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8504(Print)
ISSN : 2287-8165(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Vol.27 No.3 pp.273-284
DOI : https://doi.org/10.12719/KSIA.2015.27.3.273

Marketing Status of Exported Korean Rice in Malaysia and Hong Kong

Pyung-Sik Park†, Se-Hwa Lim*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Jeonju 54875, Korea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NICS) Wanju 55365, Korea
Corresponding author (Phone) +82-63-238-1200 (pspark@korea.kr)
May 22, 2015 July 13, 2015 August 25, 2015

Abstract

Korea rice market is more opened through the tariffication is started from 2015. As the medium-long term prospects of rice demand and supply in Korea, rice would be over-stocking. The rice consumption per capita has decreased annually and the import of rice will be increased continuously. In order to develop and improve the Korean rice industry and strengthen its competitiveness, it is necessary to promote rice expor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present marketing status of exported Korean rice to Malaysia and Hong Kong market. The data from rice consumers, buyers and traders in two countries were collected. This study would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for making countermeasures rice export and strengthening competitiveness of the Korean rice.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exported Korean rice enter into competition with the rice of USA, Australia, Japan, etc. in Malaysia and Hong Kong. 2) Main considerations in purchasing rice for Korean residents are quality (55, 59%), price (18, 24%), production area (12, 15%) in Malaysia and Hong Kong.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maintain high quality and low price for expanding Korean rice export; 3) The price competitiveness of Korean rice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for export market. 4) The important thing is the lower price, better quality, marketing improvement, etc. And more detailed information of rice market are necessary.


한국 쌀 수출을 위한 말레이시아와 홍콩의 유통실태

박 평식†, 임 세화*
농촌진흥청 농산업경영과
*국립식량과학원 기술지원과

초록


    WTO 협상에서 관세화 유예조치를 받아왔던 한국 쌀 시장 이 2015년부터 관세화를 이행하게 되었다. 최근 최소시장접근 (MMA) 방식으로 의무수입 되는 쌀만도 연간 409천 톤으로 총 소비량의 10% 수준에 달하고, 국내외 가격차에 따른 추가 수입도 잘 방어해야 하는 실정이다. 쌀 공급이 수요를 초과해 재고가 늘어나게 되면 사회적 부담을 경감할 방안이 필요하다. 쌀 소비확대와 대체작물 도입 등 다각적인 노력을 하지만, 가 장 적극적인 방법은 수출시장 개척으로 새로운 활로를 개척하 는 것이다. 소농구조에서 생산되는 한국 쌀의 가격경쟁력은 미 국 등 대농체제에 비해 불리한 여건이지만, 품질로 경쟁하면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세계 40여개 국가로 수출시장을 넓혀가 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한국 쌀 수출이 늘어나고 있는 동남아 시아의 말레이시아와 홍콩 시장을 중심으로 쌀 유통실태를 조 사하여 한국 쌀 수출시장 확대를 위한 대응방안을 모색코자 하 였다. 말레이시아는 쌀 자급률이 70% 미만으로 매년 30% 이 상의 쌀을 베트남, 태국 등 인접시장에서 수입하고 있고, 자포 니카 쌀 시장에서 호주, 미국, 한국 쌀이 경쟁을 벌이고 있다. 홍콩은 쌀이 주식인데도 전량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자포니 카 쌀 시장에서만도 일본, 미국, 호주, 대만, 한국 등 많은 국 가들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그동안 우리나라는 WTO 협상 등의 이유로 정책적으로 장 려하는 분위기는 아니었지만, 선도적인 수출업체를 중심으로 수출시장을 조금씩 넓혀가고 있다. 정부는 시장개방에 따른 농 업부분 대응책으로 농식품 수출진흥을 핵심정책의 하나로 추 진하고 있지만, 쌀에 대해서는 적극적인 지원시책이나 관련된 연구도 미흡했다. 인삼제품과 김치 등에 대한 해외시장 조사 는 활발하게 이루어졌지만, 그동안 쌀 수출에 대해서는 시장 개척 초기단계의 저장, 운송, 유통 과정에서의 품질 변화와 초 밥용 쌀 품종 특성(Park et al.), 검역 및 물류시스템 등에 대 한 기술적 연구(김진헌 외)와 호주와 뉴질랜드 시장에 대한 유 통실태 조사가 일부 이루어졌을 뿐이다(Park et al.). 본 연구 는 호주, 뉴질랜드에 이은 후속편으로 최근 수출이 증가하고 있으며 한류열풍에 따른 가능성이 큰 동남아시아의 말레이시 아와 홍콩 시장의 유통실태와 소비자 선호도 등을 조사하여 향후 시장개방 상황에서 한국 쌀 수출확대를 위한 대응방안을 모색코자 하였다.

    조사방법

    한국 쌀 시장의 관세화 여부와 관계없이 최소한 의무수입물 량이 국내 소비량의 10%에 육박하여 생산량이 감소되거나 소 비량이 증가하지 않는다면, 그만큼이 재고물량으로 쌓일 것이 기 때문에 어떤 형태로든 국내시장에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 다. 따라서 앞으로 쌀 국내생산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서는 적극적인 수출시장 개척이 필요하다. 그런데 아직까지는 수출산업으로서의 기반이 성숙되지 않았기 때문에 수출시장에 대한 다양한 정보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최근 한국 쌀의 주요 수출시장으로 부상하고 있 는 동남아시아의 말레이시아와 홍콩 시장의 쌀 유통실태를 파 악하고, 수출 쌀의 주요 고객인 한국교민들의 쌀 소비패턴을 조사함으로써 우리 쌀 수출확대를 위한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먼저 말레이시아와 홍콩의 쌀 수급상황과 수출입 관 련 정책을 점검해 보고, 현지시장 및 한인마트의 쌀 유통실태 를 조사하였다. 현지 조사기간은 2014년 7월 23일부터 8월 1 일까지 10일간이었다.

    말레이시아와 홍콩 교민들의 한국 수출 쌀에 대한 의식을 알아보기 위해 현지마트에서 쌀 구매자와 말레이시아 한인회 에서 주최한 ‘한국의 날’ 행사(2014년 7월 24-26일, 쿠알라룸 푸르 미드밸리센터) 참석자, 현지 한인회 등의 협조를 받아 한 국 쌀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조사항목은 쌀 구 입 및 소비행태(구입량, 구입주기, 구입 시 고려사항), 한국 쌀 가격 및 품질에 대한 의견, 개선사항 등이었다.

