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8504(Print)
ISSN : 2287-8165(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Vol.27 No.4 pp.428-434
DOI : https://doi.org/10.12719/KSIA.2015.27.4.428

Survey on Present Status of Ginseng Production and Soil Characteristics in Jilin Province of China

Seung Weon Kang†
Jang Uk Kim Ginseng research Division NIHHS RDA Eumseong Chungbuk 27709 Korea
Yang Ho park
Dong Hwi Kim Ginseng research Division NIHHS RDA Eumseong Chungbuk 27709 Korea
Huhn Pal Moon
Ki Hong Kim Ginseng research Division NIHHS RDA Eumseong Chungbuk 27709 Korea
Corresponding author (Phone) +82-10-6336-4219 (ksw8513@hanmail.net)
June 16, 2015 November 3, 2015 November 3, 2015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crease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in response for Korea-China FTA and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for ginseng industry development of Korea. There was investigated the status of ginseng cultivation techniques an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 in Jilin Province, China. The type of ginseng cultivation was forest land reclamation and the flatland cultivation was small in number. Transplanting culture is more than direct sowing culture and China is more high density culture. The used seeds is landrace of China and home seed production is more than 40%. The installation of shading materials don’t have regular directivity and the type of shading have arch. Ridge width is wide with 180 ~ 200 cm. Shading materials are black shade net and blue vinyl. The soil texture of investigated area is from silty loam to loam. Soil acidity is strong acid (pH 5.2 ~ 5.5) and it has a high organic matter content. The salt injury during the growing process was threatening because of the high EC (0.97 ~ 1.11 dS/m) of surface soil. The injury of nutrient imbalance was also threatening because of the high calcium content (8.4 ~ 12.3 cmol+/kg).


중국 길림성 인삼재배 생산현황과 토양특성조사

강 승원†
김 장욱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과
박 양호
김 동휘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과
문 헌팔
김 기홍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과

초록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PJ01047302

    인삼(Panax ginseng C. A. Meyer)은 자연적으로 산에서 자생하는 산삼 그리고 재배되는 재배인삼을 통칭하는 말이다. 식물분포학적으로 아시아의 극동지방, 그중에서도 북위 30°∼ 48° 지역에서만 자생하는 오가과(두릅나무과) 인삼속 식 물로 한국에서는 북위 33.7° ~ 43.1°, 중국에서는 북위 43° ~ 47°, 그리고 러시아 극동의 연해주에서는 북위 43° ~ 48° 에 분포하며 3개 지역에서 인삼이 생산되고 있다. 특히 고려인 삼은 지금의 한반도를 중심으로 중국의 동북3성, 러시아의 연 해주까지 옛고구려의 영토에서 자생 분포되어 재배되어 왔다 (RDA., 2013; Park et al., 2001).

    중국의 인삼재배는 동북3성(요녕성, 길림성, 흑룡강성)에서 주산지를 이루어 재배되고 있고 1950년대 이후 하북성, 산동성, 운남성 등 지역에서도 소량 재배되고 있다. 동북3성은 주로 백 두산지역 북위 35° ~ 48° 구간에 분포하며 남쪽의 요녕성의 환 인, 신빈, 청원, 관전 등 지역에서 길림성의 무송, 장백, 정우, 집안, 통화, 안도, 왕청, 돈화, 훈춘 등 지역에서 흑룡강성의 철 력, 이춘, 목릉 등 지역에서 인삼이 대량 재배되고 있다.

    동북3성 중 길림성은 중국의 인삼생산량의 85%, 전세계의 70%를 차지하며 연변 인삼생산량은 길림성의 67%를 차지하는 최대생산 자치주로 재배면적도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길림성내에 6개현 · 시인 돈화, 연길, 집안, 무송, 장백, 정우에 인삼산업단지를 두어 인삼 중점 생산기지로 확정하여 발전시 키고 있다(Li et al., 2011; Park et al., 2014).

