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8504(Print)
ISSN : 2287-8165(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Vol.26 No.2 pp.91-97
DOI : https://doi.org/10.12719/KSIA.2014.26.2.91

Measures to Strengthen the Roles of Extension for Agricultural and Rural Development in Africa

Sang Bong Im†
Rural Research Institute, KRC
Corresponding Author : (Phone) +82-31-400-1766, imsb21@gmail.com
October 30, 2013 April 24, 2014 June 10, 2014

Abstract

Agricultural and rural extension has played diverse roles for rural development according to different ages and situations. In Africa, the roles of extension are strongly requires to eradicate poverty. In this regard, the study aims at proposing some measures to strengthen the roles of extension for the Africa’s rural development. It seems that there need such policies as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agricultural and rural development projects, formation of community’s change adoption environments, community empowerment and capacity building, in order to facilitate agricultural and rural development. For strengthening the linkage of extension to agricultural and rural development policies, the following measures will have to be adopted: i) strengthening of the linkage of extension services to agricultural and rural development projects; ii) formation of community’s change adoption climates by integrating consciousness transformation and infrastructure improvement; iii) recovery and expansion of public-side rural extension’s roles for facilitating community change by empowering the extension workers; iv) acceleration of innovation expansion through facilitation method or technique.


아프리카 농업과 농촌 발전을 위한 농촌지도의 역할 강화 방안

임 상봉†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초록


    농촌지도(agricultural and rural extension)

    의 기 능과 목적, 사업내용, 사업대상자 등은 시대나 상황에 따라 다 양하게 나타나고 있다(Gaaya, 1994). 기능적인 측면에서는 학 교교육 이외의 사회교육을 담당하였는데, 교육 분야로는 농업 투입재 공급, 신용자금 제공, 유통시설 지원, 통계수집, 각종 정 부정책 집행과 관련된 내용 중의 어느 한가지나 여러 가지를 포함한다. 농촌지도의 목적도 생산성 증대에서부터 소득증대, 가정의 생활개선, 자립심 향상 교육 등을 포괄하고, 사업내용 도 특정 작물이나 모든 작물의 생산, 가축, 임산물, 수산물의 일부나 전부를 포함하기도 한다. 세부 사업분야를 살펴보면, 생 산기술 외에도 마케팅, 경제 및 경영 측면, 종합적인 시스템, 보전, 환경의 품질 유지, 영향, 인구증가, 전반적인 가정생활 향 상 등이 다루어지며, 사업대상자도 남자, 여자, 성인, 청소년, 농업인 등 다양한 범주의 집단이 거론되게 된다(Gaaya, 1994).

    특히, 농촌지도는 제2차 세계대전이 종식된 1945년 이후 많 은 개발도상국과 선진국의 농업생산성 향상과 농가소득 증대 및 농촌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수 단으로 활용되었다(Hearn et al., 2009). 더욱이 농촌지도 기능 이 농업생산성 증대와 농업인 소득 향상에 기여하는 것은 유 럽 등지에서 민간주도 지도사업이 활성화되고 있는 추세에서 도 입증되고 있다.

    그렇다면, 아프리카의 농업과 농촌 발전을 위한 농촌지도의 역할은 무엇일까? 일반적인 농촌지도의 기능과 역할이 인정됨 에도 불구하고 아프리카에서 많은 나라의 경우 빈곤문제가 해 소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이며, 농촌지도와 연계하여 이 부분 을 어떻게 풀어가야 할까? 이러한 것들이 이 연구에서 제기하 는 주요 문제이다. 일반적으로 지방분권적 접근, 민간 및 NGO 역할 확대, 재정 지원 확대 등 다양한 농촌지도의 발전 방향이 논의되고 있는 가운데, 아프리카의 농업과 농촌의 발전을 위한 농촌지도의 역할 강화 방안을 관련 이론과 문헌 및 자료를 토 대로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농업 및 농촌 발전을 위한 농촌 지도의 역할과 관련하여 공공 부문에서 담당해야 할 일정한 역할이 있다는 관점에서 국제협력 부문에서 주안점을 두어야 할 부분을 강조하고자 한다.

