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8504(Print)
ISSN : 2287-8165(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Vol.26 No.4 pp.344-352
DOI : https://doi.org/10.12719/KSIA.2014.26.4.344

A Study of Satisfaction and Repurchase of China Agricultural Product

Duk-soon Yim†
Policy and Business Administration, Dankook University, Cheonan 330-714, Korea
Corresponding Author : (Phone) +82-41-550-3356 yim11@daum.net
September 5, 2014 October 10, 2014 October 13, 2014

Abstract

Korea and China has increase corporative trade volume since 1992. While this matter, Korea import China agricultural product which is using cheap labor and it makes huge market in Korea. But study and explain about factor of China agricultural product purchase is very rare. So this study try to figure out relationship among satisfaction factor of China agricultural product, consumer satisfaction, repurchase intention though the empirical study. As a result, the factor that competitive price, convenience, distribution structure and national image has positive significant effect on consumer satisfaction. And consumer satisfaction has positive significant effect on repurchase intention. But safety awareness has not significant effect on consumer satisfaction, so researcher analyze and explain result of empirical study, and then suggest solution for Korea agricultural product.


중국산 농산물의 만족도와 재구매 의도에 관한 연구

임 덕순†
단국대학교 정책경영대학원

초록


    Dankook University
    2014-3-122409

    중국은

    농산물의 생산과 유통 규모가 큰 대표적인 농업대 국이다. 한국과 중국은 1992년 한중수교를 수립한 이래 올해로 22년이 흐른 가운데 양국 간의 상품교역이 크게 발전한 가운 데 농업분야의 영향력이 한국시장에서 점차 증대되고 있다. 한 국은 중국의 세 번째 농산물 수출 대상국이며(Kim & Jung 2004), 앞으로도 양적 측면에서 중국산 농산물의 수요가 증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과거의 무역액에서도 확인 할 수 있는데, 2004년 한중 무역액이 793.5억 달러를 기록하였으며, 이것은 한미 간에 무 역액인 716억 달러를 상회하는 수치로서 중국이 미국을 제치 고 한국의 제1교역국가가 된 것이다(Wang, 2013). 이후 한중 무역 총액은 2011년에 2,139억 달러를 달성하였다. 한중 양국 의 지리적으로 가까운 위치에 있으며 역사적으로 밀접하여 앞 으로의 경제무역의 규모는 더욱 더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 가운데 농산물에 대한 무역도 그 규모가 증가하고 있으며, 중 국은 농산물 분야에서 한국을 상대로 흑자를 지속적으로 이루 고 있다. 한중 수교당시 농산물 무역액은 10.4억 달러로 시작 하여 2009년에는 42.4억 달러로 성장하였다. 현재 한국에 수입 되는 중국산 농산물은 대부분 노동 집약적인 상품이 주를 이 루고 있다. 이는 한국 농산물의 특징인 기술집약적, 자본집약 적인 농산물과 대비되는 부분인데, 서로 다른 농업의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한국과 중국의 농산물은 상호 보완성을 가 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Seo, 2009). 이것은 한국 농산물이 이 루지 못하는 노동집약적 상품을 중국에서 수입하고, 중국 농산 물이 이루지 못하는 기술, 자본집약적인 농산물을 수출하는 상 호 보완적인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중국산 농산물은 앞으로도 한국시장에 지속적으로 유통될 것임을 판단할 수 있 고 중국산 농산물의 비중이 늘어감에 따라 중국산 농산물의 장 단점을 살펴보고 소비자가 체감하는 만족요인에 대해 알아 볼 필요성이 있으며, 본 연구를 통해 실증적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이론적 고찰

    중국산 농산물에 대한 실태

    중국산 농산물은 중국에서 재배되어 한국에 수입된 농산물을 일컫고 있다. 중국과 한국은 쌀을 주식으로 하며 지리적, 역사 적인 긴밀함에 의해 유사성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한국을 대 상으로 한 식자재의 수출이 처음부터 비교적 거부감 없이 진행 되어 왔다. 여기에 Table 1과 같이 한국과 중국의 농산물 포지 셔닝 차이에 의해 서로의 부족분을 충당 할 수 있는 무역이 행해져 왔다. 주요 농산물 부분에서 상당수 교집합에 해당하는 품목(곡류, 두류, 서류)이 있지만, 집중분야에서 나타나듯 품종 과 품질에서 한국과 중국의 농산물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한 국의 수출품은 주로 인삼, 고급 화훼류, 유자차 등 고부가가치 농산물이며 중국의 수출품은 주로 옥수수, 수수, 고추, 마늘 양 파 등이다. 집중분야의 차이는 양국의 농가 인구에서 원인을 찾을 수 있는데, 2010년 한국의 농가인구는 306만 명(Statistics Korea, 2010)으로서 총 인구의 약 6%에 해당하는 수치이다.