    중국의 인삼재배방식은 크게 산림을 벌목하여 재배하는 임 지재배방식과 밭을 이용 재배하는 평지재배방식, 그 외 가정에 서 분을 이용한 분인삼재배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산림 을 벌목하여 재배하는 임지재배방식이 80%이상을 차지하고 있 다. 그러나 중국은 2016년부터는 산지를 개간하는 인삼재배를 전면금지하고 있어 기존의 밭을 이용하여 평지재배를 권장하 는 정책이 시행하고 있으므로 평지 재배면적이 늘어날 전망이 다. 인삼평지재배는 산림훼손 문제를 해결하고 토지 유실방지 할 수 있어 유리하나 토양관리, 병충해문제 등 재배기술이 아 직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분인삼재배는 일부지역에 국 한하여 재배되고 있다(Wang et al., 2012). 길림성은 동부산 간지역에서 서부평원에 이르기까지 종류가 다양하게 있으며 경작지 토양의 유형은 암종양토, 흑성토, 초전토, 흑토, 백장 토 등으로 13종류가 있고 이 중 경지면적은 흑토가 811 천 ha로 가장 많은 토양이고 그 뒤를 이어 773천ha의 초전 토, 744천ha의 흑성토 순이다(Park et al., 2003). 토양이화 학성에 있어 산림토양은 주로 인삼 임지재배하는 토양인데 암 갈색의 유기질이 풍부하고 부식질이 두꺼우며 약산성 토양이 다. 이와 달리 평지재배하는 농경지는 유기물함량이 2% 내외 로 낮고 화학성이 불균형한 토양이다(Kim, 2000). 따라서 임 지와 평지에서는 토양특성이 상이하므로 인삼재배 할 경우 예 정지 선정부터 주의를 요하고 있다. 기상환경은 온대지역의 대 륙몬순기후 특성을 나타내어 4계절이 뚜렷하게 구분된다. 온 도는 여름에 23°C 이상이며 겨울에는 –11°C 이하로 연간 온 도차이가 35 ~ 42°C로 크다. 연평균강우량은 400 ~ 700 mm정 도이나 계절과 지역에 따라 매우 다양하고 강우량은 80% 정 도가 여름철에 오며 동쪽지역은 많은 강우가 내린다. 기상환 경으로 볼 때 위도 차이는 있지만 한국과는 많은 차이를 보이 며 특히 강수량은 적어 인삼재배에 다소 유리한 측면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최근 들어 중국 길림성 정부는 인삼을 핵심 사업으로 육성 하며 엄격한 종자관리와 GAP(Good Agriculture Practice)를 도입해 품질향상에도 노력하고 중국의 인삼을 대대적으로 홍 보하고 있다. 또한 장백산 인삼 회복공정을 통해 자체브랜드 로서 장백인삼을 만들고 지난 3년간(2011 ~ 13) 장백산 일대 280만m2에 인삼종자 9톤을 살포하는 등 인삼재배를 국가 주 요정책으로 추진하고 있다(Park et al., 2014).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 동북3성 중 최대 인삼 생산지인 길 림성의 인삼재배생산 현황, 재배형태, 해가림시설현황, 토양이 화학성 등을 조사분석하여 고려인삼과 비교함으로서 중국삼과 의 국제경쟁력을 확보하고 중국내 인삼재배 등 실태를 정확히 파악하여 국내인삼산업 발전에 기초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재료 및 방법

    본 연구는 중국 동북3성 중 길림성의 인삼재배 현황 등 기 초정보를 수집하고자 2014년 7월과 9월, 2회에 걸쳐 현지출장 방문조사를 수행하였다.