    농업·농촌 개발과 농촌지도의 관계

    농업과 농촌개발은 매우 복합적인 개념으로서 행위주체의 입장과 사회의 발전수준에 따라 다양한 의미를 담고 있다. 농 업개발의 경우, 개별 농가의 입장에서는 농업생산성을 높이고, 수확한 농산물을 높은 가격에 판매하여 소득을 높이는 것이 핵심내용을 차지하게 된다. 정부 입장에서는 이에 더하여 국 민들이 안정적으로 식품에 접근할 수 있도록 식량안보를 확보 하는 것도 농업개발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게 된다. 한편, 농촌개발은 농업개발 이상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 개념으로, 농 촌주민들이 자연자원의 최적 이용과 관리를 통하여 빈곤을 효 과적으로 해결함으로써 스스로 자신의 미래를 통제하고 결정 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포함한다(Schutjer, 1991; Zwane, 2010). 이는 변화하는 세계에 자신들의 경험과 주도권을 사용 하여 토착 지식을 적용시키는 방법을 터득하는 참여적인 과정 으로 이해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농촌개발에는 농업생산성 증 대와 관련된 농업개발 외에 농촌에 관련된 비농업 분야의 개 선을 포함한다(Rivera, 1991; Rivera and Qamar, 2003).

    농촌지도(rural extension)는 흔히 농업기술 전파(agricultural extension)와 농촌개발 관련 혁신사항 전파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는데, 여기에는 ① 농업생산성과 소득의 증대를 위한 기 술과 정보 제공, ② 마을개발 등을 주요내용으로 하는 농촌지 역사회개발, ③ 비형식적인 방법을 통한 종합적인 지역사회 교 육이 포함된다(Zwane, 2012). Riversa와 Qamar(2003)는 농업 지도(agricultural extension)와 농촌지도(rural extension)를 개 념적으로 구분하였는데, 이들에 따르면 농업지도는 농업생산 기술과 농산물 유통·가공, 농장경영, 부문별 농민조직 결성 등 을 주로 다루게 된다. 반면에 농촌지도는 여기에 더하여 소기 업 개발, 비형식 문해교육, 가족계획, 영양, 보건 및 기타 농촌 관련 비농업 분야 기술전파를 다룬다(Neuchated Group, 1999). 그리하여 농촌지도는 농산물을 안정적으로 생산하여 영 양결핍을 해소하고, 빈곤을 벗어나는 것에서부터 소득을 높이 고, 생활여건을 개선하며, 삶의 질을 높이는 것과 관련된 기술 과 정보를 지원하는 것을 다루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농업 및 농촌 발전을 매개하고 촉진하는 중요한 요소로 볼 수 있다.

    한편, 농촌지도는 공공분야 예산감소 등 시대 변화에 따라 서비스 유료화와 연계하여 민간의 역할이 증대되고, 수요에 기 반을 둔 맞춤식 기술지원 서비스가 강조되며, 지방분권화가 강 화되고, 환경의 중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확산되고 지속가능한 개발이 강조되면서 환경보전 부문의 역할이 강화되고, 다양한 전략과 방법이 시도되는 등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그렇지 만, 농업과 농촌의 특수성에서 연유하는 공익적 기능과 공공 재적 특성이 있는 만큼, 이 부분에 대해서는 공공부문에서 일 정부분 기술지원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특정 지역과 나 라의 실정에 맞는 농촌지도 정책 모델을 만들어 나가야 할 것 이다. 더욱이 아프리카와 같이 빈곤해소가 중요한 사회적 이 슈가 되고, 저개발 상황을 벗어나기 위하여 급속한 사회변화 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국제협력 및 공공 부문과 긴밀한 연 계를 유지하는 가운데에서 농촌지도의 역할을 강화하는 방안 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아프리카 농업·농촌 개발의 이슈와 농촌지도의 역할

    아프리카 농업·농촌 개발의 주요 이슈

    기아와 빈곤의 만연

    아프리카 농업과 농촌은 기아와 빈곤 및 열악한 생활환경으 로 특징지을 수 있다. 아프리카에서 농업은 경제의 근간이며, 고용과 국제무역의 주원천임에도(Pye-Smith, 2012), 충분히 개 발되지 못한 채 저발전의 표상으로 인식되고 있다고 해도 과 언이 아니다. 아프리카를 비롯한 개발도상국에서 농업과 농촌 이 빈곤의 대명사로 인식되게 된 데에는 세계 수십억명의 빈 민 중 4분의 3이 농촌지역에 살고 있으며, 농촌 빈민 대다수 가 생존과 생계를 농업에 의존하고 있는 것과 무관하지 않다.

