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8504(Print)
ISSN : 2287-8165(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Vol.25 No.1 pp.8-21
DOI : https://doi.org/10.12719/KSIA.2013.25.1.008

타지키스탄의 농업현황 및 금후 농업기술 협력방안

고호철, 강만정, 조규택, 마경호, 이석영, 정해곤, 박홍재, 곽재균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
1. 타지키스탄은 중앙아시아의 남동쪽에 동서로 길게 위치한 국가로서 국토의 50%이상이 해발고도 3,000미터 이상의 고산지이고, 국토의 최저점과 최고점의 차이가 7천 미터를 상회하며, 국토면적의 약 6%가 빙하로 되어 있다. 2. 타지키스탄은 전통적인 농업국가로서 농업이 경제의 축이며 농촌인구가 74%, 농업부문 종사자가 전 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49.8%이고, 농업생산이 국가전체 GDP 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1.4%로서 비교적 높은 편이다. 3. 이 나라의 농업은 강우량이 적고 건조한 기후조건 때문에 주로 관개에 의존하고 있으며, 관개재배 면적은 약 70.2만 ha 이고, 주요 농작물은 밀, 목화, 보리, 사료작물, 사과, 포도, 옥수수, 감자, 양파, 벼, 토마토 등 이지만, 수량성이 낮아 밀 등 주곡을 수입하고 있다. 4. 축산업이 농업전체 생산액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21.7%이고 주로 유목에 의존하고 있으며 유우, 육우, 면양, 염소, 토끼 및 닭이 주된 가축이고 양봉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5. 타지키스탄에는 5,000종의 식물이 분포하고 있고, 왜성밀, 참깨, 멜론, 무, 마늘, 사과, 배, 포도, 베리 류 등 50종의원산지이고 총 5,317점의 자원을 현지외 보존하고 있으며, 식물원에서도 중앙아시아 고유종 750종을 포함하여 1,500종의식물을 보존하고 있다.6. 타지키스탄과는 현재 농업기술협력 사업이 추진되고 있지 않지만 앞으로 농업생산기술이나 농업생산 기반시설 분야에 대한 협력이 필요할 것이다. 특히, 식물유전자원이 다양하게 분포하고 비교적 보유자원 수도 많으나 유전자원 저장시설이 미흡하고 증식 등 관리 분야도 체계적으로 수행되고 있지못하므로 농업유전자원의 체계적인 관리에 대한 교육과 지원을 통하여 협력관계를 구축하면서 상호 도움이 되는 방안이적극 모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gricultural Status in Tajikistan Republic and Korean Strategies for Agriculture Technical Cooperation with Tajikistan

Jae-Gyun Gwag, Ho-Cheol Ko, Man-Jung Kang, Gyu-Taek Cho, Kyung-Ho Ma, Sok-young Lee, Hae-Gon Chung, Hong-Jae Park
National Agrobiodiversity Center of NAAS, RDA
Received Dec. 26. 2012, Revised Feb. 12. 2013, Accepted Mar. 7. 2013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introduce agricultural status of the Tajikistan republicfor whom are interested in agriculture of Tajikistan. Tajikistan is situated in the south-east of CentralAsia and shares borders with Afghanistan, China, Kyrgyzstan, and Uzbekistan. The total land area ofthe Republic is 143.1 thousands km² and 93 percent of the territory is mountain, and nearly half of thecountry area is located at 3,000 masl and above. Agriculture accounts for approximately 21.4% of GDPin 2011, and approximately 74% of the population resides in rural areas, and 49.8% of the work force isengaged in agricultural production in 2009. Because of a little amount of precipitation, almost all of arableland(702 thousands ha, 94.6%) should be irrigated. Important crops in Tajikistan are wheat, cotton,barley, corn, potato, onion, rice, and tomato. Because of low crop productivity Tajikistan imports manyagricultural products including wheat, wheat flour, and potato. The livestock industry occupied 21.7%of total agricultural product and important livestock are cattle, sheep, goat, rabbit and chicken. Thereare about 5,000 plant species in Tajikistan, including 650 endemic species and Tajikistan is homeland forfifty plant species including dwarf wheat, sesame, melon, radish, garlic, apple, pear, grape, and berries,etc. The total amount of conserved samples ex situ is 5317, out of which 981 are local varieties and landraces,and 1775 are breeding materials. At present, though there is no agriculture technical cooperativeproject between Korea and Tajikistan, it will be needed to develop cooperative projects in various field ofagriculture in the near future. Plant genetic resources can be a good example of cooperative projects onthe basis of mutual profit.

ksia- 2 f 1.jpg134.2KB

중앙아시아의 남동쪽에 위치한 타지키스탄은 아프가니스탄,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즈스탄 및 중국 등 4개국과 국경을 접하고 있다. 동서 길이가 남북 길이보다 2배 정도 길고 국토면적은 143.1천 km²로서 우리나라 면적의 약 1.4배 이다. 국토의 약 93%가 산지이고, 50%정도가 해발 3,000 m 이상의 산악지대이며, 국토의 최저점과 최고점의 해발차이는 7,000 m 이상이다. 국토의 중앙부는 남부 Tien Shan인 Hissar-Alay 산맥이 차지하고 있고 5,000 m가 넘는 산들이 많이 있으며, 수도인 Dushanbe는 Hissar 산의 기부에 자리 잡고 있다. 남동부에는 파미르 고원이 솟아있고 이곳에 중앙아시아에서 가장 높은 7,495 m 높이의 Qullai Ismoili Somoni가 우뚝 솟아 있다. 