    반면 중국의 농가인구는 2010년 6억 7113만 명으로서 총인 구중 비중은 약 50.1%로 나타났다(Wang, 2013). 중국 농가인 구는 한국의 전체인구의 10배가 넘는 수치를 보이고 있고, 풍 부한 노동력과 저임금을 바탕으로 노동집약적 산업의 면모를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이 농업 집중도 차이로 인해 중국은 낮 은 생산원가를 바탕으로 한 중국산 농산물은 한국을 대상으로 한 수출량이 11년 동안 상승되어 왔다. 이는 한국 내에서 중 국산 농산물은 어디서나 구입 할 수 있는 식자재가 되었으며, 한국의 식자재는 중국산 농산물에 크게 의존하는 시장 구조를 만들게 되었다.

    중국산 농산물의 만족요인

    중국산 농산물의 만족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선행연 구 고찰결과, 중국산 농산물을 평가하는 기준에 대한 선행연 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중국산 농산물의 만족요인에 대 해 알아보기 위해 일반적인 농산물의 만족요인에 대한 연구들 을(Lee, 2010; Jeon, 2001; Yu, 2006; Ahn et al., 2005; Choi, 2005)을 바탕으로 하여 만족요인을 정리해 보았다.

    가격경쟁력

    고부가가치를 지닌 고관여의 상품과 달리 저관여 상품의 경 우에는 가격이 상품 선택의 기준이 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Park, 2003). 중국산 농산물의 특징은 낮은 생산원가를 바탕 으로 한 가격경쟁력을 갖추고 있으며(Go & Kwan, 2006) 이 는 구매자의 지출 대비 만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소비자는 중국산 농산물을 선택함에 있어서 가격 민감성을 가지고 있을 것이고, 제공되는 농산물의 품질에 대 비하여 볼 때 낮은 가격은 소비자 만족도에 영향을 줄 수 있 으며,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한다.

    H1 : 중국산 농산물의 가격경쟁력은 소비자 만족도에 정(+) 의 영향을 줄 것이다.

    편리성

    친환경 농산물, 고급 유기농 제품 등과 같은 범위의 농산물 은 계절, 위치에 따라 접근성이 떨어지는 상황이 생길 수 있 다. 하지만 중국산 농산물과 같은 저부가가치 속성의 상품들 은 일반적인 접근경로(대형 마트, 인근 가게 등)를 통해 원하 는 시기에 구입할 수 있는 편리성이 존재한다. 구입에 대한 편리성은 소비자가 농산물에 대한 비축 또는 구매 불가의 불 안감을 낮추는데 일조 할 수 있고, 이러한 편리성으로 인해 소비자는 원하는 식자재를 적시에 구입 할 수 있으며 이에 따 라 만족도가 증가 할 수 있고, 이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가설 을 설정한다.

    H2 : 중국산 농산물의 편리성은 소비자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다.

    유통과정에 대한 신뢰성

    농산물을 보편적으로 신선식품군에 포함되며 온도와 습도 등에 민감한 것이 사실이다. 고추, 마늘, 양파 등의 저부가가 치 농산물의 경우에도 저장과 유통이 제품 신선도와 관련된 중요한 요인이다. 따라서 제품의 편리한 주문과 온전한 상태 로 배달되는 것 또한 소비자 만족도에 영향을 주며, 이에 따 라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한다.

    H3 : 중국산 농산물의 유통과정에 대한 신뢰성은 소비자 만 족도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다.

    안전성 인식

    농산물은 섭취를 통해 그 기능을 발휘하게 되는데, 직접 섭 취로 인해 건강과 안전이 직결되기 때문에 식품의 안전성에 유의해야 한다. 농산물의 유통기한, 신뢰성 정도가 안전성 인 식에 포함될 수 있으며, 안전성은 농산물 만족요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Lee, 2002, Lee et al., 2009). 중국산 농산물 또한 소비자의 식자재로 활용되고 있으 며, 안정성이 중요한 작용을 할 수 있다. 중국산 농산물의 안 전성에 대한 인식을 하게 되면 상품을 믿고 구입하고, 다른 제품을 구입할 때 보다 안전할 것이라는 기대감과 만족감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중국산 농산물에 있어서 안정성에 대한 인식은 소비자 만족도에 주요한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한다.