    IFAD(2010)는 조사연구를 통하여 농촌빈민이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가)와 남아시아에 집중되어 있음을 밝힌 바 있다(Fig. 1). Fig. 1은 전체 빈민 중 농촌민빈이 차지하는 비율을 보여주는 데, 아프리카가 남아시아보다 낮기는 하지만, 남아시아의 경우 에는 농촌빈민의 비율이 감소하는 추세인데 비해 아프리카의 경우에는 거의 감소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Fig. 2는 농 촌인구 중 빈민이 차지하는 비율을 보여주고 있는데, 아프리 카가 60% 이상으로 다른 지역보다 월등히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1996년 로마에서 개최된 세계식량정상회의(WFS: World Food Summit)에서는 FAO 회원국들이 2015년까지 식량부족 상태에 놓여있는 인구를 절반으로 줄이는 목표를 세운 바 있 다(Rivera, 2003; IFPRI, 2013).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개도국 인구의 20%에 이르는 8억명이 만성적인 영양부족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는 가운데, 매년 2천만명씩 영양결핍자가 줄어들어야 한다(FAO, 2012a). 그런데 현재 줄 어들고 있는 영양결핍자 수는 연 800만명 수준으로, 2배 이상 빠른 속도로 줄어야만 목표달성이 가능한 상황이다. 세계 인 구의 증가와 함께 영양결핍자 상황은 더 악화되고 있어서 이 에 대한 정교한 맞춤식 정책이 요구되는 이유이다.

    정책 소외계층으로서의 소농과 여성

    에티오피아, 케냐, 르완다, 모잠비크, 잠비아를 대상으로 사 례 분석한 연구결과를 보면, 임차농지를 포함하여 1인당 0.1 ha 이하 규모의 농지를 경작하는 농가가 4분의 1에 달하고 있다(Jayne, 2003). 더욱이 소농 중에는 농지를 전혀 가지고 있지 못한 극빈농도 상당수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Jayne, 2003).

    일찍이 세계은행에서는 각종 정책에서 소외되어 있는 여성 이 농업생산의 70%를 차지하고 있음을 밝힌 바 있다(World Bank, 1990). 반면에 여성의 농지에 대한 접근은 제한적인 것 으로 나타나고 있다. 2005년 FAO 통계를 보면, 라틴아메리카 가 여성의 농지소유 비율이 20%로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고, 아프리카(사하라이남 지역)는 남아시아 및 동남아시아와 비슷 한 수준인 15%를 차지하였는데, 개도국 전반적으로 남자에 비 해 농지접근이 크게 불리한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에티오피 아의 경우, 농산물의 90%가 소규모 영농을 하는 생존농에 의 해 생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데(Belay, 2013), 아프 리카 여러 나라의 사정이 이와 크게 다르지 않은 상황이다.

    낮은 농업생산성

    북아프리카를 포함한 전체 아프리카의 2009년 농업용 토지 비율은 전체 토지의 39.2%로 세계 평균(37.6%)보다 높은 것 으로 나타나고 있다(FAO, 2012b). 그런데 이러한 토지구성 비 율은 세부항목별로 차이가 있어서, 목초지는 30.6%로 세계 수 준(25.8%)보다 높은 데 반해, 경작지는 7.6%로 세계 수준 (10.6%)보다 낮은 특징을 보이고 있다(Table 1 참조).

    이와 같이 아프리카의 전체적인 농업용 토지 비율은 세계 수준과 비교하여 높은 편임에도 농업생산성은 세계 평균의 4 분의 1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Pye-Smith, 2012). 이 로 말미암아 아프리카 많은 나라에서 만성적인 식량부족 문제 에 시달리고 있는 가운데, 전세계에서 식량원조를 받는 나라 가 34개국인데, 이 중에 27개국이 아프리카에 속해 있어서 아 프리카의 식량문제가 얼마나 심각한지를 미루어 짐작할 수 있 다(FAO, 2013). 케냐를 비롯한 인근 아프리카 나라들이 겪고 있는 식량위기는 매우 심각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가뭄에 더 하여 사회, 정치적 갈등이 원인이 되어 2011년에만 1,300만명 이 비상식량을 배급받았고, 목축 분야에서는 가축의 60%를 잃 었으며, 수백만명의 난민이 발생하여 소말리아 국경 인근의 난 민수용소는 입추의 여지가 없는 상황에 이른 것이 이를 잘 말 해주고 있다(Pye-Smith, 2012). 이는 아프리카의 식량문제 해 결을 위하여 농업생산성을 높이는 것이 매우 시급하고도 중요 한 과제임을 시사해준다.