    한국 쌀 수출 실태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주식인 쌀 자급의 중요성에 따라 자 급이 달성될 때까지는 수출에 대한 법적 근거가 없었다. 세계 무역기구(WTO) UR협상 막바지에 1994년 양곡관리법을 일부 개정하여 쌀 수출시 정부의 추천을 받도록 근거규정을 신설했 다. 그러나 쌀 관세화가 유예된 상황에서 2006년까지 수출추 천 실적은 없다가, 2007년 2월 처음으로 재외교포 등의 국산 쌀 수요에 따라 쌀 수출 승인 방침이 마련되었다. 2007년 6월 처음으로 전북 군산의 J미곡종합처리장이 53톤을 미국으로 수 출을 시작하여 2007년 총 566톤(1,370천US$), 2008년에는 358톤(837천US$)으로 감소했다가 2009년 4,495톤(7,455천 US$)까지 증가했다. 그 후 국내 쌀 수급불안정과 물류비 지원 중단 등으로 정체하였으나, 매년 수출량은 2천톤 내외, 금액은 470만$ 내외를 유지하며 수출국은 40여 국가로 늘어났다.

    쌀 수출 초기 2년 동안은 미국으로의 수출 비중이 60%를 넘었으나, 2009년부터는 호주가 가장 큰 수출시장이 되었다. 그밖에도 네덜란드, 독일, 영국 등 유럽시장에도 꾸준히 수출 하고 있으나, 교민사회가 작고 현지인이 선호하는 쌀 종류가 차이가 있으며 유럽연합(EU) 역내에 이탈리아 등 쌀 생산국 가가 존재하는 등 시장 확대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최근에 는 호주를 필두로 말레이시아, 홍콩, 일본, 러시아, 미국, 아 랍에미리트연합, 싱가포르, 몽골, 나이지리아 등 아시아 시장 과 중동, 유럽, 아프리카 등 시장영역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Table 1).

    말레이시아 시장의 쌀 유통실태

    말레이시아 쌀 생산 및 자급정책

    말레이시아의 벼 재배면적은 670 ~ 690천 ha 수준이며, 단 위수량은 3.8톤/ha 내외로 인근의 다른 나라에 비해서는 낮은 편으로 생산량이 충분치 않아 쌀 자급률은 65 ~ 70%를 기록 하고 있다. 말레이시아의 농업장기목표(Agricultural Agrofood Policy 2011-2020)에 따르면, 2020년 쌀 자급률 70% 수준 유지를 목표로 하고 있다. 말레이시아는 국내 소비량의 부족 분 30 ~ 40% 만큼만 수입 허가 및 수량 제한으로 자국 농민 보호와 적정가격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쌀 생산농가는 약 140천호로 호당평균 2ha 정도이다. Table 2

    쌀은 주로 Kedah 등 8개의 곡창지대에서 생산되며 여기에 서 생산되는 쌀이 국가 전체 생산량의 72%에 달한다. 벼 주 요 생산지역은 Kedah, Sarawak, Perak, Kelatan, Perlis, Sabah 등이다. 최근 벼 경작면적에 큰 변화가 없으며 재배기술의 발 달로 단위당 수확량(3.8톤)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다른 나 라에 비해서는 낮은 수준이다. 최근 ha당 벼 수량은 호주 8.2 톤, 한국 7.0톤, 중국 6.4톤, 베트남 4.9톤, 인도네시아 4.7톤, 미얀마 4.0톤 등이다. Table 3

    말레이시아에서 쌀은 국가적 식량 안정성 확보에 필수적이 기 때문에 엄격히 규제되고 있으며, 쌀 관련 정책은 국가에서 설립한 사회적 기업인 ‘BERNAS’ (www.bernas.com.my) 를 통해 수행되고 있다. 벼 수매량은 연간 800천 톤(조곡기준 연 간 생산량의 45 ~ 50%) 수준이며, 수매 장소는 말레이시아 전 국 82개소에 있다. 말레이시아는 2008년 국제 쌀 가격 급등 이후 국가 쌀 비축량을 기존 92천 톤에서 292천 톤으로 증가 시켰다. 벼 최저가격 보장(GMP; Guaranteed Minimum Price) 제도가 있어 농가는 언제든지 정부에서 고시한 가격으로 ‘BERNAS’에 벼를 인도 가능하다. 벼 가격 보조금(Paddy Price Subsidies)은 톤당 248 MR(한화 약 86천원 수준)로 가 격 보조금을 포함하여 벼 재배농가 소득은 톤당 1,400MR(한 화 약 487천원) 수준이다. 우량종자 생산 목표는 국가 전체 필요량의 50% 이상이다. 협력기관은 전국 농민기구(PPK; Pertubuhan Peladang Kebangsaan) 및 국립 농업연구개발원(MARDI; Malaysia Agriculture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등이 있다. Table 4

    말레이시아 쌀 수입 제도 및 동향

    쌀 수입제도

    말레이시아의 쌀 수입제도를 살펴보면 농식품 수입 회사들 은 말레이시아 식품안전정보시스템(Food Safety Information System)에 등록해야 한다. 이 시스템은 세관 정보시스템(SMKSystem Maklumat Kastam)과 연계 가능하여 수입사, 대리점, 그리고 보건사회부 관계자들로 하여금 IT기술을 활용해 식품 수입 활동을 전산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해준다. 모든 수입식 품은 말레이시아의 1983년도 식품법과 1985년도 식품규제를 준수해야 한다. 수입 전에 라벨링 등 수입 시 해당 규정들이 엄격히 준수되고 있음을 확인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쌀 수입 업자는 농업부로부터 수입허가(IP: Import Permit)를 받아야 하며, 수입허가서에 수입 품목과 수입량이 표시되어야 한다. 수입 허가서에는 수입품목의 관리방법, 초과분에 대한 신고, 그리고 수출업자들에 의해 이행되어야 하는 요구사항들이 기 입되어 있다. 아세안(ASEAN)의 공동유효관세조약(CEPT)에 의한 쌀 수입관세는 20%, WTO 농업협정(AoA)에 의한 수입 관세는 40%이나 대한민국-아세안 FTA(AKFTA)에 의거 수입 관세는 면제된다. Table 5, 6