    현지조사 방법은 길림성 연변 조선족자치주 연길시 왕청현 춘양진(1), 복흥진(2), 훈춘시 마천자향, 안도현 만보진, 돈화시 사하연진, 남부지역인 통화시 무송현, 만량진(1), (2), 장백현 마비구진 등 총 9개소 인삼재배농가를 방문하여 재배현황에 대한 설문조사와 인삼시료채취를 하였고 그 지역 인삼재배토 양은 북부지역인 연길시 왕청현 4개소와 훈춘, 안도, 돈화 등 총 7개소를 남부지역인 무송3개소, 장백 2개소, 통화 등 총 6 개소에서 토양시료를 오거를 이용하여 표토와 심토를 구분하 여 채취하였다. 토양시료는 1개 지역당 5 ~ 6군데를 토양 채취 혼합하여 복합시료로 3반복 토양분석을 하였다.

    토양의 이화학성 분석은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토양 및 식물체분석법(RDA, 2003; NIAST, 2000)에 준하여 실시하 였으며, 토양 pH는 풍건토양 5 g을 50 ml 비이커에 취하고 증 류수 25 ml를 가한 뒤 때때로 유리봉으로 저어 주면서 1시간 방치한 후 60초 이내에 pH meter (Orion 720A)로 측정하였 다. EC는 토양 10 g을 증류수 50 ml 넣고 20분간 진탕 후 EC meter측정하였다. NO3-N분석은 풍건토양 10 g을 2M KCL 50 ml 넣고 30분간 진탕 후 No.2여과지로 여과하여 Automatic Wet Chemical Analyzer(AA3)로 분석하였다. 토양 유기물분석은 Tyurin법으로 토양시료 0.3 g (200 mesh 통과시 료)을 250 ml 삼각 flask에 취하고 10 ml의 0.4N 중크롬산칼 리황산 혼합용액을 가한 다음 200°C의 전열판에서 5분간 끓 인 후 증류수 150 ml를 넣고 0.2N 황산제1철암모니움 용액으 로 적정하였다. 유효인산은 Lancaster법으로 토양 5 g에 침출액 20ml를 넣고 10분간 진탕한 후 No. 2 여과지로 여과하여 시료 액 3ml를 시험관에 넣고 조작액 6 ml씩 넣은 다음 0.4 ml의 1, 2, 4용액을 가하여 잘 혼합하여 30°C에서 30분간 항온한 후 분광광도계(GBC Cintra 40)로 720 nm에서 비색 측정하였 다. 치환성 양이온은 토양 5 g을 1N-NH4OAc(pH 7.0) 완충 용액 50 ml을 넣고 30분간 침출하여 K, Ca, Mg을 유도결합 플라스마발광광도계(ICP, Integra XMP, GBC, 호주)로 측정하 였다.

    재배기술 현황조사는 농촌진흥청 농사시험연구 인삼조사기 준(2013)에 의하였고 일반생육조사는 인삼의 연근, 생육시기 등 성적이 가변적이라서 본고에서의 고찰은 생략하였다.

    결과 및 고찰

    중국 길림성의 인삼 생산현황

    중국 동북 3성중 길림성은 중국 인삼생산량의 85%를 차지 하는 최대생산지이다. 길림성 정부의 통계에 의하면, 1988년 15,700 ha로 정점에 달한 후 급속히 감소하여 1996년에 600 ha로 최저점을 지나 2000년 이후 점차 회복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Lee et al., 2014; JSY, 2000~2014). Table 1은 길림성의 인삼 수확면적 및 생산량을 나타내는 자료로 2000 년 이후 인삼수확면적은 증가하며 2005년 이후 3,000 ha 이상 을 유지하고 있다. 인삼생산량도 2000년 이후 16,000 ton 수준 이었으나 2005년 이후 수확면적이 늘어나면서 30,000 ton 내 외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지역별로 수확면적을 보면 연변자 치주가 36%를 차지하고 있으며 백산시, 통화시, 길림시 순으 로 적게 나타났다. 특히 연변자치주는 2010년에 2,000 ha까지 증가하다 근년에 들어 1,000 ha내외 수준을 보이고 있으며 백 산시가 최근 들어 면적이 증가되고 있다. 생산량을 지역별로 보면 백산시가 약 47% 정도를 나타내어 가장 높았고 그 뒤를 이어 연변자치주, 통화시 순으로 낮았다. 또한 백산시가 수확 면적에 비하여 생산량이 많았는데 이는 밀식재배 등 재배기술 향상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길림성의 인삼재배 단위면적당 수량(kg/10 a)은 Table 2에서 와 같다. 생산량을 수확면적으로 나누어 단위면적당 수량으로 환산하여 연도별로 비교하여 보면 2005년 이후 단위면적당 수 량 평균이 1,000 kg 이상을 보이고 있다. 지역별로는 백산시가 단위당 1,400 kg을 유지하며 가장 높고 그 뒤를 이어 연변자 치주순으로 높았으나 통화시는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길 림시는 수량 변동폭이 크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지 역별 재배기술에 차이도 있겠지만 그해의 온도, 강우량 등 기 상환경에 크게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사료된다.