    H4 : 중국산 농산물의 안전성 인식은 소비자 만족도에 정 (+)의 영향을 줄 것이다.

    국가 이미지

    농산물의 원산지 정보는 현재 식문화에서 빠질 수 없는 정 보이다. 중국산 농산물의 경우 개인차가 있지만, 과거 낮은 품 질로 인한 저품질 선입견이 존재하고 있다(Uh et al., 2006). 하지만 무역규모가 늘어가고 중국의 발전으로 말미암아 중국 원산지에 대한 편견이 점차 누그러들고 있는 가운데, 원산지 의 국가이미지는 해당 상품 만족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만족 요인이라고 할 수 있으며(Lim, 2013),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가설을 수립한다.

    H5 : 중국산 농산물의 국가 이미지는 소비자 만족도에 정 (+)의 영향을 줄 것이다.

    소비자 만족도와 재구매 의도

    Cronin et al. (2000)은 ‘만족’을 이용목적에 부합하고 욕구 를 충족하여 느끼게 되는 감정이라고 정의 하였다. 소비자가 어떠한 제품 또는 서비스에 만족하게 되면 이것은 재구매 의 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게 되는데(Woodside, 1991), 농산물 또한 제품의 하나로서 구입과 만족을 통해 재구매 의도가 생 겨 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가설을 수립하였다.

    H6 : 중국산 농산물의 소비자 만족도는 재구매 의도에 정 (+)의 영향을 줄 것이다.

    연구의 설계

    연구 모형의 설정

    본 연구는 중국산 농산물의 만족요인이 소비자 만족도에 미 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소비자 만족도를 매개변수로 하여 재 구매 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앞서 언급한 선행연구의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본 연구 에서 밝히고자 하는 내용을 요약하여 Fig. 1과 같이 연구 모 형을 설정하였다.

    변수의 조작적 정의

    중국산 농산물의 만족요인

    중국산 농산물의 만족요인은 소비자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선행 요인으로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제시하였던 가격경쟁력, 편리성, 유통구조, 안전성, 국가이미지의 5가지 항목으로 구성 하였다.

    만족도 및 재구매 의도

    소비자 만족도는 중국산 농산물 구입과 사용에 의해 이용목 적과 욕구를 충족하여 만족감을 느끼게 되는 것으로써, Cronin, Brady & Hilt (2000)에 의해 개발된 4 항목의 척도 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재구매 의도는 다음에도 해당 농산물을 다시 이용 할 것인가에 대한 내용으 로서 Zeithaml, Berry & Parasuraman (1996)에 의해 개발된 척도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변수의 구성

    위에서 논의된 내용을 바탕으로 아래 Table 2와 같은 문항 을 설정하여 연구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수집 대상과 방법

    본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중국산 농산물을 구입한 소비 자를 대상으로 하여 설문을 진행 하였다. 설문기간은 2014년 7월 5일부터 8월 17일 까지 이었으며 총 44일의 기간이 소요 되었다. 실증 분석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하여 수집된 자료 235부중 불성실 응답 9부의 설문지를 제외한 226개의 설문지 가 연구 분석에 사용되어 졌다. 다음의 Table 2는 응답자의 인구 통계학적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전체 226명의 설문지 응답자 중 남성은 112명으로서 49.6%, 여성은 114명으로서 50.4%의 고른 성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농산물 구입처는 대형마트 108명, 가까운 식자재 가게 44명, 가까운 시장 56명으로 나타나 응답자의 47.8%가 대형마 트를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는 10대 2명, 20 대 10명, 30대 84명, 40대 96명, 50대 30명으로 구성되어 있 으며, 경제활동을 활발히 실시하는 30 ~ 40대의 응답자가 다수 를 차지하고 있었다. 응답자의 직업은 직장인 190명, 자영업 자 6명, 전업 주부등 기타 30명으로 직장인이 84.1%의 대다 수를 차지하고 있었다. 중국산 농산물의 구입 빈도는 한 달을 기준으로 1 ~ 3회가 84명, 4 ~ 6회가 96명, 7 ~ 9회가 28명, 10 ~ 12회가 12명, 13 ~ 15회가 2명으로 나타났다. 대다수의 구 입 빈도가 1 ~ 6회 구간에서 나타났는데, 이는 대형마트를 이 용하여 농산물 구입하는 응답자가 108명(47.8%)로 나타난 것 으로 판단해 보자면, 많은 횟수에 걸쳐 구입하기보다 대형마 트를 방문하여 짧은 횟수에 많은 양을 구입하는 것으로 판 단된다. Table 3