    검역 및 통관절차

    쌀 수입 시 1976년도 식물검역법과 1981년도 검역 규제를 준수해야 한다. 검역 관련해서 제출해야 될 서류는 ① 수입허 가서(IP), ② 식품위생 인증(Phytosanitary Certificate), ③ 격 리 검역(Post Entry Quarantine) 등이다. 수입식품에 대한 잔 류농약 검사는 보건사회부에서 담당하고 농업부에서는 병해충 관련 검역을 수행한다. 농업부 산하 PBM(Pesticide Board of Malaysia)에서 농약 관련 업무를 관장하고 있으며, 현재 전면 사용 금지된 농약은 Parathion-methyl, Captapol, Chlordane, DDT, Folpet, Heptachlor, Sodium 등이다. Organophosphate Pesticides 중 일부가 사용금지 또는 아직 승인이 나지 않았으 며, 승인이 났던 Methamidophos와 Monocrotophos는 농약 잔 류량 문제로 사용금지 되었다. Table. 7, 8

    수입식품 안전관리는 말레이시아로 수입되는 식품들이 안전 하고 1983년도 식품법의 모든 규정을 따르고 있다는 것을 확 인해 주기 위한 식품품질안전부의 여러 프로그램 중 하나이다. 수입식품 안전검사는 식품의 수입이 허가되기 이전에 문서를 검사하고 샘플링을 하며, 수입식품 직접 조사를 수입통관 단 계에서 시행한다. 말레이시아의 수입식품 안전정보 체계 (FoSIM)는 수입식품의 안전을 제어하고 관찰하기 위해 개발 되었다. 모든 수입창구에서 수입식품 관련문서 100% 검사, 수 입 식품 직접 조사는 육로를 통한 수입식품 70%, 해상 40%, 항공 35% 수준이다. 그리고 모든 수입창구에서 제품, 미생물, 화학분석 목적의 샘플링 검사(5%)를 한다.

    식품의 위험성을 결정하는 6레벨은 1) 수입식품을 자동적으 로 풀어줌. 2) 해당 직원이 관련 문서를 검사하고 풀어줌. 3) 의무조사를 수행하고 실험실 분석을 위해 샘플링. 4) 조사 와 샘플링은 시행되고 완료 후에 풀어줌. 5) 조사와 샘플링이 시행되어야 하고 샘플링 완료 후 억류. 6) 수입식품이 자동적 으로 거절됨 등이다.

    쌀 수입동향 및 수량제한

    쌀은 농림부로부터 수입 허가 또는 승인(A.P.; Approved Permit)을 받아야 하는 품목이다. 종종 수입허가가 비관세 장 벽으로 작용하는데 수입 허가 지연이나 불허 시 사업에 막대 한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수입 시 수량제한(쿼터)으로 자국 농민 보호와 적정가격 수준을 유지한다. 특히 쌀 수입 시에는 국립쌀위원회(NPRB; National Paddy and Rice Board)가 관 여해 자국 내 쌀 가격을 안정시키는 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말레이시아의 2013년 쌀 수입량은 890천톤(504백만 US$)으 로 전년대비 물량 11.5%, 금액 17.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 다. 말레이시아에서 쌀을 가장 많이 수입하고 있는 국가는 베 트남으로 총 수입량의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태국, 파 키스탄, 캄보디아 등이고, 자포니카 쌀은 호주, 미국, 한국 등 이 경쟁하고 있다. 정부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말레이시아는 여 전히 국내 쌀 수요의 30% 이상을 수입해야 하는 쌀 수입국가 이다.

    말레이시아의 쌀 유통실태

    현지시장 쌀 유통 현황

    말레이시아의 연간 1인당 쌀 소비량은 약 80 kg 수준이며, 총 소비량은 약 250만 톤으로 쌀 소비량의 60% 가량을 자국 에서 생산하고 나머지는 비교적 저렴한 수입쌀에 의존한다. 현 재 쌀 등 수입 식품 가격이 급등하여 말레이시아는 자국의 식 량안보와 쌀 생산량 증가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열대 지역이기 때문에 쌀은 대체로 장립종이 대부분이지만 중단립 종과 두 가지 종류가 판매되고 있다. 말레이시아 인구의 대부 분을 차지하는 말레이계, 중국계, 인도계 모두 장립종(인디카) 을 선호한다. 말레이계, 중국계, 인도계는 주식이 쌀이며, 중국 계는 국수나 떡같이 쌀로 만든 가공식품을 많이 섭취한다. 장 립종의 경우 지역과 생활수준에 따라 수입쌀을 선호하는 소비 자도 있으나, 대부분 현지 생산되는 저렴한 쌀을 주로 구매한 다. 중단립종(자포니카)의 경우 가격이 상대적으로 비싸고 열 대지역인의 기호에 맞지 않아 소비량이 적다. 세계 식량위기 를 겪었던 2008년에 쌀 가격이 급등하였으나 2014년 현재 거 의 안정되었다. 말레이시아는 2008년 국제 쌀 가격 급등 이후 국가 쌀 비축량을 기존의 92천 톤에서 292천 톤으로 3배 이 상 증량했다. Fig .1

    현지인들이 주로 이용하는 대형마트인 TESCO(영국계) 및 GHC Retail 등에는 대부분 말레이시아 및 태국산 등 장립종 쌀을 취급한다. 말레이/태국산 장립종 쌀은 30 ~ 60MR/10kg 으로 원화로 환산하면 1,000 ~ 2,000원/kg 수준이다. 쿠알라룸 푸르 중심가에 있는 파빌리온센터의 Mercato, KLCC 공원의 Isetan (일본계) 등 고급쇼핑몰에는 미국, 호주, 일본산 등 중 단립종 쌀이 일부 거래되고 있다. 현지시장에 한국 쌀은 거의 없고 센트럴역 Sam’s Groceria 등에 있는 일본식품 코너에 한 국 쌀이 일부 들어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Sam’s에서 한국 쌀은 50MR/5 kg, 99MR/10 kg으로 한인마트보다 20% 정도 할인된 가격으로 팔리고 있었다.

