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8504(Print)
ISSN : 2287-8165(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Vol.30 No.4 pp.313-319
DOI : https://doi.org/10.12719/KSIA.2018.30.4.313

Current Status of Vegetable Grafted Seedling Shipping Export to Japan and Analysis of Transportation Environment

Sewoong An*, Sung Kyeom Kim*, Jin Su Lee**, Tae Cheol Seo*, Hee Chun*, Chun Woo Nam*, Yurina Kwack***
*Horticulture Crop Department,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Wanju 55365, Korea
**Postharvest Technology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Wanju 55365, Korea
***Division of Smart Horticulture, Yonam College, Cheonan-si 31005, Korea
Corresponding author : (Phone) +82-41-580-1166 (E-mail) greenrina@yonam.ac.kr
October 28, 2018 December 3, 2018 December 7, 201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basis for the vegetable seedlings export research and policy establishment by analyzing vegetable seedlings export status from the agricultural quarantine statistics in Korea and the changes of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during the vegetable seedlings shipping export transportation to Japan. From 2007 to 2016, various vegetable seedlings such as cabbage, tomatoes, cucumber, onion and etc., have been exported to more than 20 countries around the world. The main exporting country of vegetable seedlings for commercial purposes is Japan, and the major exported seedlings to Japan in 2016 were fruit vegetable grafted seedlings such as eggplant, tomato, cucumber, watermelon and pepper. Total export amount of the fruit vegetable seedlings to Japan in 2016 were 2,575,446 seedlings and it is approximately 0.7 to 1.6 million dollars. The grafted seedlings exported to Japan were consumed for urban agriculture and farm use. Shipping transportation took about 24 hours in the process of receiving the package → shipment → quarantine (Busan port) → Quarantine (Japan Shimonoseki Port). The growing demand for vegetable seedlings due to the development of urban agriculture in Japan and the growing interest and demand for vegetable grafting seedlings in neighboring countries such as Russia will be an opportunity to expand the export size of Korean vegetable grafting seedlings. In order to expand the export of vegetable seedlings in Korea, it is necessary to ensure further active government policy and research on the production of export seedlings, seedlings storage and transportation technology and analysis of exporting countries’ market information.



채소 접목묘 일본 선박 수출 현황 및 수송 환경 분석

안 세웅*, 김 성겸*, 이 진수**, 서 태철*, 전 희*, 남 춘우*, 곽 유리나***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채소과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저장유통과
***연암대학교 스마트팜원예계열

초록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PJ01277304

    서 론

    1990년대 초반 농업이 전문화 및 분업화 되어 가면서 국 내에 도입된 전문화된 육묘 산업은 시설원예의 발달과 더불어 지속적으로 시장 규모가 증가하고 있다(Lee et al., 2010, Jang et al., 2013, Lee et al., 2013). 양질의 모종 수요가 급증하면 서 최근 5년간 2배 이상의 성장을 보여 2014년 기준 육묘 농 가는 292개소, 육묘 농가 면적은 195ha에 이르며, 시장 규모는 2,420억원에 달하고 있다(Park et al., 2011, Park, 2014). 2023년에는 4,000억원 규모의 생산액을 보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러나, 모종 생산비 및 인건비 상승과 농촌지역 고령화에 따른 인력수급의 어려움 등은 채소 육묘산업의 지속가능한 발 전을 저해하는 걸림돌로 인식되고 있다(Park, 2014). 또한, 국 내 육묘 시장의 발달과 함께 육묘 농가 간의 경쟁이 심화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일부 육묘 농가의 경우 신규 시장 창출 및 매출 증대를 위해 채소 모종을 수출하고 있지만 수출 모종에 대한 정확한 현황과 통계 자료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농산물 수출 검역 정보 분석을 통한 국내 채소 모종의 수출 현황을 파악하고 채소 접목묘의 일본 선박 수송 시의 기온과 상대습도 변화를 분석하여 국내 채소 모종 수출 연구와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 고자 수행되었다.

    재료 및 방법

    채소 모종 수출 현황 분석

    국내 채소 모종 수출 현황에 대한 공식적인 통계는 존재 하 지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채소 모종 수출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농림축산검역본부 식물검역온라인민원시스템의 검역통계 DB 분석을 통해서 2007~2016년 사이에 검역이 이루어진 수 출 품목 중 채소 모종의 작물별 검역 건수와 검역 주수를 조 사하여 채소 모종 주요 수출국 및 수출량을 추정 하였다 (PQIS, 2018). 또한, 일본으로 수출된 채소 모종에 대해서는 농수산물유통공사의 농림수산식품 수출입동향 및 통계 보고서 를 활용하여, 2016년 기준 농림축산식품의 일본 수출액 중 채 소류 수출 실적 결과와 채소 모종 수출 비중을 비교하였다 (KATI, 2017).