타지키스탄은 다른 중앙아시아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바다와 멀리 떨어져 있어서 낮은 강수량과 높은 일조량을 갖는 대륙성 기후를 가지고 있는데(Gwag et al., 2004, 2012) 고지대는 건조한 대륙성 극지기후이고, 남서부 지역은 아열대기후이며, 북부 평야는 대륙성 온대 지역이다. 연평균 기온에 있어서 해발 4천 미터가 넘는 빙하지역은 영하 약 7℃이고, 지대가 낮은 평야지는 영상 17℃정도 이다. 연강우량의 경우, 반건조 극지기후를 보이는 Karakul(해발 3,935 m) 지역은 74 mm 이고 중산간 지역인 Tavildara(해발 1,616m)는 1,164 mm이다. 인구는 777만 명이고(CIA, 2012) 인구의 약 50%가 농업 및 축산업에 종사하고 있다. 타지키스탄은 전통적인 농업국임에도 불구하고 밀 등 주곡과 닭고기, 돼지고기 등 축산물을 수입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고에서는 타지키스탄의 농업환경과 농업생산·가공 및 교역, 농업개혁 등에 관한 현황을 소개하여 독자들의 타지키스탄 농업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일반현황

타지키스탄은 1991년 9월 9일 구소련으로부터 독립하였으며, 면적이 143,100 km²로 세계 제 96위이고, 인구는 7,768천명으로서 세계 제 97위, 인구밀도는 km² 당 54명이다. 행정구역은 수도와 2개주, 1개의 자치주 및 1개의 공화국 직할구로 구성되어 있다. 수도는 중서부에 위치한 Dushanbe이고 2개주는 남부에 있는 Khatlon (주도 Qurghonteppa)과 우즈베키스탄과 키르기즈스탄 사이 북부지역 페르가나 분지에 있는 Sughd(주도 Khujand) 이다. 1개 자치주는 동남부에 위치하고 이 나라 국토면적의 약 45%를 차지하는 Gorno-Badakhshan(또는 Kuhistoni Badakhshon, 주도 Khorugh)이며, 공화국 직할구는 수도가 포함되어 있는 중서부 지역의 Nohiyahoi Tobei Jumhuri(Regions of Republican Subordination) 이다(CIA, 2012). 주요도시의 인구는 Dushanbe 704천명(2009), Khujand 149천명, Qurghonteppa 85천명, Kulob 82천명, Ispara 41천명, Tursunjoda 37천명, Panjakent 33천명, Khorugh 28천명, Hissar 23천명이다. 인종구성은 타지크인 79.9%, 우즈벡인 15.3%, 키르기즈인과 러시아인이 각각 1.1%, 기타 2.6%로 되어있다(Table 1). 사용 언어는 타지크어가 공용어이고 타지크어는 페르시아어에 가까우며 민족적으로도 이란에 가깝다. 러시아어, 우즈벡어, 파미르 방언, 페르시아어도 사용되며, 특히 러시아어는 구소련의 영향을 받아 일반적으로 통용되고 있다. 

Table. 1. Ethnic composition in Tajikistan in 2000.

정부형태는 공화정이고 대통령이 국가원수이자 최고회의 의장이며 임기는 7년이다. 행정부의 수반은 수상이며 대통령이 지명한다. 국민 총생산액은 2011년 기준 구매력가격으로 164.3억 달러(교환가격 65억 달러)이고 1인당 GDP는 2,100불(구매력가격)이며, 수출액은 2011년 기준 17.6억불이고 수입액은 39.1억불로서 수입액이 훨씬 많다. 주요 수출품은 알루미늄, 전기, 면화, 과일, 식물성 기름, 직물 등이고 대상국은 터키(30.2%), 러시아(8.3%), 이란(7%), 대한민국과 중국(각각 6.7%), 아프가니스탄(6%), 이태리(5.2%) 등이다. 주요 수입품은 석유제품, 알루미늄 산화물, 기계 장비류 및 식료품 등이고 대상국은 중국(45.7%), 러시아(16.4%), 카자흐스탄(6.8%), 미국(4.1%) 등이다. 통화는 소모니(somoni)이고 환율은 1 달러에 4.544 소모니 이다(2011년). 타지키스탄은 전통적인 농업국가로서 농업이 경제의 축이며 농업생산이 GDP에 기여하는 비율이 21.4%로 높고 경제 인구 중 농업종사자 비율이 49.8% 로 매우 높다(Table 2).