    변수의 신뢰도 및 타당성 검증

    변수의 신뢰도 및 타당성 검증 척도의 신뢰도(Reliability)는 한 대상을 유사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여러 번 측정하거나 한 가지 측정도구로 반복 측정 시 일관성이 있는 결과를 보여주는 정도이다. 즉 본 설문지를 가지고 다시 한 번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문을 실시하였을 때 지금과 같은 결과를 다시 한 번 얻을 수 있는 가에 대한 내적일관성을 측정하기 위함이다. 내적일관성을 확 인하기 위하여 SPSS 18.0의 신뢰도 분석을 통해 Cronbach's Alpha 계수를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Cronbach's Alpha 계수는 0에서 1사이의 값을 가지는데, 대체로 0.6 이상이 되 면 신뢰도가 갖추어 졌다고 보며 본 연구에서도 신뢰도 분석 을 실시 해본 결과 Table 4와 같이 모든 변수의 Cronbach's Alpha 계수가 0.6 보다 높게 나와 신뢰도를 갖춘 것으로 판단 하였다.

    측정 변수의 타당성을 증명하기 위해 SPSS 18.0과 AMOS 18.0을 사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 하였다. 연구자가 작성한 연구 모델에 이용된 변수들은 대부 분 여러 항목을 사용하기 때문에 요인들의 단일 차원성 (Unidimensionality)을 조사하여야 한다. 단일차원성은 각 개념 의 측정 변수들이 단일 요인 모델에 수용 가능한 적합도를 보 이는가를 나타내는 것으로써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 분석을 통해 단일 차원성을 저해하는 항목을 제거하는 작업을 수행 하였다. 먼저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요인 정제를 실시 하고 요인을 다시 한 번 검증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 시하였다. 다음 Table 5는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측정 항목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으로 주성분 분석 Varimax 회전방식을 사용한 결과 위의 Table 5와 같은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이 가운데 ‘편리성3’ 항목이 공통성이 0.317로 다소 낮고 다른 항목과 중복적재의 우려가 있어 앞으로 진행 할 분석에서 삭제 후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또한 확인적 요 인분석을 실시하고 집중타당성과 판별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AVE 값과 C.R 값을 활용하였다.

    집중타당성(Convergent Validity)은 하나의 잠재요인에 대한 두 개 이상의 측정도구가 상관관계를 갖는 정도에 관한 것으 로, 집중타당성을 평가하는 방법으로는 표준화 요인부하량의 크기, 평균분산추출값(AVE), 잠재요인 신뢰성 (C.R)등이 있다. 요인부하량의 크기는 잠재요인을 측정하는 변수들의 요인부하 량이 높고, 통계적으로 유의적이면(p < 0.05), 그 측정변수들 간에는 집중타당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AVE는 표준화 요인 부하량을 제곱한 값들의 평균을 의미하는 것으로, 그 크기가 0.5 이상이면 집중타당성을 갖는다고 받아들여진다. AVE의 경 우 Amos output에서는 결과치를 제공하지 않는다. AVE 값을 계산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AVE = i = 1 n λ 2 i n

    i = 측정변수

    n = 측정변수의 수

    λ2 = i번째 측정변수의 표준화 요인부하량

    각 잠재요인별로 평균분산추출값과 잠재요인 신뢰도를 계산 한 결과 Table 6에서 나타난 것처럼 각각 AVE 값이 모두 0.5 이상이고, C.R 값도 모두 0.7 이상이기에 4가지 잠재요인 모두 집중타당성을 갖는 것으로 판단된다.