    일본 수출 채소 모종 생산 특성, 선박 수출 경로 및 수송 환경 분석

    한국육묘산업연합회 소속 회원사를 대상으로 수출 육묘 농 가, 수출 작물, 수출 유형, 수출 모종의 생산 특성 및 규격, 일본 선박 수출 경로를 조사하였다. 또한, 2017년 8월 23일 천안 소재의 육묘 농가에서 일본 구마모토현의 토마토 농가로 수출하는 토마토 접목묘를 대상으로 선박 수송 중의 40피트 냉장 컨테이너내 위치별로 접목묘 포장 상자 내ㆍ외부 총 15 지점에 온습도 센서(HOBO U23 Pro v2, Onset Computer Co., Bourne, MA, USA)를 설치하여 5분 간격으로 온도 및 습도 변화를 모니터링하였다(Fig. 1).

    결과 및 고찰

    채소 모종 수출국 및 수출 물량 추정

    2007~2016년 농림축산검역본부 식물검역온라인민원시스템 검역통계에 따르면 과거 10년 동안 수출된 채소 모종은 엽채 류 4종(배추, 양배추, 양상추, 부추), 근채류 1종(양파), 과채류 7종(딸기, 고추, 토마토, 가지, 오이, 수박, 멜론)으로 총 12종 이였다. 채소 모종의 수출 검역 검사 총 건수 및 수량은 각각 1,839회와 약 4,614만주였고, 수출 대상 국가는 일본, 중국, 몽 골, 베트남 등 아시아 12개국, 네덜란드, 스페인 등 유럽 4개 국, 브라질, 케냐, 바레인 등 기타 4개국의 총 20여 국가들로 다양하였다(Table 1).

    북한, 네덜란드, 몽골, 케냐 등 일부 국가는 검역 건수 및 검사 수량은 현저히 적었다. 북한의 경우 개성공단 입주 기업 의 부식 생산용으로, 네덜란드 등 선진국의 경우 연구용으로, 저개발국가인 케냐 등은 국제개발협력사업 등의 목적으로 수 출된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상업적 목적을 위한 채소 모종의 주요 수출국은 일본이며 주로 과채류 모종이 많이 수출되고 있었다.

    일본 수출 채소 모종 종류 및 수량

    2007년부터 2016년까지 일본에 수출된 채소 모종의 검역 정 보를 분석한 결과, 과거 10여년간 연간 250~700만주 내외의 채소 모종이 일본으로 지속적으로 수출되었으며, 연도별 차이 는 있으나 과채류 작물이 전체 모종 수출 물량의 50~100%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Table 2). 2016년 기준 일본으로 수출된 과채류 모종의 수출량 순위는 가지 약 100만주, 토마 토 86만주, 오이 29만주, 수박 24만주 및 고추 16만주 순이 며, 총 257만주가 수출 되었다. 총 수출 금액은 1주당 300~ 700원일 경우 7.7~17.9억원으로 1 USD를 1,100원으로 적용할 경우 0.7~1.6백만불로 추산된다. 한편, 양파의 경우 수출 물량 이 불규칙 하지만, 2010년 약 396만주, 2015년 293만주, 2016년 447만주의 모종이 일본으로 수출되어 가지, 토마토 다 음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일본 수출 농림축산식품 채소류 중 채소 모종 비중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의 2016년 농림수산식품 수출입동 향 및 통계 보고서에 따르면 농림축산식품의 수출액은 64.6억 불 정도이며, 이중 일본으로의 수출 금액은 11.5억불 이였다. 농림축산식품의 일본 채소류 수출 1.2억불 중 모종은 수출 항 목으로 표기되어 있지 않지만, 2016년 과채류 모종의 일본 수 출 금액을 0.7~1.6백만불로 추정했을 때, 채소류 수출품목 중 8위 멜론 1.4백만불과 10위 양파 0.7백만불 사이에 위치할 것 으로 생각된다(Table 3).

    일본 수출 과채류 접목묘 생산 육묘 농가 및 수출 유형

    일본으로 채소 모종을 수출하는 국내 육묘 농가는 8개였다 (Table 4). 경상도 지역의 6개 육묘 농가는 주로 3~5월 일본 의 도시농업 시장을 대상으로 토마토, 가지, 오이, 수박 등 여 러 품목의 과채류 접목묘를 수출하고 있었으며, 강원도 및 충 청도의 2개 육묘 농가는 일본에서 고온으로 토마토 육묘가 어 려운 시기인 여름철 8~9월에 일본의 토마토 농가를 대상으로 토마토 접목묘를 수출하고 있었다.