Table. 2. GDP composition by sector and labour force by occupation.

농업환경

지형 및 지세

타지키스탄은 동서길이 700 km, 남북길이가 350 km 이고, 동경 67.31 ~ 75.14°, 북위 36.40 ~ 41.05° 사이에 위치하여 우리나라와 위도가 비슷하며 남쪽은 아프가니스탄, 서쪽은 우즈베키스탄, 북쪽은 키르기즈스탄, 동쪽은 중국 등 4개국과 국경을 접하고 있어 육지로만 둘러싸인(Fig. 1) 중앙아시아에서 가장 작은 나라이다(Novikov et al., 2002). 전체 국경선은 3,651 km이고, 이 중 중국과 414 km, 아프가니스탄과 1,206 km, 키르기즈스탄과 870 km, 우즈베키스탄과 1,161 km를 마주한다. 국토의 최저점(300 m, Syr Darya)과 최고점(7,495m, Qullai Ismoili Somoni)의 차이는 7,000 m를 상회하고, 중부지역은 알라이 산의 남쪽 자락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남동부에는 파미르 고원이 솟아있다(CIA, 2012). 타지키스탄의 북서부에는 더욱 많은 산자락이 있는데 Turkestani 산맥(북쪽 해발 3,500 ~ 4,000m 경사면에 만년설이 있다), Zeravshan 산맥, Hissar 산맥이 그들 중 일부이다. 또한 북쪽에는 Fergana 분지가 있는데 Kuramin 산록, Vakhsh와 Hissar 평원 및 Golodnaya 초원으로 둘러싸여 있다(ecogeodb). 타지키스탄에는 1,000개 정도의 많은 빙하가 있는데 주된 빙하지역은 서부 파미르고원에 집중되어 있고, 전체 국토면적의 6%를 차지하는 8,470 km²이며 그 중 페드첸코빙하가 길이 72 km, 평균깊이 800 m로서 가장 크다(ecogeodb). 서부 Fergana Valley는 북쪽 Kafirnigan과 남서쪽 Vakhsh valleys 사이에 있고, 국토의 중앙에는 키르기즈스탄에서 발원한 Vakhsh 강이 흐르며, 남쪽은 남 타지키스탄과 북아프가니스탄을 나누는 1,200여 km의 Pyanj 강이 흐른다(Worldmark Encyclopedia of Nations, 2007). 또한, 타지키스탄에는 1,300개의 호수가 산재하여 있으며, 내수면적은 2,590 km²이고, 이 중에서 해발 3,914m, 저수량 265억 톤의 Karakul 호수가 약 15%를 차지하는 380 km²이다(FAO, 1997).

Fig. 1. Map of Tajikistan.

농업지대

타지키스탄에서 작물재배지역은 대부분 해발 300 ~ 1,500 m에 위치하지만, 강우에 의존하는 농업이 부분적으로 해발 3,000 m 지역에도 이루어지고 있고, 파미르 지역에서는 해발 3,900 m 까지도 채소, 감자, 보리가 잘 자란다(Muminjanov, 2008). 2001년 아시아개발은행 프로젝트(ASAB, 2001)의 자문그룹은 타지키스탄의 농업부문을 평가하고 기후대를 보다 보편적으로 나눌 목적으로 타지키스탄을 4개의 농업기후대로 구분하였다. 제 1 농업생태지대는 해발 350-850m의 남부평야로서 겨울은 온화하고 여름은 무더우며 연간 강우량은 150-250 mm이다. 이 지대는 Khatlon주 대부분의 지역과 일부 구릉농업생태지대도 포함된다. 여기에서는 기본적으로 목화, 벼, 알팔파, 밀, 채소, 옥수수는 물론 레몬, 오렌지 같은 아열대 과수도 자란다. 관개면적이 320천 ha로서 대부분의 지역이 관개지역이다. 관개수는 Hissar 산맥의 빙하와 Alay 및 파미르 산맥에서 발원하는 큰 강인 Kofarnihon, Vakhsh 및 Pyanj 강으로부터 끌어 들인다. 제 2 농업생태지대는 해발 270 - 800 m의 북부계곡으로서 겨울은 춥고 여름은 무더우며 연간 강우량은 150 - 250 mm이다. 이 지대는 Sughd 주와 일부 구릉 농업생태지대가 속하며 Khatlon주와 마찬가지로 대부분의 관개지에 목화가 재배된다. 여기에서는 기본적으로 목화, 밀, 벼, 알팔파, 채소, 과수(주로 살구), 옥수수 및 수수를 재배한다. 관개수원은 북부 대부분의 지역은 Syrdarya 강이고, 서부지역은 Zeravshan 강이다. 또한 북동부 지역의 관개수원은 지하수이다. 제 3 농업생태지대는 해발 800-2,000m의 구릉지대로서 겨울은 매우 춥고 여름은 더우며 연간 강우량은 200-650 mm이다. 이 지대는 Khatlon 주와 Sughd 주의 일부, 공화국 직할구 및 Gorno-Badakhshan 자치주가 속한다. 주로 곡류, 감자, 과수, 멜론, 동아, 알팔파 및 옥수수가 재배된다. 비교적 적은 면적에만 관개가 이루어지고 아주 높이 물을 퍼 올려서 이용한다. 제 4 농업생태지대는 해발 2,000 m 이상의 산악지대로서 겨울은 매우 춥고 여름은 서늘하며 연간 강우량은 200 mm 이상이고 밀, 보리, 귀리, 감자 및 알팔파가 재배된다. 이 지대는 대부분 Gorno-Badakhshan 자치주가 해당되고 평야지와는 근본적으로 환경이 다르며, 문제는 경지의 부족뿐만 아니라 작물재배 기간도 짧다. 소련 시절에 이지대 사람들의 주요 활동은 축산이었고 사료는 타 지역에서 운반하였으며, 이곳에 가장 큰 목장이 있었으나 이제는 더 이상 사료가 운송되지 않고 농업개발의 기회가 제한되고 있다(Muminjanov, 2008).