    판별타당성(Discriminant Validity)은 한 잠재요인이 실제로 다른 잠재요인과 얼마다 다른가에 관한 것으로, 판별타당성을 평가하는 방법은 두 잠재요인 각각의 AVE와 그 두 잠재요인 간의 상관관계 제곱을 비교하는 방법으로서 이는 판별타당성 평가의 대상이 되는 두 잠재요인 각각의 AVE와 그 두 잠재 요인 간의 상관관계 제곱을 비교하여 두 AVE가 모두 상관관 계 제곱보다 큰가를 확인하는 방법이다. 이때 각각의 AVE가 모두 상관관계 제곱보다 크면 판별타당성이 있다고 할 수 있 다. Table 6에 의하면 편리성과과 국가이미지의 경우 AVE 값 이 0.801, 0.887로 나타나는데 상관관계 제곱 값은 0.164로 나타나 판별타당성이 확보되었다고 할 수 있다. 다른 잠재요 인 모두 AVE 값이 상관관계 제곱값 보다 크게 나타나 판별 타당성이 확보되었다고 판단하였다. 다음으로 확인적 요인분 석의 모형 적합도를 바탕으로 단일차원성을 알아보았다.

    확인적 요인분석결과 CMIN/DF 값을 제외한 적합도 지수에 서 적합도가 충분하지 않게 나타났다(Table 7). 모형 적합도 개선을 위해 구성개념별 SMC(Squared Multiple Correlations) 값을 확인해본 결과 ‘가격3’, ‘가격4’ 두 항목이 0.4이하로 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나 해당 항목을 삭제 후 다시 분석을 실시 하였다. 이후 다음 Table 8과 같은 결과를 도출 하였다.

    위의 Table 8은 항목 제거 후 모형적합도를 나타내고 있다. 모형적합도의 개선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일부 부적합으로 결정된 적합도가 있지만 기준과 그 차이가 심각한 수준이 아 니며, 따라서 연구자의 판단에 따라 별다른 변수의 탈락 없이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가설 검증

    가설검증을 위한 분석의 이전 단계로써 신뢰도 분석, 탐색 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분석을 실시하였고 도출된 결 과를 토대로 하여 연구 모형의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연구 모형의 적합도 검정 결과는 χ 2 = 278.993 (DF = 145, p=0.000), CMIN/DF=1.924, GFI=0.822, CFI=0.924, NFI= 0.857, RMSEA = 0.091로써 Table 9와 같이 나타나 전반적으 로 모형 적합도 평가기준을 만족시켰다.

    그 다음, Table 10은 연구가설의 분석 결과를 나타내고 있 다. 가설 1, 2, 3, 5, 6에 해당하는 경로가 유의한 결과를 나 타내고 있지만, 가설 4에 해당하는 안전성 인식과 소비자 만 족도의 관계는 유의미한 관계를 보여주지 않았다. 따라서 가 설 1, 2, 3, 5, 6은 채택되었으며 가설 4는 기각되었으며 Table 11에 나타나 있다.

    결론 및 시사점

    본 연구는 중국산 농산물의 만족요인과 소비자 만족, 재구 매 의도의 관계에 대한 내용을 실증적으로 분석해 보았다. 실 증분석 결과는 많은 시사점을 포함하고 있었다.

    먼저 중국산 농산물의 만족요인으로 가격경쟁력, 편리성, 유 통구조, 안전성, 국가이미지를 설정하였고 실증적으로 소비자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 결과, 가설 1에 해 당하는 가격경쟁력은 소비자 만족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주고 있었다. 이것은 중국산 농산물이 저가 상품으로서 매력 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며 일상생활에서 널리 이용하 기에 적합한 가격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Huh et al. (1994)의 연구에서도 확인해 볼 수 있는데, 중국 산 농산물의 저렴한 가격이 구입동기로 작용한 것이다. 따라 서 중국산 농산물이 현재와 같은 가격수준을 유지한다면 국내 시장에서 소비자 만족도를 토대로 하여 더욱 큰 시장을 형성 할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두 번째, 가설 2에 해당하는 편리성은 소비자 만족도에 정 (+)의 유의한 영향을 주고 있었다. 고급 식자재나 까다로운 재 배조건의 농산물과 달리 중국산 농산물은 일상재(참깨, 고사리, 콩, 도라지, 대추, 고추, 마늘, 양파 등)의 범위에 포함된 농산 물이 대부분이며 소비자의 식단에 자주 등장하고 빈번하게 소 비되는 범주에 있는 만큼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장소에서 쉽 게 접근 할 수 있는 편리성을 갖추는 것이 중요한데, 이 부분 에서 중국산 농산물은 소비자들에게 합격점을 받은 것으로 판 단된다. 중국산 농산물의 판매경로는 다양하게 분포하고 있고 소비자의 주거위치에 구애 받지 않고 접할 수 있는 편리성을 지녔다고 할 수 있다.