    일본 수출 과채류 접목묘 생산 특성

    3~5월 사이에 일본 도시농업용으로 수출되는 과채류 접목묘 는 일본 측에서 제공하는 일본 품종의 접수와 대목을 사용하 고 있었다. 토마토, 가지 및 고추는 합접 방법으로 접목 후 LED 접목 활착실의 활착 기간을 포함하여 10~13일 후에 출 하 되었으며, 출하 시 모종 규격은 육묘 베드 기준으로 12cm 내외의 초장과 4~5매 엽수를 보였다. 오이는 단근편엽합접으 로 접목 후 활착 기간을 포함하여 10일 육묘 후에 초장 10cm 내외, 엽수 1~2매 규격으로 출하되고 있었다(Table 5 and Fig. 2). 한편, 8~9월 중 일본의 토마토 농가로 수출되고 있는 토마토 접목묘도 일본 측에서 요구하는 일본 품종을 사 용하여 초장 28cm 내외 및 엽수 7~8매의 규격으로 출하되고 있었다.

    채소 접목묘 일본 선박 수출 경로 및 수송 환경 분석

    일본으로의 모종 수출 경로는 포장 → 선적 → 검역(한국 부산항) → 검역(일본 시모노세키항) → 바이어 수령의 과정으 로 대략 24시간 내외가 소요 되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Fig. 4). 또한 도시농업용 수출 모종 포장은 적재 물량을 늘리기 위 해 종이 포장박스 내 2단으로 적재하여, 온도 15~18°C의 냉 장 컨테이너를 이용하여 일본으로 수송하고 있었다(Fig. 3).

    2017년 8월 23에 일본 구마모토현의 토마토 농가로 수출하 는 토마토 접목묘 선박 수송 중의 온도 변화는 모종을 포장한 박스 내부 및 외부와 컨테이너 위치에 따라 온도 차이를 보였 다(Fig. 5). 오전 10시 컨테이너 상차 시 온도 29.6°C는 상차 후 지속적으로 낮아지면서 7시간이 지난 오후 5시에는 19.6°C 를 보이며 다음날 오전 1시를 기점으로 목표 온도인 18°C로 안정화 되었다. 상대습도의 경우 컨테이너 상차 시 온습도 센 서 설치 위치에 따라 포장 박스 내부 및 외부의 변화 폭이 81.5~95.6%의 차이를 보였으나, 온도와 마찬가지로 오후 5시 부터 안정화를 보이면서 다음날 오전 1시 기점에는 97.1±2.3%으로 안정된 습도 환경을 보였다.

    일본 시모노세키항 도착 후 검역 과정을 위해 오전 6시에 접목묘 수송 컨테이너 문이 열리면서 온도 및 습도 환경이 변 화하였으며, 오전 10시에 일본측 바이어의 접목묘 수령 이후 일본 현지 수송을 위한 모종 분류 작업으로 온도 및 습도 환 경이 급격하게 변화하였다. 토마토 모종의 경우 적정한 저장 온도로 Kubota et al.(2006)은 6~13°C를 Kwack et al.(2016) 은 6~15oC를 제시하였는데, 일본 선박 수출 토마토 모종의 수 송 온도는 18°C로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다.

    국내 농산물 수출 통계에 채소 모종 수출은 직접적으로 표 현되어 있지 않지만, 채소 모종 수출은 과거 10년간 민간의 일부 선도 육묘 농가를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다. 일 본, 러시아 등 인근 국가들의 채소 접목묘에 대해 높아지고 있는 관심과 수요는 우리나라 채소 접목묘 산업의 신규 시장 창출을 위해 수출 규모를 확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 다. 일본의 경우 도시농업을 위한 채소 모종 정식 시기인 3~5 월에는 모종 수요가 급증하여 원활한 모종 공급이 어려운 실 정이고, 여름철 고온으로 육묘가 어려운 시기에 북해도와 동 부지역 과채류 주산단지를 겨냥한 여름철 모종 수출 등 지속 적인 수출 시장 확대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러시아 연해주의 경우 5월에 정식하는 토마토 및 고추 재배에 다소 따듯한 한국에서 생산된 채소 모종의 경쟁력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채소 모종 수출 확대를 위하여 수출국 정보 분석 및 수출 업무 지원 등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 지원과 제도 마련을 통한 기반 구축이 필요한 상황이다. 현재, 채소 모종 수출 시 HS 코드가 기타 식물로 분류되어 수출 통계로서 파악되고 있지 않아 정확한 정보 수집이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채소 모종 고유 HS 코드 신설과 농수축산물 수출품목 지정 등의 관련 제도 마련도 필요하다. 또한, 채소 모종의 안정적인 수출을 위하여 수출 대상국 관련 제도 및 타당성 분석, 수출 전용 우량 규격묘 생산 기술, 수송 중 묘소질 유지 저장 기술 등의 연구 개발 추진이 필요하다.