기후

타지키스탄은 중고도 지역은 낮은 강수량과 높은 일조량을 갖는 대륙성 기후를 가지고 있고 고지대는 건조한 대륙성 극지기후를 나타낸다. 이 나라는 빙하가 수적으로 많을 뿐더러 차지하는 면적 또한 넓기 때문에 빙하의 수자원과 지형학적가치에 더하여 국지적인 기후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ecogeodb). 타지키스탄의 장기간[지역별 40(Haburabad) ~ 116년(Khujand)] 연 평균기온은 해발 1,000 m 미만인 지역은 14.4(Khujand) ~ 17.0℃(Shaartuz)로서 비슷한 위도에 있는 서울보다 높고, 영농철인 4월부터 10월까지 기온도 서울보다 높으나, 해발 1,300m 이상인 지역은 연 평균기온이 10.7℃(Garm, 해발 1,316m) ~ −6.9℃(Fedchenko glacier, 해발 4,169m)로서 현저히 낮고(Williams and Konovalov, 2012) 해발 2,500m 이상의 고지대는 영농을 할 수 있는 기간이 4개월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Table 3). 

Table. 3. Long term monthly mean air temperature for twelve cities in Tajikistan.

각 지역별 기상 데이터가 유효한 최근 5년간 연간 평균 강수량은 적게는 74 mm(Karakul, 해발 3,347 m)에서 많게는 1,164mm(Tavildara)이나(Williams and Konovalov, 2012) Garm 과 Tavildara 지역을 제외한 전 지역이 2003년 서울(1,994mm)은 물론 세계평균(880 mm)에도 훨씬 미치지 못한다. 타지키스탄의 강우는 우즈베키스탄이나 키르기즈스탄과 마찬가지로 기온이 낮은 겨울철에 발생하는데(Gwag et al., 2004, 2012) 주로 10월에서 이듬해 5월까지 집중되기 때문에 강우에 의한 농업은 매우 제한적이다(Table 4). 

Table. 4. Mid term monthly precipitation for twelve cities in Tajikistan.

수자원 현황

타지키스탄은 Syr Darya, Amu Darya, Zeravshan 및 Northeast 유역 등 네 개의 중요 강 유역으로 나뉘어 진다. Syr Darya 강 유역은 타지키스탄의 북서쪽이고 Syr Darya 강물의 약 78%가 키르기즈스탄 영토에서 생성되며, 타지키스탄에서는 단지 약 1%인 년 간 4억 톤 정도의 물이 이 강의 지류인 Khodzhabakirgan, Aksu, Isfara 및 Isfana 강에서 생성된다. Amu Darya 강은 약 82.5%의 강물이 타지키스탄의 영토인 Vakhsh 강, Pyanj 강 및 Kafirnigan 강에서 생성된다. Vakhsh 강은 북동쪽에서 남서쪽으로 가로질러 흐르는 타지키스탄에서 가장 큰 강이다. 이 강은 키르기즈스탄(이 나라에서는 Kyzyl Suu로 불림)에서 발원하고 집수지역은 해발 3,500m가 넘는 타지키스탄에서 가장 높은 지역이다. Pyanj 강은 타지키스탄과 아프가니스탄간 국경에서 형성되어 거의 국경전체를 흐르는데, Vakhsh 강과 합류하여 Amu Darya 강이 되고 타지키스탄을 지나 약 100 km를 흐른 후 아프가니스탄과 우즈베키스탄간 국경을 만든다. Kafirnigan 강은 Amu Darya 강의 또 다른 하나의 큰 지류인데, 타지키스탄에서 발원하여 Pyanj 및 Vakhsh 강과 합류 후 약 36 km를 흐른 후 Amu Darya 강으로 흘러들어 간다. Zeravshan 강은 타지키스탄에서 발원하고 현재 거의 모든 강물이 주로 관개수로 이용된다. 이 나라의 북동쪽 끝에 중국으로의 배수를 위한 좁은 강유역이 있는데 물의 량을 숫자로 표시하기가 어렵다(ecogeodb). 네 개의 중요 강 유역 수자원을 합친 타지키스탄의 전체 지표수 자원은 년 633억 톤으로 평가된다(Table 5)(FAO, 1997). 