    세 번째, 가설 3에 해당하는 유통구조 또한 소비자 만족도 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었다. 위에서 언급한 편리성이 원 하는 시간에 원하는 장소에서 구입이 가능한 것이라면, 유통 구조는 구입량과 결제 및 배송에 관련된 내용으로서,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을 통한 주문, 결제 그리고 배송이 소비자가 만 족할 수준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네 번째, 가설 4에 해당하는 안전성 인식과 소비자 만족도 의 관계는 실증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얻지 못하였다. 이것 은 중국산 농산물에 대한 안전성 인식이 과거와 크게 달라지 지 않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중국산 농산물이 판로 개척 을 시도한다면 가장 먼저 국내 소비자들의 신뢰를 얻기 위해 서 노력해야 할 것이다.

    다섯 번째, 가설 5에 해당하는 국가이미지와 소비자 만족도 의 관계는 긍정적인 관계가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것 은 기존에 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는데, 국가이미 지가 긍정적일 수록 해당 국가를 원산지로 하는 제품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진다는 것이다(Lee 2011). 2014년을 기준으로 중국의 시진핑 주석이 한국을 방문하여 광복절 공동행사나 대 일본 정책을 논의하는 등 정치/외교적 관점에서 중국의 국가 이미지가 기존의 미개발국의 이미지에서 우리나라의 파트너로 인식되는 계기가 많이 생겨나고 1992년 수교 이래 많은 교류 가 발생함에 따라 중국의 국가이미지가 개선되고, 이에 따라 국가이미지가 개선되고 중국산 수입품들에 대한 인식이 좋아 진 것이라 판단된다.

    여섯 번째, 가설 6에 해당하는 소비자 만족도와 재구매 의 도의 관계는 긍정적인 관계가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 것은 ‘만족’과 ‘재구매’ 또는 ‘재이용’에 관련된 선행연구와 일 치하는 부분인데, 실증분석 경과에서도 경로계수가 0.889로 매 우 높게 나타나고 있고 지속적인 수익창출과 시장입지를 유지 할 수 있는 열쇠는 소비자 만족도임을 확인 할 수 있는 부분 이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도출 할 수 있는 결론은 중국산 농산물 은 소비자가 만족할 수 있는 가격경쟁력, 편리성, 유통구조, 국 가이미지를 갖추고 있지만, 식자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 인이라고 할 수 있는 소비자의 안전성 인식 부분에서 미흡한 모습을 보이고 있었다. 이는 중국산 농산물이 해결해야할 가 장 큰 문제라고 판단되며, 안전성 인식 개선을 위한 구체적인 실행 노력이 요구된다. Choi et al. (2011)은 기존 연구에서 중국 원산지의 농산물이라도 안전성 분야에서 국제유기농 인 증을 받은 경우 소비자가 선택할 확률이 높다고 하였다. 국제 유기농 인증과 같이 다양한 방법과 시도를 통해 안정성 인식 을 높이면, 그 성장 가능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중국산 농산물이 가격경쟁력을 토대로 국산 농산물을 위협 하는 가운데, 중국산 농산물의 소비자 만족 요인을 본 연구를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해 보았다. 연구 결과를 통해 중국산 농 산물의 큰 시장 개척 가능성을 알아 볼 수 있었으며, 이는 분 명 국내 농가의 제 1 경쟁자로 판단되어 질 수 있다. 국산 농산물이 고품질의 상품으로 차별화를 추구하는 가운데, 콩이 나 두부 같이 중국산과 국산 농산품이 공존하는 경우에 여전 히 경쟁이 나타 날 수밖에 없다. 2014년 8월 현재 중국산 콩 을 사용한 대용량 부침 두부 3 kg은 3,480원에, 국산 콩을 사 용한 부침 두부 550 g은 7,090(연구자 자체조사)에 판매되고 있다. 중국산 콩을 사용한 제품이 용량은 5배 이상 크지만 가 격은 절반이하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절대수치로 보면 국 내산 콩을 사용한 두부 가격이 11배 이상 비싸다는 결과를 보 이고 있다. 중국산 농산물과 경쟁을 위한 국내산 농산물의 생 산기반 강화 및 유통구조 간소화를 통해 경쟁력 확보가 필요 한 실정이라고 할 수 있다.

    Figure

    KSIA-26-344_F1.gif

    Research Model.

    Table

    Compare of agricultural product of Korea and China.