    아프리카 농업생산성을 떨어뜨리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로 열악한 기반시설을 들 수 있다. 도로, 전기, 저장시설과 같은 기본적인 농촌기반시설을 갖추는 것은 농업 부문을 발전시키 는 데 있어서 선결요건으로 간주된다(FAO, 2012b). 세계 지역 별로 기반시설의 질에 대한 점수(최저: 1점; 최고: 5점)를 매 긴 것을 보면, 2010년의 경우 아프리카가 2점(다른 지역은 2.5 또는 그 이상)으로 가장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FAO, 2012b).

    아프리카의 농업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이제까지의 해외 원조사업이 당장 부족한 식량을 지원하는 부분에 집중되어 있 는 것에 대해서도 반성과 함께 근본적인 변화를 모색할 필요 가 있다. 당장의 기근을 모면하기 위해서는 식량지원도 중요 하지만, 중장기적으로 식량부족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전략이 병행되지 않는다면 아프리카의 자생적인 성장은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사업 효과가 뛰 어난 부분에 우선순위를 두고, 농업과 농촌 인프라시설에 공 공자금을 투입하면서 농업기술 지원 서비스를 병행하여 가시 적인 사업효과를 얻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아프리카 농촌지도의 문제점

    아프리카에서 농업성장을 촉진하는 것이 빈곤과 기아를 줄 이는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가 될 수 있음은 명확해 보인다. 농업을 발전시키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 대안이 있을 수 있으 나, 그 중에 빠뜨릴 수 없는 것이 농촌지도 서비스이다 (Madukwe, 2006). 원조국이나 정부로부터 농업인과 농촌주민 을 연결시켜 주는 것이 바로 농촌지도의 기능이기 때문이다 (Davis, 2009).

    선행연구에서도 아프리카의 농업 생산성이 낮은 근본적인 이유 중의 하나로 농촌지도 서비스가 열악하고, 이에 대한 재 정적인 뒷받침이 부족하기 때문으로 분석된 바 있다(Pye- Smith, 2012). 이에 대한 대책으로 농촌지도사업을 공고히 하 는 제도화가 주장되고 있으나(Oladele, 2011), 아프리카 국가 들의 재정 및 예산 부족 등의 현실을 감안하여 볼 때 실현에 많은 한계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더욱이 아프리카와 같이 빈 부격차가 큰 사회체제 하에서는 기존의 농촌지도 시스템을 강 화하는 것만으로는 소농 등 빈민층에게 농촌지도 서비스가 충 분히 제공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Rivera and Qamar, 2003).

    특히, 1980년대 아프리카의 농촌지도사업이 적절성과 효율 성, 효과성 및 형평성을 확보하는 데 실패했다는 판단 하에, 개혁 방안으로 민영화, 지방분권화, 아웃소싱, 참여적 및 수요 에 기반한 접근이 강조되었는데, 민간주도형 농촌지도의 경우 소농 등 소외계층이 서비스를 제공받기 어렵고, 지방분권형 농 촌지도의 경우 농촌지도 이외 목적으로 지도사를 이용함으로 써 본연의 기능이 약화되는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재정의 지 속성 결여되고, 연구와 연계가 부족한 등의 문제가 나타나기 에 이르렀다(Rivera, 1991). 농촌지도체계의 다각화를 시도한 모잠비크의 사례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Gemo and Rivera, 2001), 효율성을 강화한다는 명분으로 도입한 민간주도 방식 의 농촌지도가 만병통치약은 아니며, 공공부문 농촌지도의 견 실한 성장이 뒷받침되어야 민간부문 농촌지도의 효율성과 농 촌개발의 공익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아프리카 농업·농촌 발전을 위한 농촌지도의 역할 강화 방안