Table. 5. Renewable surface water resources (RSWR) by major river basin in Tajikistan.

구소련시절 중앙아시아 5개국의 수자원은 Amu Darya 강과 Syr Darya 강 유역의 수자원 종합계획에 근거하여 분배되었다. 구소련에서 독립 후 1992년 수자원 조정을 위한 국가간 위원회의 설립으로 새로이 독립한 이들 국가들은 이지역의 수자원 전략을 준비하도록 결정했지만, 새로운 수자원 전략에 의해 제안될 수자원 분배협정이 채택되기 전까지 구소련시절 수자원 종합계획을 계속 존중하기로 했다. 타지키스탄에 대한 지표수자원 분배는 실제 흐르는 물의 량에 따라 계산되었다. 하지만 평균적으로 타지키스탄에서 쓸 수 있는 지표수 량은 년 130억 톤으로 고려되었다. 국내에서 생성되는 지하수는 년 60억 톤으로 평가되지만 그 중 30억 톤은 지표수와 중복된다. 또한 지하수를 채수할 수 있는 장비가 설치된 것은 22억 톤이다. 그래서 타지키스탄의 1년간 실제 가용 지표수 자원은 159억 8천만 톤으로 평가된다. 

타지키스탄에는 1,300개의 자연호수가 있고, 호수 전체면적은 705 km²이며 저수용량은 전체 약 500억 톤이다. 약 78%의 호수가 해발 3,500m 이상의 산악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가장 큰 호수는 Karakul 호인데 중국과 국경에서 가까운 동북쪽 지역 해발 3,914 m 높이에 있고 면적은 380 km²이며 저수용량은 265억 톤이다. 1994년에 타지키스탄에는 19개의 댐이 있었는데 이 중 5개는 Syr Darya 강 수계에, 14개는 Amu Darya강 수계(Vakhsh 강 7개, Pyanj 강 4개, Kafirnigan 강 3개)에 있는데 이들의 총 저수량은 약 290억 톤이고 면적은 934 km² 이다. 이 중 가장 큰 댐은 Vakhsh 강에 있는 Nurek 댐으로서 높이가 310 m로 세계에서 가장 높고(2005년 현재), 발전용량 2,700MW, 저수량은 105억 톤이며, 그 다음이 Syr Darya 강에 있는 Kayrakkum 댐으로서 저수량이 42억 톤이고, Kafirnigan 강의 Lower Kafirnigan 댐은 저수량이 9억 톤이다. 한편, Vakhsh 강에 건설 중인 Rogun 댐이 완공되면 높이가 335 m, 저수량이 116억 톤으로서 Nurek 댐을 능가할 것이다(FAO, 1997).

국토이용 및 관개

타지키스탄의 전체 국토면적 14,310천 ha 중 14,051천 ha가 육지 면적이고 나머지 259천 ha는 Syr Darya, Amu Darya, Zeravshan 강과 해발 3,914 m에 있는 Karakul 호수 등 내수면적이 차지하고 있다. 전체 국토면적의 33.2%인 4,750천 ha 가 농업생산에 이용되고 있고 이중에 742천 ha(전체면적 대비5.2%)는 경지면적이며, 3,875천 ha는 영구목초지로서 전체면적 대비 27.1%를 차지한다. 경지면적 중 94.6%인 702천 (1994년 719.2천 ha 대비 17.2천 ha 감소) ha가 관개면적이다(FAOSTAT, 2012)(Table 6). 

Table. 6. The structure of land in Tajikistan in 2009.

타지키스탄에서 관개는 농업발전과 국가경제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1960년 관개시설 면적은 약 408천 ha로 추정되었고, 1994년에는 전체 경지면적의 93.4%에 달하는 719.2 ha로 증가하였다. 2010년까지 36천 ha가 추가적으로 관개를 위해 개발이 적합한 것을 고려할 때 전체 관개가능 면적은 755.2천 ha로 평가된다. 전체 관개면적의 약 33% (240.2천 ha)는 Syr Darya 강 유역에, 또 67% (479천 ha)는 Amu Darya 강 유역에 있다. Amu Darya 강 유역 관개면적 중에서도 20천 ha는 Zeravshan 유역에, 49천 ha는 Kafirnigan 유역에, 18천 ha는 Pyanj 유역에, 나머지 392천 ha는 Vakhsh 유역에 있다(FAO, 1997).