    한국 수출 쌀 유통실태

    말레이시아에 거주하는 한국 교민들은 중단립종 쌀을 선호 하며, 일본 쌀 또는 한국 쌀을 구매하거나 한국 쌀과 현지 찹 쌀 또는 향미를 섞어 먹는 경향이다. 장립종인 인디카 쌀은 끈기가 없고 찰지지 않으며, 소화가 빨리되는 단점 때문에 선 호하지 않는다. 일본 쌀은 가격이 비싸지만 중국계 말레이시 아인들 중에서 고급 쌀로 선호되는 경향이 있다. 현지 한국인 유학생들은 한국 쌀을 구입하는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이 가 격 문제로 인하여 장립종 쌀을 많이 찾는다. 한국 쌀은 주로 한인마트에서 판매되고, 그 이외에 한국 쌀을 판매하는 곳은 수가 매우 적고 한정적이다. 한인마트에서 판매되는 쌀은 주 로 ‘해나루쌀(당진)’, ‘의로운쌀(의성), 그리고 ‘씻어나온 쌀(오 뚜기)’, ‘황금들녘(진성곡물)’ 등의 브랜드가 있으며, ‘천하일미 (CJ)’라는 브랜드의 미국 쌀도 있다. 조사지점은 한국교민 밀 집거주지역인 앙팡(Ampang)과 몽키아라(Mont Kiara)에서 한 국식품 전문매장인 ‘신선미 마켓’과 ‘킴스마트’(말레이시아에 각각 4개의 현지지점을 보유하고 있음), Galaxy Korean Mart 등이다. 한인마트에서 팔리는 한국쌀은 kg당 4,000 ~ 5,000원 수준으로 미국쌀보다 대략 40% 정도 높은 수준이다. Table. 9, 10

    말레이시아 교민에 대한 쌀 설문조사

    말레이시아에 정착해서 사는 한국 교민들의 한국 쌀에 대한 의식을 알아보기 위해 말레이시아 한인회에서 주최한 ‘한국의 날’ 행사(2014년 7월 24-26일, Mid Valley Exhibition Center) 참석자를 대상으로 한국 쌀에 대한 소비자 설문조사를 실시하 였다. 주요 조사항목은 쌀 구입 및 소비행태(쌀 구입량, 구입 주기, 구입시 고려사항), 한국 쌀 가격 및 품질에 대한 의견, 쌀 수출 개선사항 등이었다. 응답자 중 유효설문지는 75명이 었으며, 응답자의 성별은 남자 34.7%, 여자 65.3%, 연령대는 40대 50.7%, 50대 24.0%, 30대 13.3% 등이었다. 가족 구성 원은 4인 이상 50.7%, 2-3인 49.3%였다. 말레이시아 거주기 간은 5 ~ 10년 28.0%, 2 ~ 5년 22.7%, 1 ~ 2년 20.0%, 그리 고 거주 동기는 직장 및 사업(57.3%), 자녀교육(20.0%), 유학 (14.7%) 등이었다. Table 11, 12

    말레이시아 교민의 쌀 구입 및 소비행태를 보면, 쌀 구입처 는 한인마트 58.7%, 대형마트 28.0%, 기타 13.3%이며, 주로 구입하는 쌀은 한국산(50.7%), 기타(30.7%), 태국산(16.0), 미 국산(2.7%) 순으로 나타났다. 구입하는 쌀 제품 크기는 10 kg(56.0%), 2 - 5 kg(33.3%)가 많았다. 교민들의 한달 쌀 구 입량은 10 kg 내외(56.0%)가 가장 많고, 5 kg 내외(21.3%), 20 kg 내외(14.7%), 2 kg 미만(8.0%) 등이었다. 주로 구입하는 쌀은 일반쌀(68.0%)이 가장 많고, 쌀 구매 시 중요시하는 요 인은 품질(58.7%)이 가장 많았고, 다음은 가격(24.0%), 생산지 (12.0%), 브랜드(2.7%) 등이었다. Table. 13, 14

    말레이시아 교민의 한국 쌀 가격 및 품질 등에 대한 인식은 다음과 같다. 한국 쌀 가격은 비싸다(68.0%), 아주 비싸다 (9.3%)가 적당하다(25.3%)보다 많았다. 한국 수출 쌀의 품질은 아주 좋다(4.0%), 좋다(28.0%)는 의견보다 보통이다(65.3%)가 가장 많았다. 쌀 품질의 문제점으로는 품질이 일정하지 않다 (30.7%), 찰기부족(12.7%) 등을 지적했다. 쌀 구입 시 정보획 득은 매장 진열대(42.7%)가 가장 많았고, 경험으로(26.7%), 친 구/친지(17.3%) 등이 많아 홍보의 필요성도 큰 것으로 나타났 다. 수출 쌀의 개선점으로는 가격 저렴화(46.7%), 품질향상 (18.7%), 마케팅(12.0%) 등이었다.

    홍콩시장의 쌀 유통실태

    홍콩의 쌀 생산 및 소비동향

    홍콩은 전체 면적 1,104 km2 중 경작지가 7.3 km2에 불과해 대부분의 농산물은 중국 내륙이나 외국에서 수입하고 있다. 논 은 없고 채소 및 과수원 용지가 일부 있을 뿐이다. 홍콩인들 의 주식은 밥과 면으로 쌀 소비는 많으나 자체 생산은 없어 전적으로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45kg 정도이다가).

    쌀은 주식으로서 비상시에도 안정적인 수급을 위해 비축폼 목(Reserved commodity)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홍콩 정부는 연간 및 분기별 쌀 수입량을 지정하고 있는데, 수입자 에게 비축의무물량(17%)을 지정하고, 지난 2003년부터 홍콩 주민이 15일 정도 식용할 수 있는 비축량 13,700톤 정도를 유지하고 있다(홍콩 무역산업부). 홍콩의 연간 쌀 수입량은 30 ~ 33만톤 수준인데, 홍콩으로 쌀을 수출하는 나라는 태국, 베트남, 중국, 미국, 호주 등으로 상위 5개국 비중이 98%를 차지하고, 최근에 시장진입을 한 한국은 100톤 미만으로 극히 일부를 차지하고 있다. 홍콩시장으로의 한국 쌀 수출물량은 많 지 않으나 단가가 높아 금액으로는 4순위 시장이 되고 있다. Table. 5

    홍콩의 쌀 수입관리 정책

    쌀 관리정책(Rice Control Scheme)

    쌀은 홍콩의 주식인데도 전량 수입에 의존하므로 정부가 비 축물자로 지정하여 엄격히 관리하는 품목이다. 쌀 수입에 쿼 터나 제한은 없으나 일단 신고한 양을 지켜야 하기 때문에 신 고 전 신중한 시장조사를 통해 수요예측이 필요하다. 쌀 수입 자는 매년 11월 15일까지 다음연도 수입량을 미리 신고해야 하며, 이후 3개월에 한 번씩 다음 분기 수입 예상량을 다시 신청하는데(3, 6, 9, 12월 15일), 매분기별 신고량의 5% 내에 서만 변경이 가능하다. 쌀은 비축물자이기 때문에 수입자는 수 입량의 17%를 본인 부담으로 창고(16도 이하 저온창고)에 보 관해야 한다. 민간 상시 비축물량은 이전 수입기간 판매량의 17% 수준이며, 이전 수입기간 판매실적이 없는 첫 수입자의 비축물량은 첫 수입량의 17%로 수입량이 많을수록 수입자의 창고비용 부담이 높아진다.