    프로젝트 중심농촌지도 서비스 강화

    아프리카의 저발전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농업과 농촌 개발 분야 등에 대한 다양한 국제협력 프로젝트가 추진되고 있다(World Bank, 2001; White, 2005; Bradshaw, 2006; Chun et al., 2007; Park et al., 2009; Kirk et al., 2010; Park, 2012). 아프리카의 실정을 감안하여 농업과 농촌 발전을 위한 농촌지도의 역할을 강화하는 방안으로 프로젝트에 기초 한 농촌지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농 업 및 농촌 인프라 개선 프로젝트의 추진과 연계하여 농촌지 도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프로 젝트의 목표집단에게 서비스가 직접 전달될 수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도 프로젝트에 기반한 농촌지도 서비스가 중요한 이 유는 아프리카 여러 나라의 재정 여건이 열악하여 일반적인 서비스 전달체계의 개선이 일시에 이루어지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러한 방안이 효과적인 근거로 모잠비크 사례를 들 수 있 다(World Bank, 2005). 모잠비크에서는 국제협력사업을 통하 여 농촌지도 서비스에 대한 접근을 강화한 결과, 2003 ~ 2007 년 사이 연간 약 8.4%씩 농업생산성이 증가한 것으로 밝혀진 바 있다(World Bank, 2005). 지역 실정에 적합한 작물 품종 의 보급과 친환경적인 재배기술 지도를 통한 농업생산 증가, 마케팅 관련 기술지도를 통한 소득증대와 생활여건 개선 등의 성과를 거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농업 및 농촌개발 프로젝트 중심 농촌지도 서비스 방식이 효과적임은 민간 부문의 농촌지도 사례를 통해 서도 유추할 수 있다. 민간주도형 농촌지도가 활성화되고 있 는 분야 중 하나가 계약재배 방식인데, 농산물 가공 회사 등 이 농업인과 특정 품목 재배에 대해 계약을 체결하고 재배기 술을 지원하는 경우가 그 예다(Rivera and Qamar, 2003). 이 는 지원 대상과 지원 내용을 구체적으로 설정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그 효과가 매우 높음을 시사해주며, 공공 분야 에서도 프로젝트 중심으로 기술지원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유 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그러므로 공공성이 강한 농업·농촌 분야의 향상을 위한 시범사업을 농 촌지도 서비스와 결합하여 도입,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 인다. 이를 위해 농업 및 농촌개발 지원 사업이 농촌지도와 긴밀히 연계되도록 사업 형성 및 계획수립 단계에서부터 각별 한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다만, 계약재배 분야의 민간주 도형 농촌지도의 경우에는 수용자 농업인의 의식과 지식 및 기술 수준이 높은 경우에 성공을 담보할 수 있는 방식으로, 기초 역량강화가 절실히 필요한 아프리카 지역에서는 아직 적 용에 많은 한계가 있으며, 공공성이 강한 부문의 농촌 변화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의식개혁과 기반시설 개선을 통합적으로 추진하는 가운데 공공부문 농촌지도의 역할 확대가 매우 긴요 해 보인다.

    농업생산성 향상을 위한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통합적 개선

    종자개량, 농법개선, 농업 인프라 개선 어느 한 가지 개선 만으로 농업생산성 증가 효과를 내기 어렵다. 더욱이 관행적 인 영농방식을 바꾸고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려면 혁신 수용자 의 의식 변화가 필수적이다(Rogers, 2003). 전 세계적으로는 지난 반세기에 걸쳐 기술의 향상으로 농산물 수확이 두 배로 늘어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World Bank, 2001). 그러나 아 프리카에서는 가용 농지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기술혁 신의 효과가 잘 나타나지 않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여 아프리카 농업생산성을 올리기 위해서는 지역 환경에 적합한 종자의 개량과 보급, 농법개선, 농지의 개발과 분배, 농업생산 기반정비 등이 동시에 충족될 필요가 있다. 이를 효과적으로 실현하기 위해서는 한국과 같은 나라의 성공 경험을 공유하고, 정치, 문화, 지리적 환경 등 국가별 차이 등 아프리카 여러 나 라의 특성을 고려한 세부대책을 마련하여, 실행하는 노력이 절 실히 필요해 보인다. 특히, 농민이 혁신을 수용하여 그 효과가 나타나기 위해서는 의사결정에 따른 리스크와 성과 및 인센티 브의 귀속이 명확해야 한다. 영농단위가 가족농이냐, 커뮤니티 단위의 집단경영체제냐에 따라서도 혁신의 수용 효과가 달라 질 수 있으므로, 농촌 지역사회의 사회, 문화적인 특성도 세심 하게 배려하여 통합적인 농업개발 프로그램을 마련해 나가야 할 것이다.