타지키스탄의 1994년 전체 물소비량은 118억 7천만 톤으로 추정되었고 그중 92%가 농업용(관개 87.1, 가축 5.2), 3.5%가 가정용, 4.2%가 산업용으로 사용되었다. 전체관개 면적의 34.8%인 250천 ha는 강물을 양수하여 공급하지만, 그 외에는 강의 물길을 돌리거나 저수지로부터 중력에 따라 수로로 흘러보내는 관개를 하고, 약 68천 ha는 지하수를 이용했으며, 약 25천 ha는 재활용 물을 이용했다(FAO, 1997). 

1994년 전체 관수로 길이는 약 33,250 km 이었는데, 주 수로와 농장 내 수로 길이는 27,991 km 이었고, 그 중 38%는 콘크리트 수로이다. 농장의 수로 길이는 5,259 km 이었는데, 13.3%는 콘크리트, 21.9%는 파이프, 나머지 64.8% 맨땅으로 된 수로이었다. 1994년 관개효율은 강, 댐 등 관개원으로부터 관개포장까지를 고려할 때 관개수로에서의 누수와 분배시스템의 문제로 인하여 72%로 낮게 평가되었지만 이것은 이웃 국가인 우즈베키스탄과 키르기즈스탄의 관개효율(각각 40% 및 55%)에 비해 훨씬 높다(Gwag et al., 2004, 2012). 5천 ha 이상의 대규모 관개시스템이 670천 ha(93%)를 차지하는 반면 이보다 작은 규모의 시스템이 나머지 49.2천 ha(7%)를 차지한다. 관개재배를 하는 중요 작물은 목화, 사료작물, 과수, 곡류 및 채소이고, 이 중 목화, 과실 및 포도는 가장 중요한 수출작물이다. 1994년 관개재배 작물의 ha당 수량은 목화 1.91톤, 밀 0.85톤, 벼 1.17톤, 포도 3.01톤이다. 타지키스탄에서는 관개시설의 설치와 유지보수를 위한 비용이 강 하류에 있는 국가에 비하여 많이 드는데 주로 양수와 노후시설 개선에 드는 비용 때문이다. 관개시설 설치비용은 현대적 표준기술을 이용한 대규모 지표관개 시설일 경우 ha당 평균 10천~18천 달러이나, 미세 관개시스템을 추가할 경우 ha당 2.3천 ~ 3.5천 달러가 더 소요된다(FAO, 1997). 타지키스탄에서 최근 작물 윤작과 목화재배 면적 감소가 관개수의 소비를 감소시켰고, 소규모 농장에 적용되는 절수 기술도 개발했다(ecogeodb).

농업생산 및 교역

농업생산

타지키스탄에서 2010년 총 917,095 ha에 작물을 재배하여 4,683,463톤을 생산하였다. 재배면적은 식량작물(화곡류, 두류, 서류)이 487,888 ha(53.2%), 채소 60,461 ha(6.6%), 과수117,634 ha(12.8%), 특용작물 171,972 ha(18.8%) 및 사료작물 79,140 ha(8.6%) 이다. 이 나라는 주식이 빵이므로 밀 재배면적이 많은데 밀은 342,566 ha 면적에서 857,545톤을 생산하였고, 보리는 69,420 ha에서 116,399톤을 생산하였다. 벼는 14,854 ha에 재배하여 76,854톤을 생산하였고, 옥수수는 12,534 ha에서 151,061톤을 생산하였으며, 감자는 31,764 ha에서 760,139톤을 생산하였다. 채소는 총 60,461 ha에 재배하여 1,405,913톤을 생산하였는데 이중 수박은 20,951ha에서 482,393톤을 생산하였고, 양파는 15,000 ha에서 297,000톤을 생산하였다. 토마토는 13,200 ha에서 338,000톤을 생산하였으며, 당근과 순무는 6,000 ha에서 184,000톤을 생산하였다. 이 밖에도 오이, 양배추 등이 중요한 채소작물로서 비교적 많은 면적에 재배된다. 과수는 117,634 ha에서 355,099톤을 생산하였는데 과종별로 보면 사과가 재배면적이 가장 많아 38,000 ha에서 156,600 톤을 생산하였고, 그 다음이 포도로서 37,314 ha에서 124,299 톤을 생산하였다. 복숭아와 살구는 약 10,000 ha에 재배하여 각각 20,000톤과 21,000톤을 생산하였다. 이외에도 자두(7,400 ha)와 아몬드(4,700 ha)가 중요한 과수이다. 특용작물로서는 대부분 기름작물이 재배되고 있는데 171,972 ha에서 324,194톤을 생산하였다. 작물별로 보면 목화는 밀 다음으로 중요한 작물로서 162,428 ha에서 310,560톤을 생산하였고, 해바라기는 3,715 ha에서 6,834톤을, 잇꽃은 2,271 ha에서 981톤을 생산하였다. 이밖에도 땅콩(2,067 ha)과 유채 및 참깨가 일부(1,491 ha) 재배되고 있다. 사료작물은 전체 79,140 ha에서 564,000톤을 생산하였는데, 이 중 사일리지용 목초가 가장 많아 45,000 ha에서 85,000톤을 생산하였고, 옥수수는 31,900 ha에서 450,000톤을 생산하였으며, 호박은 1,300ha에서 8,500톤을 생산하였다(Table 7).