    쌀 수입업체 등록 및 수입신고

    홍콩 무역산업부에 쌀 수입업체로 등록된 업체(라이센스 보 유)만 쌀 수입이 가능하다. 현재 홍콩에는 등록된 업체가 178 개이고 이중 110개가 활동 중이며, 한국 쌀을 수입하는 곳은 4곳으로 이중 2곳이 현지 회사, 2곳은 한국인이 운영하는 회 사이다. 쌀 수입을 위한 라이센스를 받는데 특별한 제한은 없 으나, 쌀 수입 시마다 쌀 수입허가증이(수입허가증은 발급일로 부터 6주간 유효) 필요하다. 쌀 화물이 승인된 창고에 도착한 후 쌀 도착보고서를 홍콩 무역산업부의 쌀 통제 부서에 제출 한다. 도착보고서 제출 후 창고에서 쌀을 운송하기 위해서는 쌀 운송허가 신청서를 무역산업부의 쌀 통제 부서에 제출 후 승인을 받아야 한다. 쌀 수입업체는 쌀 재고량과 판매기록을 매월 무역산업국의 쌀 통제부서에 보고해야 한다.

    쌀 검역 및 통관절차

    쌀은 홍콩 식품안전청의 식품감시 프로그램에 속하는 품목 으로 홍콩세관의 임의적인 농약, 중금속 등에 대한 샘플조사 가 있을 수 있다. 홍콩은 수출입 자유방임정책으로 수입된 물 품에 대하여 통관을 규제하는 특별한 조항은 없다. 수입상품 에 대한 통관관리는 적하목록(Manifest)과 같은 서류검사로 이 루어지며, 필요시에는 선택조사(Physical examination)도 있을 수 있고, 이 경우 선택된 적송품은 관세청 담당자에 의해 조 사를 목적으로 보관될 수 있다. 통관시에는 ‘Bill of Entry’(관 세사나 통관 에이전트가 작성), 상업 송장, 포장 목록, 선하증 권(B/L), 원산지 증명서, 화물 검사 증명서(필요시)가 기본적으 로 요구된다. 기본적으로 97% 이상이 비과세물품으로 선하증 권 등의 증빙서류를 지참하면 화주의 직접 화물 수취가 가능 하나, 쌀과 같이 수입허가증 발급대상 품목의 경우는 각각 수 출입 규정, 비축물자 규정 등에 의해 수입허가증을 발급받아 야만 통관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홍콩의 쌀 유통실태

    홍콩 쌀 유통시장 및 가격동향

    홍콩은 각종 음식문화가 발달하고 무관세의 무역환경에 의 해 세계 15개 이상의 국가에서 다양한 품종의 쌀이 들어오고 있다. 현재 등록된 수입업체는 178개이고 이중 110개가 활동 중이며, 대부분 태국과 베트남 쌀을 수입하고 있다. 홍콩의 1 인당 쌀 소비량은 45 kg 수준으로 외식문화가 발달한 홍콩은 대부분 2 ~ 5 kg 포장 단위의 제품을 수퍼마켓(고급형 수퍼 포 함) 또는 편의점에서 구매하고 있다. 홍콩의 쌀 가격은 2008 년 세계 식량위기 이후 점진적으로 상승하고 있는데, 국가브 랜드별 가격대도 다양하게 구성되고 있다. 국가별 쌀 가격대 는 베트남 <태국 <중국 <호주 <이탈리아 <미국 <한국 < 일본 등이다.

    홍콩 내 대표적 수퍼마켓 체인인 ‘Wellcome’과 ‘ParknShop’ 에는 40종 이상의 쌀 브랜드가 입점해 있고, 기타 유통매장을 포함하면 수십종 이상의 브랜드가 진출해 있는 것으로 추정된 다. 홍콩 내 Wellcome 매장은 281개, ParknShop 매장은 285개로(농수산식품유통공사), 홍콩에서 인기 있는 쌀은 향미 와 자스민쌀이며, 은은한 향이 나고 달콤짭잘한 현지음식과 어 울려 인기가 있다. 홍콩의 지역특성상 물류와 관련한 포장 형 태가 민감한 사항이다. 포장유형으로는 ① 진공, ② 반진공(탈 산화제 충전), ③ 진공 및 탈산화제 팩 삽입 등의 포장 형태 로 나누어진다. 일본과 대만, 호주산은 반진공과 진공 제품이 모두 있는데, 태국, 베트남산은 진공이 대부분이다. 한국산은 대부분 반진공포장인데 진공의 경우 딱딱해서 취급 시 사람이 다칠 수도 있고 운송 중 충돌로 포장이 파괴될 수도 있다.

    홍콩 유통시장의 90% 정도를 점유하고 있다는 현지인 체인 형 수퍼마켓은 ‘Wellcome’과 ‘ParknShop’ 등인데, 여기에서 대체로 중포장의 장립종 쌀을 취급하고 있다. 주로 태국산, 베 트남산 등 장립종 쌀과 향미, 자스민 쌀 등이다. 포장단위는 주로 5 ~ 10 kg, 가격은 10 ~ 20 HD (1,300 ~ 2,600원)/kg 내 외로 다양하며, 최근에는 저가의 대만 쌀이나 일본 쌀도 일부 취급하고 있다.

    국제금융 및 상업도시인 홍콩에서 백화점 수준의 고급형 수 퍼마켓은 City Super (4개소), Jusco (13개소), Apita, Aeon, Sogo, K11, The One 등 다양한데, 최근 일본, 한국, 미국, 대만산 등 소포장 위주의 자포니카 쌀이 상당수 입점해 한국 쌀이 그들과 경쟁하고 있다. 고급형 수퍼마켓에서의 쌀 포장 단위는 주로 1 ~ 5 kg 소포장이 주류인데, 한국 쌀은 ‘임금님 표 이천쌀’(윤슬미/한오로미/참결미 등 2, 4 kg 포대), ‘바비보 약’(푸르메, 2 kg), ‘그 옛날 오리쌀’(홍성, 친환경, 1.5 kg) 등 이 있다. 특히 고가 제품 중에서 한국, 일본 제품은 City Super, Apita 등 고급형 수퍼마켓의 저온판매대에서 판매되는 제품이 있다.