    적 요

    농산물 검역통계를 통해서 채소 모종 수출 현황과 채소 접 목묘의 일본 선박 수송 시의 온도 및 상대습도 변화를 분석하 여 국내 채소 모종 수출 연구와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2007~2016년 사이 수출된 채소 모종은 배추, 양배추 등 엽 채류 4종, 토마토, 오이 등 과채류 7종, 근채류 1종으로, 전세 계 20여 국가에 46,146,536주(총 1,839건) 수출 되었다.

    상업적 목적을 위한 채소 모종의 주요 수출국은 일본이었고, 2016년 기준 일본에 수출된 모종은 주로 과채류 접목묘인 가 지, 토마토, 오이, 수박 및 고추 등으로 총 2,575,446주가 수 출되었으며, 총 수출 금액으로는 0.7~1.6백만불로 추산된다.

    일본으로 수출되는 접목묘는 도시농업용과 농가용으로 구분 되고 있으며, 온도 15~18°C의 냉장 컨테이너를 이용한 선박 수송은 포장 → 선적 → 검역(한국 부산항) → 검역(일본 시모 노세키항) → 바이어 수령의 과정으로 대략 24시간 내외가 소 요되고 있었다.

    일본의 도시농업 발달로 인한 채소 모종 수요의 급격한 증 가와 러시아 등 인근 국가들의 채소 접목묘에 대해 높아지고 있는 관심과 수요는 우리나라 채소 접목묘 수출 규모를 확대 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채소 모종 수출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 결과를 기반 으로 정확한 채소 모종수출 정보의 수집 및 분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 지원과 수출 전용 모종 생산, 모종 저장 및 수송 관련 기술 개발을 위한 연구가 필요 하다.

    ACKNOWLEDGEMENTS

    본 성과물은 농촌진흥청 연구사업(세부과제번호: PJ01277304)의 지원에 의해 이루어진 것임.

    Figure

    KSIA-30-313_F1.gif

    Positions of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data loggers in a 40ft refrigerated container during tomato grafted seedling shipping transportation to Japan

    KSIA-30-313_F2.gif

    Watermelon(A) and cucumber(B) grafted seedlings exporting to Japan for urban citizens

    KSIA-30-313_F3.gif

    Packaging of vegetable grafted seedling(A) and loading to a cooling container truck(B)

    KSIA-30-313_F4.gif

    Vegetable seedling shipping export process from Korea to Japan

    KSIA-30-313_F5.gif

    Changes of temperature(A) and relative humidity(B) during shipping export transportation of grafted tomato seedling to Japan from August 23 to August 24 in 2017

    Table

    Export cases and quantity of vegetable seedling in Korea accumulated from 2007 to 2016

    Export cases and quantity of vegetable seedling to Japan from 2007 to 2016

    Top 20 vegetable exports to Japan in 2016

    Vegetable seedling exporting companies to Japan

    Characteristics of grafted seedling production practices to export to Japan

    Reference

    1. Jang, Y. A. , K. H. Yeo, J. G. Lee, C. S. Choi, Y. C. Um, S. G. Lee, M. K. Yoon. 2013. Current Status of Grafted Fruit Vegetable Transplants Production and Cultiv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Seed Science & industry 10(2): 17-27.
    2. KATI. 2017. 2016 Status and Statistics of Agricultural Product Export and Import. Korea Agro-fisheries & Food Trade Corporation: 119-142.
    3. Lee, J. W. , Y. A. Jang, Y. Kim, C. Chun. 2013. Vegetable Seedling Production Practices. History of Korean Horticulture Development,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127-133.
    4. Kubota, C. , M. Kroggel. 2006. Air Temperature and Illumination During Transportation Affect Quality of Mature Tomato Seedlings . HORTSCIENCE41(7): 1640-1644.
    5. Kwack, Y. , J. H. Lee, C. Chun. 2016. Proper Period and Temperature for Transportation of Cucumber and Tomato Transplnats . Horticulture, Environment, and Biotechnology: 555-560.
    6. Lee, J. M. , C. Kubota, S. J. Tsao, Z. Bie, P. H. Echevarria, L. Morra, M. Oda. 2010. Current status of vegetable grafting: Diffusion, grafting techniques, automation . Scientia Horticulturae127(2): 93-105.
    7. Park, K. H. 2014.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Rasing Seedling Management System and Legalization to Enhace Rasing Seedlings Industry, Korea Rural Economy Institute.
    8. Park, K. H. , H. T. Park, H. S. Han. 2011. A Study on the Current State and Development Strategies of Rasing Seedlings Industry, Korea Rural Economy Institute.
    9. PQIS. 2018. Online Plant Quarantine Civil Service System in Animal and Plant Quarantine Agency. https://www.pqis.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