    공공부문 농촌지도의 역할 강화

    일반적인 관점에서 공공부문 농촌지도가 직접적으로 기여해 야 할 분야로 ① 식량안보, ② 자연자원의 보전, ③ 유용한 정보의 보급, ④ 프로젝트의 지속성 확보, ⑤ 농업인 집단의 역량강화를 꼽을 수 있다(Zwane, 2012). 이러한 분야는 투자 의 공공성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어서 공공분야에서 투자하 지 않으면, 서비스가 필요한 만큼 공급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 기 때문이다. 특히, 공공부문의 농촌지도에서는 이러한 내용에 초점을 두되, 지도대상과 관련하여 소농이나 여성과 같은 소 외집단을 지원하는 데 예산과 인력을 집중할 필요가 있다. 이 들의 농업생산성을 향상시키지 않고는 전체적인 농업 생산 증 대를 기대하기 어렵고, 이들은 공공부문의 지원 외에는 농촌 지도 서비스를 받을 기회가 없기 때문이다.

    역량강화(capacity building)와 관련하여서는 기술적인 지식 과 정보를 농업인들에게 제공하는 것을 뛰어넘어 “혁신체계 관점(innovation-systems perspective)”을 활용하는 광의적 역량 강화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Pye-Smith, 2012). 농업생산기술을 뛰어넘어 혁신을 창출하고 촉진하며, 농민조직과 농기업 관리 방법을 개선하고,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하여 서로 다른 집단 과 개인들을 규합하여 조직과 네트워크를 결성하는 것과 관련 된 일종의 “소프트 기술(soft skills)”이 요구되는데(Pye-Smith, 2012), 공공부문의 농촌지도는 농촌지도사에 대한 교육이 병 행된다면 이 부분을 지원하는 역할을 효과적으로 담당할 수 있을 것이다.

    퍼실리테이션 방법의 활용을 통한 혁신확산의 촉진

    농촌지도의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훈련과 방문(T&V), 현장 학교방식(Farmer Field School Approach), 집단학습 등 다양 한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그 중에 퍼실리테이션 방식은 주민 주도형 집단학습을 통하여 단순한 정보교류에서부터 스스로 문제해결에 이르기까지의 경험을 나누고, 학습하도록 유도하 고 촉진하는 방식으로 소외집단을 포함한 지역사회의 변화를 유도하는 데 있어 그 효과가 탁월함이 입증되고 있다 (Meuchatel Group, 2006). 농업기술 전파뿐만 아니라 소규모 회사의 설립과 마을개발 등 농촌개발을 위한 현장포럼 운영 등을 통하여 이러한 퍼실리테이션 기법을 활용할 수 있다. 특 히, 퍼실리테이션 기법은 농업생산 분야를 뛰어넘어 회사설립 등 비농업 분야의 혁신을 확산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데, 다 양한 혁신내용 구성의 예를 살펴보면 Table 2와 같다.

    이와 같은 퍼실리테이션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서 농업 및 농촌개발 프로젝트 실행과정에서 학습 네트워크를 만들어내는 것 또한 매우 중요하다. 혁신은 집단활동, 일하면서 배우는 실 천교육, 지식과 경험의 공유 등을 통해서 촉진될 수 있다. 학 습 네트워크는 경험과 지식을 공유하기를 원하는 다양한 집단 이나 조직으로 정의할 수 있는데, 많은 경우, 상호학습의 관점 이 결여되어 있다. 농촌지도사가 농업인을 일방적으로 가르쳐 야 한다는 하향식 접근법이 당연시되어, 농촌지도사가 농업인 들을 돕기 위해 필요한 지식과 정보를 결정하는 경향이 있다. 농촌지도사업에서도 혁신을 지속적으로 이루어가기 위해서는 집단활동과 지식공유가 필요하다는 점을 명확히 인식해야 할 것이다. 새로운 품종을 도입하더라도, 생산자만이 아니라, 가 공사업자, 배송업자, 상인 등 다양한 개인 및 조직과 관련되어 있으므로 농산업 클러스터의 한 파트로서 개인과 조직들이 상 호 협력하며, 집단적으로 학습하는 관점이 필요한 것이다 (OECD, 1996, 2000; Rooney, 2003; Pye-Smith, 2012).