    중국 길림성의 인삼재배현황조사

    Table 3은 길림성 지역의 인삼재배농가의 기술현황을 현지 조사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재배형태를 보면 9개 조사농가 중 임야가 6농가를 차지해 67%수준이고 그 외는 밭(평지)재 배가 되고 있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산지재배가 밭재배로 많이 전환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앞으로 평지재배면적이 늘 어 날것으로 기대된다. 농가당 재배면적을 한국 인삼통계와 비 교하면(MAFRA, 2014) 2 ~ 3배 넓은 면적에서 재배되고 있었 다. 재배되고 있는 인삼품종은 대부분 중국재래종이며 1농가 에만 고려인삼이 재배되고 있었는데 한국에서 유입된 종자이 다. 과거 인삼 원산지를 지역별로 분포를 볼 때 중국내 재배 되고 있는 재래종의 유전조성은 고려인삼과 비슷하거나 같을 것으로 추정된다. 재배방식은 직파와 이식이 50% 정도로 같 은 수준이나 직파가 다소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인삼 묘를 이식하는 재배방식은 4 ~ 6년에 재배후 수확하는 한국과 는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보통 5 ~ 10년에 수확하며 (Kim, 2000), 직파재배의 재식거리는 밀식으로 재배되어 수량 성이 상당히 높을 것으로 추정되었고 이식 또한 한국과 비교 하여도 밀식재배하는 경향이었다. 종자 확보 방법으로는 대체 로 구입이 많았으며 길림성전체적으로 자가채종은 40%를 하 고 있었는데 남부지역인 무송, 장백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종자가격은 한국과 비교하여 약 3배 정도 비싸게 거래되며 최 근 한국종자가 몇 만 톤씩 중국으로 불법 수입되어 사용되고 있어 문제시 되고 있는 실정이다(Park et al., 2014).

    중국 길림성 지역별 해가림시설 현황

    인삼은 음지식물로 약한 햇빛에서 잘 자라므로 해가림을 설 치하여 수광량을 조절하고 누수로 인한 과습을 방지하여야 한 다. Table 4는 중국길림성 지역에서 인삼재배농가의 해가림시 설을 조사한 것으로, 한국의 해가림시설과는 많이 상이한 형 태를 보이고 있다(Fig. 1). 해가림 설치 방향은 일정하지 않고 형태는 거의 아치형을 하고 일부 터널형으로 해가림을 설치하 였다. 지주높이는 대체로 100 ~ 120 cm였고 좌우는 70 ~ 90 cm 로 한국식보다 낮았다. 이러한 차이는 재배기술이 다른 점도 있지만 기후와 토양환경에 적응하는 중국식 해가림시설 특징 으로 판단되었다. 보통 산지개발 후 벌목을 해가림자재로 사 용하였는데 돈화지역 밭재배 농가(Table 3)는 대나무활죽과 규 격각목을 이용하여 해가림시설도 하고 있었다. 인삼재배 상면 을 한국과 비교해볼 때 두둑폭은 배이상 넓고 고랑폭은 좁아 이식 또는 직파시 밀식에 유리할 것으로 판단되나 두둑폭이 낮아 인삼생육은 다소 저조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차광자재는 한국과 달리 주로 청색비닐과 흑색차광망이 사용되었는데 이 는 연강수량이 적은 관계로 단순차광자재가 사용되었고 차광 시설은 정교하지 않은 편이었다.