    홍콩인 대부분이 향미와 같은 장립종을 선호하지만 고급소 비자 계층에서는 고가의 단립종을 애용하고 있다. 일본계 고 급마트에서 일본쌀이 단립종 쌀 시장을 선점하고 있었지만, 최 근 한국과 대만산으로 시장이 이동하고 있다. 단립종 고급쌀 의 가격은 대체로 일본산>한국산>미국산>대만산의 순이다. 일 본 쌀은 한화로 9,300 ~ 12,000원, 한국산은 8,000 ~ 9,300원, 미국산은 4,400 ~ 5,700원/kg에 거래되고 있다.

    한국 교민시장 쌀 유통실태

    홍콩 거주 한국 교민은 약 1만명 정도로 추정되며 현재 교 민들에게 인기를 얻어가는 ‘임금님표 이천쌀’은 목표시장을 교 민시장에서 현지시장으로의 진입을 꾸준히 시도하고 있다. 교 민지를 통한 홍보, 교민행사 및 한국 관련 행사(예: 한국어 말 하기, 글짓기 대회 등) 서포터로 참가하는 등의 프로모션을 진 행하고 있다. 초기에는 소비자의 대부분이 교민이었지만 현재 는 교민(직접 주문)과 현지 소비자(City Super, Jusco 등) 판 매비율이 약 50 : 50 비율로 차츰 현지 소비자가 증가하는 추 세이다. 한인마트에서는 한국 쌀 브랜드 중 이천, 여주 등 경 기미가 팔리고 있는데, 동일 브랜드 중 낮은 등급의 쌀을 현 지시장과 비슷한 가격으로 판매하고 있었다(12 0HD/2 kg, 8,000원/kg 수준). Fig . 2

    홍콩의 쌀 소비패턴 및 시사점

    홍콩 현지시장은 현재까지 주로 태국과 베트남 산 장립종이 장악하고 있다. 일반 가정에서 사용되는 쌀은 kg당 10 ~ 15 HD 정도의 태국, 베트남 쌀이며, 한국산 쌀은 고가이므로 일반 홍 콩 서민 가정보다는 고급 소비자층에 대한 집중 공략이 바람 직할 것이다. 현재 고가로 판매되는 쌀 제품들은 건강 쌀, 유 기농 등의 뚜렷한 특성을 가지고 고급시장을 공략 중에 있다. 대만 쌀의 경우 다양한 브랜드와 포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같 은 브랜드도 진공, 반진공으로 달리 포장하고, 300 g 등 다양 한 크기의 제품 포장이 있다. 대만은 한자(번체)를 공유하기 때문에 소비자에게 포장의 내용 전달이 용이하다. 유기농 상 품에는 별도의 마크가 새겨져 있고, 유기농 제품이라는 표시 가 두드러진다. 홍콩은 요리문화가 발달한 지역으로 요리에 따 른 재료도 세분화되어 있다. 이탈리아 쌀은 리조또용, 인도 바 스마티 쌀은 인도식 요리, 일본 진주미는 초밥에 사용되고 있 다. 따라서 한국 쌀 역시 비빔밥 등 한국요리와 어울리는 밥 맛을 내기 위한 쌀로 소비자의 인식을 얻는 것이 중요한 것으 로 판단된다.

    고급쌀 시장에서 유기농은 키워드가 되었고 최근 유기농 재 배 표시 및 당해년도 햅쌀 표시를 포장에 잘 보이게 하는 추 세이다. 대만 쌀의 경우 포장에 Organic 표시가 되어 있고, 태국 햅쌀의 경우 ‘New Harvest’라는 햅쌀 표시가 있다. 대형 포장(5 ~ 10 kg)의 경우 특별한 포장은 발견되지 않으나 특별 한 요리용으로 소포장된 이탈리아, 인도 쌀 등의 경우 좀 더 이국적인 느낌의 디자인을 볼 수 있으며 조리법까지 기재되어 전문적인 느낌을 준다. 아직 기능 면에서 특별한 포장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에 편리성을 고려한 아이디어 역시 상품 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예를 들어 현지인들은 한국에서처럼 전문화된 쌀통을 쓰지 않고 2 ~ 5kg 제품을 선 호하므로 ‘지퍼락 비닐포장’ 등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홍콩 교민에 대한 쌀 설문조사 결과

    홍콩에 정착해서 사는 한국 교민들의 수출 쌀에 대한 의식 을 알아보기 위해 한인마트에서 한국 쌀 구입자와 ‘한인교회’ 협조를 받아 한국 쌀에 대한 소비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조사항목은 쌀 구입 및 소비행태(쌀 구입량, 구입시 고 려사항), 한국 쌀 가격 및 품질에 대한 의견, 쌀 수출 개선사 항 등이었다. 응답자 중 유효설문지는 40명이었으며, 응답자의 성별은 남자 27.5%, 여자 72.5%, 연령대는 40대 45.0%, 50 대 35.0%, 30대 12.5% 등이었다. 가족 구성원은 4인 이상 45.0%, 2 ~ 3인 45.0%였다. 홍콩 거주기간은 10년 이상 50%, 2 ~ 5년 20%, 5 ~ 10년 15%, 그리고 거주 동기는 직장 및 사업(85.0%)이 가장 많았다.

    홍콩 교민의 쌀 구입 및 소비행태를 보면, 쌀 구입처는 대 형마트 85.0%, 한인마트 7.5%, 기타 7.53%이며, 주로 구입하 는 쌀은 태국산(35.0%) 기타(52.5%)가 가장 많고 미국산과 한 국산은 미미했다. 구입하는 쌀 제품 크기는 2 - 5 kg(67.5%) 소포장이 가장 많았다. 교민들의 한달 쌀 구입량은 5 kg 내외 (40%)가 가장 많고, 10 kg 내외(32.5%), 2 kg 미만(17.5%) 등 이었다. 주로 구입하는 쌀은 일반쌀(62.5%)이 가장 많고, 쌀 구매 시 중요시하는 요인은 품질(55%)이 가장 많고, 다음은 가격(17.5%), 생산지(15%), 브랜드(10%) 등이었다.

    홍콩 교민의 한국 쌀 가격 및 품질 등에 대한 인식은 다음 과 같다. 한국 쌀 가격은 비싸다(55%), 아주 비싸다(25%), 적 당하다(15%) 등이고, 미국산과 비슷한 수준이어야 한다는 의 견(45%)이 많았으며, 10% 이상 비싸도 사겠다는 사람은 40% 정도였다. 한국 수출 쌀의 품질은 아주 좋다(10%), 좋다 (72.5%)는 의견이 많았다. 쌀 구입 시 정보획득은 매장 진열 대(42.5%)가 가장 많고, 경험으로(32.5%) 등이 많아 홍보의 필요성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 쌀의 개선점으로는 가격 저렴화(75%)가 가장 많이 지적되었고, 구입 편리성(17.5%)이 다음이다.