Table.7. Agricultural production in Tajikistan in 2010.

2009년에 생산된 농산물을 가격으로 보면 총 1,868백만 불인데 이 중 식량작물(화곡류, 두류, 서류)이 549백만 불(전체 대비 29.4%), 과수가 194백만 불(10.4%), 특용작물 225백만 불(12.0%), 채소 495백만 불(26.5%) 및 가축과 낙농이 405백만 불(21.7%)이다. 품물별로 보면 밀이 228백만 불(전체대비 12.2%)로서 생산액이 가장 많고, 그 다음이 우유로서 223백만 불(11.9%)이며, 감자가 201백만 불(10.8%)로서 전체 3위의 생산액을 가지는 품목이다. 수박(155백만 천불), 목화(137백만 불) 및 토마토(113백만불)가 생산액이 1억불이 넘는 품목이고, 이외에도 조면(83백만 불), 양파(79백만 불), 포도(74백만 불), 사과(61백만 불) 및 쇠고기(49백만 불)가 생산액으로서 중요한 품목이다(Table 8).

Table. 8. Agricultural production values in Tajikistan in 2009(current million US$).

2009년에 타지키스탄의 곡물, 과일, 채소, 당류, 식용유 등에 대한 수요와 공급 수지를 Table 9에서 보면 총 3,981천톤을 생산하고 1,337천 톤을 수입 및 266천 톤을 수출하여 총 5,052천 톤을 국내에 공급하였다. 식량, 과일, 채소, 식용유를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자급율은 78.8%로서 전통적인 농업국이고 농업에 종사자비율이 높으며, 농업부문이 차지하는 GDP의 비율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Table 2) 상당량의 밀, 쌀, 감자, 설탕, 식용유를 수입하고 있다. 식량작물은 생산이 1,996천 톤, 공급은 2,962천 톤으로서 자급율이 67.4%이며, 이 중 이 나라의 주곡인 밀(밀가루 포함)은 자급율이 50.1% (생산 938천 톤, 수입 939천 톤, 수출 3천 톤, 공급 1,874천톤)에 지나지 않은 실정으로서 농산물 무역역조의 대부분(물량기준 70.2%)을 차지한다. 쌀도 소비량의 21.2%에 해당하는 11천 톤을 수입한다. 과실은 353천 톤을 생산하여 143천 톤을 수출하고 211천 톤을 국내에 공급하여 자급율이 167.3%인데, 사과의 수출량이 98천 톤(전체작목 수출량의 36.8%)으로 가장 많다. 채소는 1,471천 톤 생산에 1,363천 톤을 공급하고 119천 톤을 수출하여 자급율이 107.9%이다. 기름작물은 수출입이 없이 자급을 하나, 설탕과 당류는 98%, 식용유는  82.7%, 기호식품 100%, 알콜 음료는 50%를 수입하여 국내수요를 충당한다. 

Table. 9. Crop primary balance in Tajikistan in 2009.

농산물 가공

소련해체 이후 1992년부터 1997년까지 내전으로 인한 식품가공 부문에서의 기계설비 부족과 노후화, 낮은 품질과 가공기술 부족 및 유통망이 미비하여 타지키스탄에서 농산물 가공은 매우 단조로운데 맥주 및 와인 제조, 조면 및 기름작물의 착유가 가공품의 대부분이다.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추이를 보면 면실생산과 해바라기 기름 착유량은 연차적으로 증가되었으나, 맥주 생산량은 감소하였고, 다른 품목은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Table 10). 

Table. 10. Agricultural processing in Tajikistan(Mt).