    Description of Context.

    Demographics of those surveyed.

    Result of Reliability analysis.

    Result of EFA.

    Overall dispersion = 81.218%, KMO=0.784, Bartlett=2380.938(d.f.=325, p<.001); n=226

    Result of EFA.

    Overall dispersion = 81.218%, KMO=0.784, Bartlett=2380.938(d.f.=325, p<.001); n=226

    CFA model fit result of First time

    CFA model fit result of Last time

    Fit Index Criteria Model

    Result of Path Analysis

    ***p<0.001
    **p<0.01
    *p<0.05

    Result of Empirical Study

    Reference

    1. Heo S.S , Lee J.H , Choi Y.H (1995) A study of consumer awareness about China agricultural product , Food Science and Industry, Vol.28 (3) ; pp.106-110
    2. Go J.M , Kwan O.B (2006) A Comparative Study on the Agricultural Product Trade and Competitiveness of Northeast Asian Countries , Institute of Korea Agriculture Policy, Vol.33 (4) ; pp.848- 868
    3. Kim J.H , Jeong J.G , Kwan O.B , Lee B.H (2003) An analysis of Chinese agricultural competitiveness and the mid-long-term vision of the Korean agriculture , Korea Agriculture Economy Research Center,
    4. Uh M.G , Jung J.G , Kim B.S , Lee H.J , Lee G.H (2006) Midand Long-Term Projections of Chinese Agriculture , Korea Agriculture Economy Research Center,
    5. Lim D.W (2013) The Relationship among Service Quality, Customer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Performance of Korean Subsidiaries in Mexico : Moderating Effect of Country Image , Journal of Marketing Studies, Vol.21 (4) ; pp.103-127
    6. Park HS (2003) A Study on Consumers` Perception of Relations between Price and Quality ,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Vol.4 (2) ; pp.1-21
    7. Lee J.S (2002) Current Status of Sustainable Agriculture and Consumer's Taste in Korea , Dong-Ah University Doctor Thesis,
    8. Cronin J.J Jr, Brady M.K , Hult G.T.M (2000) Assessing the effects of quality, value, and customer satisfaction on consumer behavioral intentions in service environments , Journal of Retailing, Vol.76 (2) ; pp.193-218
    9. Woodside A.G (1991) What is quality and how much does it really matter? , Journal of Health Care Marketing, Vol.11 (4) ; pp.61
    10. Park J.O , Hwang O.C (2007) The Effects of Service Context Factors on Service Quality, Service Value, Customer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 Journal of the Korea Service Management Society, Vol.8 (1) ; pp.79-110
    11. Zeithaml V. A , Berry L. L , Parasuraman A (1996) The behavioral consequences of service quality , Journal of Marketing, Vol.60 (2) ; pp.31-46
    12. Lee Y.J , Kim M , Kim E.H (2009) A Study on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Farm Produce consumer behaviour on General Characteristics , Food service Management Society of Korea, Vol.5 (2) ; pp.103-127
    13. Kim J.H , Jung J.G (2004) Trend of rice produce price of China ,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Vol.27 (1) ; pp.75-90
    14. Wang H (2013) A study on international trade of agricultural industry between Korea and China , In-Jae University Master thesis,
    15. Seo M.J (2009)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Trade Structure Between Korea and China , Woo-Suk University Master Thesis,
    16. Choi C.J (2005) Research Papers : Effects of Front-Line Service Employee`s Satisfaction factors of Agricultural Distribution Stores on Consumer`s Perceived Service Quality factors in Korea , The Korean C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Vol.17 (4) ; pp.302-310
    17. Yu D.K (2006) A Condition Success for Development of Policy Organic Agricultural , Korean Association of Organic Agriculture, Vol.14 (4) ; pp.341-360
    18. Ahn B.R , Noh C.Y , Kim D.H (2005) An Analysis of Consumer` s Satisfaction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n Gwangju Food Distribution Reaserch , Journal name, Vol.22 (4) ; pp.109- 122
    19. Lee J.H (2011) An Empirical on the Re-purchase Intention and Product Satisfaction for American Image , Korea Association for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Vol.13 (1) ; pp.55-76
    20. Choi S.H , Kim E.S , Lee H.J , Cho J.H (2011) A consumer perception for the safety of imported chinese food : the place of origin or environmental-friendliness of the raw bean? , Agricultural Science Research, Vol.38 (2) ; pp.361-3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