    쌀 수출 활성화를 위한 대응전략

    이제는 한국 쌀 시장도 관세화 되었기 때문에 그에 대응하 여 쌀 수급조절과 경쟁력 향상을 위해 중장기 전략을 다시 세 워야 할 시점이다. 미국과 호주 등 자포니카 쌀 수출국들은 오래전부터 수출을 위한 대비를 한 결과 세계 쌀 시장을 선점 하게 되었다. 우리도 호주, 미국 등 교민시장을 벗어나 중국, 일본, 동남아시아 등 쌀 소비가 많은 지역 진입을 목표로 사 전조사 연구가 필요하다. 한국 쌀 수출확대를 위해서는 세계 최고의 품질과 안전성으로 승부하는 고가미 전략과 동남아, 중 동, 아프리카 등 중저가쌀 시장을 공략하는 2-트랙 전략이 필 요하다.

    지속적인 쌀 품질관리 개선

    세계의 자포니카 쌀 시장을 선점하고 있는 미국과 호주와 경쟁하기 위해서 가격경쟁력으로는 한계가 있어 품질로 경쟁 해야 하는데, 국내 생산업자는 물론 유통업자들이 미질에 대 한 정보가 부족하고, 아직 수출량과 경험이 적어 장기 운송 및 보관 중 관리 부주의로 변질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말레이시아, 홍콩 등 소비자 설문조사 결과에서도 한국 수출 쌀의 품질은 좋은데 미질이 일정하지 않다는 지적이 많았다. 변질은 관련 업체 간의 분쟁 유발은 물론 소비자의 한국 쌀에 대한 이미지를 훼손하고 있어, 지속적인 공급확대를 위해 시 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수출시장에 미질 관련 정보 제공 과 홍보가 강화되어야 하고, 유통과정에서의 미질저하 방지를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수출용 쌀의 포장재 및 저장성, 장거리 운송 시 품질유지 기술개발이 강화 되어야 할 것이며, 품질기준의 설정도 필요하다. 그리고 지대 포장은 운송 중 파손과 변질의 원인이 되므로 반진공 포장이 나 탈산소제 투입 등의 조치가 필요하다. 선진국에서는 쌀이 건강식품으로 알려져 소비가 늘고 있기 때문에 포장지에 영양 성분과 조리방법 등을 표시하는 것이 좋으며, 현지 언어표기 가 필요하다. 국가별 소비성향이나 선호도를 분석하여 말레이 시아는 중대포장, 홍콩은 소포장 등 적절한 포장단위 제품을 수출해야 할 것이다. 접근성을 쉽게 하기 위해 백화점, 대형쇼 핑몰용 소포장 제품의 확대가 무엇보다 시급하며, 디자인의 다 양화와 개선도 필요하다.

    쌀 가격경쟁력 제고를 위한 노력 강화

    한국 쌀의 품질은 세계의 쌀 시장에서 손색이 없는 수준이 다. 다만 수출시장에 지속적으로 충분한 물량을 내보내는데 한 계가 있다는 점과 가격경쟁력이 약한 것이 흠이다. 따라서 가 격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출용 쌀 생산 단지화를 통해 생산비를 낮추는 노력이 필요하다. 경험을 축적한 전문업체 (RPC)를 중심으로 들녘별 경영체 단위로 기술적 요소들을 집 단으로 관리하며, 생산단계에서부터 수출까지 일관 시스템으 로 생산비를 낮출 필요가 있다. 기존에 경험을 축적한 수출용 쌀 생산단지를 집중적으로 육성 지원하여 수출 쌀 전용라인을 설치하는 등 쌀 수출 전문법인으로 정착시켜 나가야 할 것이 다. 농촌진흥청은 지난 2011년부터 수출용 쌀 생산단지를 지 정하여 기술적 대응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시범단지에서는 생 산자를 조직화하여 품종을 통일하고 비료, 농약 등 생산자재 의 일부 지원과 재배기술 교육 등을 실시하고 있는데, 자율적 단지운영 리더십이 부족하고 수출시장에 대한 정보도 부족하 기 때문에 몇몇 전문업체가 주도하고 있다. 기존에 조성된 단 지들이 생산비를 획기적으로 절감하여 수출용 쌀 생산을 전담 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수출용 쌀은 일반적 인 고품질 쌀 뿐만 아니라 수량성이 높은 가공용이나 인디카 쌀과 고미까지 수출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해외시장 정보축적 및 홍보 강화

    쌀 수출 시장개척 단계에서 지역별로 다양한 개별브랜드가 경쟁적으로 진출하여 해외시장에서 한국 쌀 브랜드에 대한 인 지도가 취약한 실정이다. 지역간의 내부경쟁을 지양하고 수출 용 쌀 공동브랜드를 만들어 공동 판촉, 홍보 등 마케팅을 강 화해야 할 것이다. 최근 세계적인 한류열풍으로 우리나라 식 문화에 관심이 커지고 있어 한류스타를 모델로 홍보하는 것도 좋은 방안이 될 것이다. 한편 국제 식품박람회에 적극적으로 참가하여 한국 쌀의 우수성을 홍보하고, 특히 쌀 소비가 많은 아세안계 밀집지역에서 우리 쌀 시식회 및 판촉행사를 개최하 는 등 교민은 물론 현지인들의 소비를 창출하는데 농정당국과 지방자치단체, 농림수산식품유통공사, KOTRA 등 유관기관에 서 지원과 협력을 아끼지 말아야 하겠다.

    새로운 수출시장을 개척하기 위해서 경험이 부족한 생산업 체가 국제 쌀시장 동향과 국가별 소비?유통 정보를 접하기는 어려움이 많다. 그로 인해 가격 및 수요 예측이 힘들고, 우량 바이어 확보가 어려우며, 클레임의 방지 및 대처가 미흡한 점 등 수출확대와 새로운 시장 개척에 어려움이 많다. 따라서 국 제교역 상황, 수출국 소비자 기호 및 유통실태, 해당국가의 검 역제도 등에 관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하여 제공해 주는 전문조직이 필요하다. 쌀 수출지원을 위한 연구도 강화되고 해 외시장 동향도 지속적으로 수집되어야 할 것이다.

