수입은 5,530위안으로 조사되었다. 경영 비는 3,901위안이 투입되어 소득은 1,630위안으로 분석되었다 <Table 6>. 경영비 중에서 비료비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이 종 묘비 인 것으로 나타났다. 재료비와 고용노력비는 높은 비중 을 차지하지 않고 있다. 吉林지역은 건고추만을 생산하거나 또 는 생고추를 생산하는 형태이다. 건고추를 생산하는 7농가는 554.4 kg/10a을 생산하고 kg당 가격을 9.0위안 수취하였다. 생 고추를 생산하는 4농가의 평균 생산량은 2111.6 kg/10a이며 kg당 가격을 1.9위안 수취하였다. 이들 11농가의 평균 조수입 은 4,684위안으로 나타났다. 경영비는 2,579위안이 소요되어 소득은 2,105위안으로 나타났다. 吉林지역 역시 경영비 종묘 비가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높으며 비료비, 농지임차료 순이 었다. 양 지역을 비교해보면 新疆지역은 생산량이 높으나 투 입비용 역시 높아 소득이 吉林지역보다 다소 낮은 것으로 분 석 되었다. 투입비용 중에서 가장 많이 차이 나는 항목은 수 로관리비 및 물세이며 토지임차료와 위탁영농비도 新疆지역에 서 많이 투입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新疆지역은 고추 재배 면적이 넓어 경운, 정지, 멀칭, 시비를 기계화에 의한 위탁작 업을 많이 실시하기 때문이다.

    新疆지역과 吉林지역의 일시수확 고추의 가격과 수량을 비 교하였다. 우리나라와도 10a 당 수량을 비교하였다. 수량은 신 강지역에서 양호한 기후조건과 밀식재배로 吉林지역보다 높게 나타났다<Table 7>. 우리나라와 비교해보면 新疆지역은 2.35 배, 吉林지역은 1.96배 생산량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우 리나라보다 월등하게 높게 나타나는 이유는 기후와 토양 조건 이 좋아 밀식재배가 가능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新疆 지역의 건고추 생산량은 평균적으로 500 kg/10a가 된다고 宋 文 등(2014), 葛菊芬 등(2010), 馬艶靑(2011) 등의 논문과 中國統計年鑑(1999)에도 제시하고 있다.

    출하

    新疆自治區 博湖縣의 주출하처는 산지 수집상 또는 산동성 상인이다. 주용도는 적색을 추출하는 색소용이고 일부는 수출 또는 식용으로 판매되기도 한다. 吉林省 image1.gif南市은 金塔회사에 서 계약재배 후 전량을 수매하여 고추가루, 고추양념, 고추장 등으로 제조 후 한국과 일본으로 수출한다<Table 8>.

    수출

    우리나라에 수출되는 대부분의 고추는 山東省 靑島에서 가 공된다. 가공되는 종류는 건고추, 냉동고추, 고춧가루 등이다. 산동성의 고추류 수출단계별 비용 및 수익구조(’15년 기준)를 <Table 9>에 나타내었다. 건고추 기준으로 보면 농가수취가격 은 톤당 8,500~9,500 위안이다. 도매가격은 톤당 9,000~9,500 위 위안이며 수송비와 가공 과정을 거치면 수출가격은 톤당 2,150~2,200달러 수준으로 형성된다. 냉동고추의 농가수취가격 은 톤당 2,800~3,500위안이며, 도매가격은 3,600~3,800위안, 냉동 가공과정을 거치면 수출가격은 630~680달러가 된다. 고 춧가루 역시 같은 과정을 거치며 수출 가격은 건고추보다 조 금 높은 톤당 2,300~2,350달러에 형성된다.

    적 요

    1.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고추재배 경영비 절감방안을 모색 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중국의 일시수확재배체계를 조사 분석하였다.

    2. 중국의 新疆自治區 博湖縣과 吉林省 南市를 직접 방문 하여 新疆지역은 10농가를 조사하여 그중 7농가를 분석에 이 용하였다. 吉林지역은 15농가를 조사하여 11농가를 분석에 이 용하였다.

    3. 재배형태는 新疆은 주간 25 cm × 조간 41 cm × 이랑넓 이 110 cm 이며, 吉林은 주간 26 cm × 조간 63 cm × 이랑 넓이 118 cm로 재배하고 있다. 新疆지역은 평지에 고추를 심 고 난 후 이랑만 만들어 주는 형태이지만 吉林지역은 두둑을 형성한 후 두둑의 가장자리에 고추를 식재한다. 또한 新疆지 역은 1포기에 2주를 심지만 吉林지역은 1포기에 1주만 식재 하고 있다.

    4. 노동력투입은 新疆지역이 10a당 자가투입노동은 5.7일, 고 용노동은 4.5일으로 총 10.2일이다. 吉林지역은 자가노동 4.0일, 고용노동 3.4일으로 총 7.4일을 투입하고 있다. 연간 6회 정도 수확하는 한국에 비하여 중국은 1회만 수확하기 때문이다.