    것이다. 새로운 품종을 도입하더라도, 생산자만이 아니라, 가 공사업자, 배송업자, 상인 등 다양한 개인 및 조직과 관련되어 있으므로 농산업 클러스터의 한 파트로서 개인과 조직들이 상 호 협력하며, 집단적으로 학습하는 관점이 필요한 것이다 (OECD, 1996, 2000; Rooney, 2003; Pye-Smith, 2012).

    이상에서 논의한 내용을 토대로 아프리카 농업 및 농촌 발 전을 위한 농촌지도의 역할 강화 방안을 도식화하여 제시하면 Fig. 3과 같다.

    결론 및 제언

    빈곤이 만연한 아프리카의 어려운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서 는 농업과 농촌의 개발이 무엇보다도 시급한 과제이다. 농촌 지도를 통한 농사기술의 보급과 농촌주민의 의식개선이 농업 생산성의 향상과 농촌 지역사회의 변화를 이끌 수 있는 것으 로 밝혀져 왔지만, 아프리카에서는 이러한 시스템이 효과적으 로 작동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게 된 데에는 아프리카의 정치환경을 비롯하여 경제여 건, 사회문화 등 다양한 요인이 작용하고 있지만, 농촌지도 서 비스를 향상시킴으로써 상황변화의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 으로 기대할 수 있다. 가용재원의 제약 등의 여건을 감안하여 볼 때, 크고 작은 시범사업을 도입하여 성공모델을 만들어내 고 이를 확대 보급하는 방식의 접근이 바람직해 보인다. 해외 차관 등을 통한 농지개발 및 농업 인프라 개선과 함께 새로 조성된 우량농지를 소농에게 저렴한 가격으로 임대하고 이들 에게 농업 및 농촌개발 관련 기술을 지원하는 맞춤식 서비스 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데 있어 서는 한국과 같이 전통적인 생존농업에서부터 농업인프라 개 선, 새로운 품종과 농법의 도입, 주민의 의식개혁과 생활환경 의 개선을 압축적으로 경험한 나라의 사례를 참고하여 이를 아프리카 실정에 맞게 응용하는 노력이 절실히 필요해 보인다.

    이와 같은 관점을 토대로, 아프리카의 농업과 농촌 개발을 위한 농촌지도의 역할을 강화하기 위하여 ① 프로젝트 중심 농촌지도 서비스의 강화, ② 농업생산성 향상을 위한 정신과 기반시설의 통합적 개선, ③ 소외집단을 위한 공공부문 농촌 지도의 역할 강화, ④ 퍼실리테이션 방법의 활용을 통한 혁신 확산의 촉진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방안을 실천하는 데 있어 서, 무엇보다도 해외원조사업 등 농지개발, 농업개발, 농촌개 발 프로젝트에 대한 모니터링과 평가를 강화하여 소농의 빈곤 해소 및 생활개선과 삶의 질 향상을 이루는 실제적인 사업효 과를 거둘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단지 농촌지도사업을 제도적으로 공고히 하는 것보다 프로젝트 중심으로 사업의 효 과가 가시적으로 나타날 수 있도록 기술지원을 강화하는 방안 을 마련하는 것이 현실성 있는 대안이 될 것이다. 이를 위해 서는 아프리카의 지리적 특성과 농업환경, 주민의 사회조직체 계와 의식구조, 영농방식 등을 고려하여 현장에서 작동하는 성 공모델을 만들어내기 위한 도전과 부단한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

    Figure

    KSIA-26-91_F1.gif

    Rural people as percentage of those living on less than US$ 1.25/day.

    KSIA-26-91_F2.gif

    Percentage of rural people living on less than US$ 1.25/day.

    KSIA-26-91_F3.gif

    A model of extension roles for Africa’s rural development.

    Table

    Composition of agricultural land in Africa (2009) (Unit: %)

    Source: FAO, 2012b.

    Innovations in agriculture and micro-enterprise.

    Source: Rivera and Qamar, 2003, p. 23.