    중국 길림성 인삼재배포장의 토양 이화학 특성

    길림성일대에서 조사된 인삼재배농가는 모두 백장토에 속하 는 토양으로 구분되었고 표토와 심토사이에 토성과 화학성의 큰 차이가 없었다. Table 5는 길림성 북부지역(연변자치주 일 원) 토양을 분석한 결과인데 토성은 양토 ~미사질양토 범위로 인삼재배에 적합한 토양으로 생각되었고 한국의 기준과 비교 할 때 비슷한 범위를 나타냈다(Hyun et al., 2009; RDA, 2009). 토양 pH는 전 지역에서 5.0 ~ 6.0범위로 평균 5.5로 약 산성을 나타냈으며 EC는 0.52 ~ 1.67 dS/m로 다소 높은 경향 이나 돈화지역 밭재배토양 EC는 1.65 ~ 2.39 dS/m로 상당히 높아 염류피해가 우려되었다. 유기물함량은 산림개간토양으로 높게 나타나 양분상태는 양호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표토 화 학성분 평균치를 한국예정지관리 표준지침(RDA, 2009)과 비 교할 때 NO3-N은 51.3 mg/g, 유효인산 81.6 mg/kg을 나타내 어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치환성양이온 중 Ca은 12.3 cmol+/kg 로 상당히 높은 편이었다. 이는 산지개간시 석회를 많이 시용 한 것으로 추측되었다.

    길림성 남부지역 인삼재배토양의 이화학 특성은 Table 6과 같다. 토성은 미사질양토 ~사양토 범위를 보여 북부지역과 같 이 인삼재배에 적합한 토양으로 판단되었다. 표토 토양의 pH 는 평균 5.2로 강산성을 보였고 EC는 0.97 dS/m로 북부지역 과 같이 높아 염류피해가 우려되었다. 유기물함량 58.9 g/kg, NO3-N 69.9, 유효인산 54.9 mg/kg을 나타내어 북부지역과 같 은 경향이었으며 치환성 양이온 중 Ca함량이 8.4 cmol/kg으로 높아 양분불균형 피해가 우려되었다. 이상 결과로 길림성 토 양의 이화학 특성을 종합하면 토성은 양토와 미사질양토 범위 로 인삼재배에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며 EC가 높아 인삼생육 기 염류피해가 우려되었다. 유기물함량은 높아 인삼생육에 양 분상태는 양호할 것으로 사료되며 Ca함량이 높아 생육기 생 리장해가 우려되었다.

    적 요

    본 연구는 중국 길림성의 인삼재배기술현황과 토양이화학성 등을 조사분석함으로써 FTA 대응 중국삼과 국제경쟁력을 확 보하고 국내인삼산업발전에 기초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 하였다.

    1. 지역별 인삼재배 형태는 대부분 임야를 개간하여 재배되 었고 평지 재배는 미미하였다. 이식재배가 직파재배보다 많으 며 밀식재배 하였고 종자는 주로 중국재래종을 구입하여 재배 하였고 자가채종도 40% 이상을 점유하였다.

    2. 지역별 해가림 시설은 일정한 설치 방향이 없었고 대부 분 아치형 형태로 설치하였으며 한국과 달리 두둑폭이 180 ~ 200cm 로 광폭재배를 하였고, 차광자재는 흑색차광망+ 청색비닐을 사용하였다.