    5. 경영성과는 新疆지역의 건고추 생산량은 666 kg/10a 이며, kg당 8.3위안에 판매하여 조수입은 5,530위안이며, 경영비는 3,901위안이 투입되어 소득은 1,630위안으로 분석되었다, 吉林 성은 농가에서 건고추 또는 생고추를 생산하고 있다. 이들 지 역의 건고추 7농가, 생고추 4농가의 평균 조수입은 4,684위안 이며, 경영비는 2,579위안이 소요되어 소득은 2,105위안으로 나타났다. 新疆지역은 생산량이 높으나 투입비용 역시 높아 소 득이 吉林지역보다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6. 이상과 같이 중국에서는 대부분 일시수확 재배체계를 적 용하여 고추를 생산하고 있다. 경영비 중에서 수확에 투입되 는 비용이 적기 때문에 전체 경영비가 우리나라에 비해 적게 투입되고 있다. 우리나라와는 기후와 토양이 달라서 일시수확 재배법을 바로 적용하기는 어렵지만, 비가림 온실재배, 일시수 확 품종 개발 등과 같이 문제점을 개선하여 도입한다면 경영 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CKNOWLEDGMENTS

    본 논문은 농촌진흥청 국제농업기술협력사업(PJ012105)의 지원에 의해 이루어진 것임.

    Figure

    Table

    The characteristics of analyzed farm households and cultivation area

    Type of pepper cropping system by region

    Once-over harvesting pepper production system

    Cropping varieties and production system

    Labor input(¥, day/10a)

    Income and production cost(10a)

    Comparison of dried pepper price and yield between China and Korea

    Main distributor and purpose

    Analysis of pepper export cost in Sandong province(¥/ton)

    Reference

    1. Chinese Statistic Yearbook, 1999, 2000. China Statistic Publish Co.in Chinese.
    2. Cho, M.C. , Jung, S.Y. , Chang, Y. , Kim D.H. , Lee, W.M. , Bae, D.H,2002. Breeding New variety of Once-over Harvest Pepper, Horticulture Research Report.
    3. Ge, J.F. , Yan, T. , Ou, Y.W. , Tian, Z. ,2010. Xinjiang Pepper Development Strategics, Pepper Journal(Quarterly), 2010(2): 8-11 in Chinese.
    4. Go, W.L. ,2014. Baichung-city Pepper Industry Development research, North Horticulture, 2014(4): 159-161.
    5. Ha, D.J. , Yu, C.W. , Choi, C.G. , Choi, S.J. , Lee, J.S. ,2015. Analysis Between Chinese and Korean Vegetable Production System,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27(5): 614-621.
    6. Heu, B.G. , Jang, G.S. , Kim, H.K. ,2001. Development of Cost Reducing Pepper Production Technology, Kyeongbuk Pepper Experimental Station Report, pp. 469-475.
    7. Jeon, J.O. , Park, J.H. , Shin, S.K. , Yoon, T. ,2003. Farm Adoption of Pepper Machinary Planting and Once-over Harvesting Model, Horticulture Research Report. pp. 113-117.
    8. Jung, J.S. , Jeun, H.K. , Jang, I. , Kim, C.S. , Kim, J. , Choi, D.C. ,2003. Farm Evaluation of the Hot Pepper Production Model Development for Reducing Production Cost Via the Direct Sowing and Synchronized Harvesting Model, Agriculture Economics Report pp. 270-279.
    9. Ma. Y.Q. ,2011. “Analysis of Chinese Pepper Industry”, Pepper Research(1) in Chinese.
    10.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018. Main Statistics of Agriculture and Forestry Fishery.
    11.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2017. 「2016 Agriculture and Livestock income」
    12. Song, W.S. , Wang, J.W. , Zhang,. Y., Lai, L.L., Yang, X.K., 2014. Machinary Planting and Oncer-over Harvest Research of Xinjiang Processing Pepper, Pepper Journal(Quarterly), 2014(3): 27-28 in Chinese
    13. Song, W.S. , Yuan, F.N ,, Zhang, X.G.,2010. The Status quo and Development Trend of Dried Fruit Processing Hot Pepper Industry in Xinjiang, Pepper Journal(Quarterly), 2010(3): 5-8 in Chinese
    14. Wang, B. , Li, H. , Yuan, F.N,, 2014. Compare of Xinjiang Pepper by Districts, Pepper Journal(Quarterly), 2014(4): 22-26 in Chinese
    15. Whang, J.M. ,2002. Effect of Direct Sowing and Raising Seedling for once-over Harvest on the Yield of Peppers, Horticulture, Environment and Biotechnology 20(1): 141
    16. Zhao, Z.X. , Qiao, L.F. , Li, Z.W,,2012. Xinjiang Special Pepper Development Strategic Research, Xinjiang Agriculture Research 2012(3): 4 in Chine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