    Reference

    1. Belay K (2013)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Linkages in Ethiopia: A Historical Survey , Excerpted at 6 September 2013, from http://www.oerafrica.org/ftpfolder/ website%20materials/Agriculture/haramaya/Perspective_Agricultural_Extension/AICM%20Module%20Final%20Jan%2031,%202012/Paper_on_research_extension_likage21_Share.doc
    2. Bradshaw T.K (2006) Theories of Poverty and Anti-Poverty Programs in Community Development, Rural Poverty Research Center,
    3. Chun S.H , Hur G.H , Yoo C , Choi M.A (2007) Rural Development for Poverty Reduction in Africa: By Focusing on Transfer of Korea’s Experience of Agricultural Development , KIEP,
    4. Davis K.E (2009) Extension in Sub-Saharan Africa: Overview and Assessment of Past and Current Models, and Future Prospects , Rural Development News, Vol.1; pp.48-53
    5. FAO (2012a) The State of Food Insecurity in the World, FAO,
    6. FAO (2012b) FAO Statistical Yearbook 2012, Food and Agriculture. FAO,
    7. FAO (2013) Crop Prospects and Food Situation, FAO,
    8. Gaaya A (1994) Extension Education in Agrirultural and Rural Development: Role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 The FAO Experience , Cahiers Options Mediterraneennes, Vol.2 (4) ; pp.33-45
    9. Gemo H , Rivera W.M (2001) “Mozambique’s Move Towards a Pluralistic National System of Rural Extension” , AgRen. Network Paper No. 110. ODI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Network,
    10. Hearn B , Koc V , Piesse J , Thirtle C (2009) A Preliminary Analysis of European Assistance to Agriculture in Sub-Saharan Africa ,
    11. IFAD (2010) Rural Poverty Report 2011, IFAD,
    12. IFPRI (2013) 2012 Global Food Policy Report, International Fool Policy Research Institute,
    13. Im S.B (1998) “The Roles of Rural Extension for the Structural Adjustment of Rural Korea”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and Community Development, Vol.2, 2; pp.71-79
    14. Jayne T.S , Yamano T , Weber MT , Tschirley D , Benfica R , Chapoto A , Zulu B (2003) “Smallholder Income and Land Distribution in Africa: Implications for Poverty Reduction Strategies” , Food Policy, Vol.28; pp.253-275
    15. Kirk C , Lavizzari L (2010) Towards Purposeful Partnerships in African Agriculture , IFAD,
    16. Madukwe M.C (2006) Delivery of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s to Farmers in Developing Countires , CTA,
    17. Neuchatel Group (1999) Common Framework on Agricultural Extension, Neuchatel Group,
    18. OECD (1996) The Knowledge-Based Economy, OECD,
    19. OECD (2000) Korea and the Knowledge-based Economy: Making the Transition, OECD,
    20. Oladele OI (2011) “Features of Agricultural Extension Models and Policy in Selected Sub-Saharan Africa Countries” , Journal of Agriculture and Environment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pp.35-44
    21. Park P.S (2012) “Agricultural Technology Cooperation Project (KOPIA) in Democratic Republic of Congo” ,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Vol.24 (3) ; pp.272-281
    22. Park Y.H , Jeong J , Hur Y.S (2009) Korea’s Agricultural ODA Policy Toward Africa , KIEP,
    23. Pye-Smith C (2012) Agricultural Extension: A Time for Change , CTA,
    24. Rivera W.M , Gustafson D.J (1991) Agricultural Extension: Worldwide Institutional Innovation and Forces for Change, Elsevier,
    25. Rivera W.M , Qamar M.K (2003) Agricultural Extension, Rural Development and the Food Security Challenge , FAO,
    26. Rogers E.M (2003) Diffusion of innovations, Free Press,
    27. Rooney D , Hearn G , Mandeville T , Joseph R (2003) Knowledge- Based Economies: Foundations and Frameworks, Edward Elgar Publishing, Inc,
    28. Schutjer W.A (1991) “Rural Development and Extension” , Journal of Extension. Penn State-University Park, Vol.29; pp.1
    29. White S (2005) Investment for African Development: Making It Happen , NEPAD/OECD Investment Initiative,
    30. World Bank (1990) Agricultural Extension for Women Farmers in Africa, World Bank,
    31. World Bank (2001) World Development Report 2002: Building Institutions for Markets, World Bank,
    32. World Bank (2005) Impacts of Extension Services in Rural Mozambique, World Bank,
    33. Zwane E.M (2012) “Does Extension Have a Role to Play in Rural Development?” , South Af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Vol.40; pp.16-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