    3. 인삼재배농가의 토양이화학성을 분석한 결과, 길림성 북 부(연변자치주)와 남부지역 모두 토성은 양토 ~미사질양토였 으며 pH는 5.2 ~ 5.5범위로 강산성을 보였고 유기물 함량이 매 우 높은 토양이었다.

    4. 특히, 인삼재배토양(표토)의 EC가 0.97 ~ 1.11 dS/m로 높 아 인삼생육기 염류피해가, 치환성양이온 중 Ca함량이 8.4 ~ 12.3 cmol+/kg로 높아 양분불균형 피해가 우려되었다.

    Figure

    KSIA-27-428_F1.gif

    The shading facilities of China and Korea.

    Table

    The harvest area and production in Jilin province, China. (unit : ha, ton)

    Data : Statistical yearbooks of Jilin in several year. ( ) is percentage of area.

    The production per unit area in Jilin province, China. (unit : kg/10a)

    Data : Statistical yearbooks of Jilin in several year. Mean is average of yield.

    The present condition of ginseng farm in Jilin province, China.

    ※No. 1 ~ 5 : Yanbian Korean Autonomous Prefecture

    The present condition of shading facilities in Jilin province, China.

    ∫OBP : One-layered Black Polyethylene; BVF : Blue Vinyl Film; LBP : Light Blue Polyethylene; LYP : Light Yellow Polyethylene; DBP : Dark Blue Polyethylene; TBP : Three-layered blue and one-layered black polyethylen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northern area in Jilin province, China.

    *SS (surface soil), DS (deep soil)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uthern area in Jilin province, China.

    *SS (surface soil), DS (deep soil)

    Reference

    1. Hyun D Y , Hyeon G S , Kang S W , Kim Y C , Lee K W , Kim S M (2009) A Guideline to Land Suitability Used Soil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Yield Potential in Panax Ginseng C. A. Meyer , Korean J Medicinal Crop Sci, Vol.17 (6) ; pp.421-426
    2. Jilin Statistical Yearbook (JSY) (2014) each year. China Statistics Press. The twelfth chapter. Agriculture,
    3. Kim D J (2000) Chinese Ginseng Cultivation(Korean Ginseng & American Ginseng) , Woori planing books publishing company,
    4. Li C H , Sun Y F , Guo G B (2011) Analysis on How to Develop the Jilin Ginseng , Forestry Inventory & Planning Institute of Jilin Province. Changchun 130022, China,
    5. Lee D W , Li X G (2014) Economic Analysis of Ginseng Production in Jilin Province of China & Korea , J. North. Agri. Res, Vol.37 (2) ; pp.53-68
    6.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AFRA) (2014) http://www.mafra. go.kr. Collection of Ginseng Statistical Data. Korea,
    7. (2000) NIAST Taxonomical classification of korean soils 809,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and Technology , RDA. Suwon. Korea,
    8. Park E K , Uvarov V A (2001) The Possibility of Economic Cooperation among North East Asian Contries by Means of Panax Ginseng C. A. Meyer (Sichoto Alina) Cultivation , ph.D thesis, ; pp.178
    9. Park K H , Heo S Y , Li J (2014) Current Status of the Ginseng Industry in China and its Fostering Policy – Focusing on Three Northeastem Provinces of China , KREI research data D372,
    10. Park Y S , Park R K (2003) Climate Condition and Soil Properties of Crops Cultivated Area in Jilin Province of China , J. North. Agri. Res, Vol.16 ; pp.27-45
    11. RDA (2003) Theory and Practices for Soil Survey , RDA,
    12. RDA (2009) Ginseng Cultivation Standard Farming Text book-103 , ; pp.103-106
    13. RDA (2009) Ginseng preplanting soil management standard pratices , ; pp.22-29
    14. RDA (2013) The guidebook to agricultural technique of ginseng ,
    15. Wang F , Huang S K (2012) Cultivation techniques about ginseng, American ginseng and Asarum sieboldi , Yanbian People’s Pubis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