    적 요

    한국의 쌀 수급상황을 볼 때 생산은 유지되고 소비는 줄어 들며 외국산 쌀 수입은 늘게 되어 공급과잉이 전망되므로 관 세화에 대한 대응책으로 수출시장 개척이 중요한 과제이다. 본 연구는 최근 한국 쌀 수출이 증가하고 있는 동남아시아의 말 레이시아와 홍콩 시장의 쌀 유통실태를 조사하여, 우리 쌀 수 출 확대를 위한 대응방안을 모색코자 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한국 쌀은 지난 2007년 566톤 수출을 시작으로 조금씩 증가하여 수출국 수는 40여개 국가로 늘어났다. 쌀 시장이 관 세화 되면 최소한 TRQ(409천톤) 물량이 국내시장에 영향을 미칠 것이므로 국내 쌀 소비확대와 더불어 수출에 대한 철저 한 대비가 필요하다.

    2. 한국 쌀 주요 수출시장인 말레이시아와 홍콩 시장의 쌀 유통실태와 교민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시장개척 초기단계에 서 장기간 운송에 따른 품질관리와 가격경쟁력 등 문제점도 있으나 쌀 시장의 선호도를 잘 파악하여 시장을 공략해 나가 면 점진적으로 시장 확대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였다.

    3. 말레이시아에서 한국 쌀 가격은 비싸다(68.0%)와 아주 비 싸다(9.3%)가 적당하다(25.3%)보다 많았고, 한국 수출 쌀의 품 질은 아주 좋다(4.0%)와 좋다(28.0%)는 의견보다 보통이다 (65.3%)가 많았다. 쌀 품질의 문제점으로는 품질이 일정하지 않다(30.7%) 등을 지적했다. 수출 쌀의 개선점으로는 가격 저 렴화(46.7%), 품질향상(18.7%), 마케팅(12.0%) 등이었다.

    4. 홍콩의 경우 한국의 고품질 소포장 쌀이 교민시장을 넘 어 현지 고급 수퍼마켓에서 일본, 미국, 호주 쌀과 경쟁하고 있는데, 일본산 다음으로 높은 가격을 받으며 시장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일일생활권인 마카오시장까지 포함해서 포장재 개선과 판촉활동 등 자포니카 쌀 시장에 대한 적극적인 공략 이 필요하다.

    5. 앞으로 한국 쌀의 수출 확대를 위해서는 최고품질과 안 전성으로 승부하는 고가미 시장과 개발도상국을 대상으로 하 는 중저가미 시장 등 2-트랙 전략이 필요하다. 품질을 기본으 로 하면서 생산비 절감을 통한 가격경쟁력 제고가 시급한 과 제이며, 한국 쌀의 인지도를 높이기 위한 홍보강화도 중요하다.

    6. 잠재적 수출시장에 한국 쌀의 우수성을 알릴 수 있는 정 보도 체계적으로 공급하여야 한다. 수출용 쌀 통합브랜드 개 발과 엄격한 품질관리, 장기유통을 위한 포장재 개발, 수출전 문 생산단지 조성과 전문 업체 및 인력육성도 필요하다. 쌀 관세화로 수출여건이 개선될 전망이므로 차후에도 우리 쌀 수 출시장에 대한 면밀한 조사 분석과 시장개척 등 정책적 관심 이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Figure

    KSIA-27-273_F1.gif

    Korea rice selled at high-level mart (Mercato, Isetan, Sam’s) in Malaysia.

    KSIA-27-273_F2.gif

    Korea rice selled at Korean mart in Hong Kong.

    Table

    Export of Korean rice (2007 ~ 2014).

    *Source : Korea Agro-Fisheries & Food Trade Cooperation, 2015.

    Rice production of Malaysia.

    Source : Ministry of Agriculture, Malaysia and FAO Statistics

    Rice Import of Malaysia. (Unit: M/T, thousand US$, %)

    Source : Global Trade Atlas, 2014.

    Rice price at Korean mart in Kuala Lumpur Malaysia. (1 MR≒348 Won)

    *Imgumnim (Korea) is 135 MR, Chunhailmi (US) is 80 MR/10kg in Galaxy mart

    General information of surveyed rice consumer in KL, Malaysia.

    Rice purchase and consumption of Korean residents in KL, Malaysia.

    Awareness of Korean residents for Korean rice in Malaysia.

    Rice import of Hong Kong by country.

    *Source : Hong Kong Trade and Industry Department, 2014

    Rice price trend in Hong Kong. (Unit: HKD/kg)

    *Source : Hong Kong Trade and Industry Department, 2014

    Rice price at Super market in Hong Kong (1HD≒133Won)

    Rice price at Korean mart in Hong Kong (1HD≒133Won)

    *It is surveyed at Sinsegye mart and Hankook-food in Chimshatsui

    General information of surveyed rice consumer in Hong Kong.

    Rice purchase and consumption of Korean residents in Hong Kong

    Awareness of Korean residents for Korean rice in Hong Kong.

    Reference

    1. Kim JH , Jung IG , Bae DH , Kim HS , Kyung JH , Kang HA (2013) “Survey on Each Country Quarantine, Distribution and the Port Logistics System Present for Rice Exports Expand” , FACT. RDA Research Report, ; pp.-241
    2. Korea Agro-Fisheries & Food Trade Cooperation (2015) Rice Export Data, (Internal statistics)
    3. Korea Rice Industry Development Association (2014) “Present Situation and Improvement on Marketing and Consumption of Rice”, ; pp.79-105
    4. Park JH , Lee JH , Cho MS (2013) Studies on Technology Development and Service for Rice Export , NICS RDA Research Report, ; pp.-82
    5. Park P S , Park J K (2007) World’s Rice : Production and Export , RDA Korea, ; pp.57-79
    6. Park P S , Park S H , Park SY (2014) “Improvement of Rice Production Complex for Export” ,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pp.44
    7. Park P S , Lim S H (2015) “Management Analysis on Rice Production Complex for Export and Marketing Status of Exported Korean Rice” ,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pp.1-160
    8. Park P S , Park S H , Park S Y (2014) “Marketing Status and Countermeasure for Korean Rice Export in Australia and New Zealand” , Korean Journal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Vol.26 (4) ; pp.404-413
    9. Park J H , Park P S (2014) “Present status and strategies for enhancing Korean rice export” , Korean Journal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Vol.26 (4) ; pp.474-481
    10. Han S H (2011) “Trend and Prospect of Korean Rice Export” , Korea Rural Economics Institute, ; pp.-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