농산물 교역

타지키스탄은 전통적인 농업국가임에도 불구하고 주곡인 밀을 비롯하여 설탕, 닭고기, 식용유, 감자 등을 다량 수입하고 있는데, 재배기술과 투자부족 및 기계화의 미비 등이 어우러져 생산성이 낮아 많은 농축산물을 해외에서 수입하는 교역구조를 가지고 있다. 금액기준 20개 주요 수출입 물품의 물량과 금액을 보면, 전체 수입량은 1,242천 톤이고 금액으로는 407,462천 불이며, 수출량은 254천 톤이고 금액으로는 185,596천 불로서 수입액이 수출액보다 약 2.2배가 많다. 주요수입 농산물을 품목별로 보면 키르기즈스탄과 유사한 경향으로서(Gwag et al., 2012) 밀가루는 410천 톤을 수입하여 금액으로는 111,245천불로서 가장 많고, 밀은 413천 톤을 수입하여 71,790천 불인데 밀가루와 밀을 합칠 경우 수량은 823 천 톤, 금액으로는 183,035천불로서 물량으로는 전체의 66.3%, 금액으로는 44.9%를 차지한다. 세 번째로 수입액이 많은 품목은 정제설탕으로서 118천 톤에 35,000천불이며 설탕원료까지 포함하면 231천 톤에 69,000천 불이다. 초콜릿은 수입액 5위 품목으로서 14천 톤 수입물량에 금액이 26,292천 불이며, 이외에도 닭고기(물량 24천 톤, 금액 22,488천 불), 면실유(물량 37.5천 톤, 금액 19,700천 불), 해바라기유(물량 29 천 톤, 금액 15,000천 불), 과자류(물량 8천 톤, 금액 11,368 천 불)와 감자(물량 27.5천 톤, 금액 10,200천 불)가 수입금액이 큰 품목이다. 수출 품목도 키르기즈스탄과 유사한 경향인데 (Gwag et al., 2012)과일류가 많아서 건포도 등 9품목이 수출액 20위에 속한다. 주요 수출농산물을 품목별로 보면 조면이 63천 톤에 70,989천 불로서 수출액이 가장 많은 품목이고, 이어서 건과류가 41천 톤에 39,559천 불이며, 토마토가 60천 톤에 37,000천 불을, 건양파도 54.6천 톤에 15,161천 불 수출하였다. 이 외에도 건포도, 포도, 생과일, 과일주스 및 살구 등이 중요 수출농산물이다(Table 11).

Table. 11. Top twenty agricultural products trade in Tajikistan in 2009.

축산물 생산, 가공 및 교역

타지키스탄은 전통적인 목축국가로서 농촌지역은 물론이고 중소도시의 가구도 가축을 기른다. 2008년부터 2010년까지 가축 두수의 변동을 보면 전체적으로 년차간 증가추세를 보였는데, 2008년(46,533천두) 대비 2009년(48,182천두)은 3.5%가 증가되었고 2010년(54,368천두)은 무려 16.8%가 증가 되었다. 년 차간 감소 없이 꾸준히 증가된 축종은 소, 염소, 양, 토끼이고, 당나귀는 2009년에 감소되었다가 2010년에는 다시 증가되었으며, 물소는 년차간 변화가 없으며, 숫자가 얼마 되지 않지만 낙타와 말은 꾸준히 감소되었다. 숫자가 증가된 가축을 축종별로 보면 소는 2008년 1,702천 두에서 계속 증가되어 2010년에는 1,900천두로서 2년간 11.6% 증가하였고, 염소는 2008년 1,424천두에서 2010년 1,568천두로 같은 기간 동안 11.1% 증가되었으며, 양은 2008년 2,374천두에서 2010년 2,617천두로 같은 기간 동안 10.3% 증가되었다. 가축 중 숫자가 가장 많은 토끼는 2008년 40,767천두에서 2010년 48,003천두로 2년 동안 무려 17.8% 증가되어 전체 가축증가율의 상승에 영향을 크게 미쳤다. 닭은 2008년 3,280천수에서 2010년 3,939천수로 2년 동안 무려 20.1% 증가되어 전체 축산 종 중에서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고, 꿀벌은 같은 기간 동안 118.6천군에서 140천군으로 18%가 증가되었다(Table 12).

Table. 12. Numbers of livestock, poultry and beehive in Tajikistan.

축산물 1차 가공현황을 Table 13에서 보면 육류, 우유, 양모 등 전체 품목이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지속적으로 증가되었다. 육류 가공은 2008년 61.8천 톤에서 2010년 68.9천톤으로서 10.3%가 증가되었는데 축종별로 보면 양고기와 소고기는 같은 기간 동안 각각 10.2%(35.6→ 39.2천 톤)와 14.1%(25.1→ 28.6천 톤)가 증가한 반면 닭고기는 2009년에  4배 이상 큰 폭으로 증가되었다가 2010년에는 다시 큰 폭으로 감소되었다. 양고기와 소고기의 증가량은 Table 12에서의 개체 수 증가와 같은 경향을 보이나 닭고기는 정반대의 결과를 보이고 있는데 이것은 계란 생산량이 2008년 8.5천 톤에서 2009년 10.6천 톤 및 2010년 13.1천 톤으로 크게 증가한 것으로 보아 닭의 개체 수 증가는 육계는 줄고 산란계가 크게 증가함에 기인한 것으로 추측된다. 우유와 염소유는 2008년에 각각 548천 톤과 53천 톤에서 2010년에 602천 톤과 58.8천톤을 생산하여 각각 9.9%와 10.9%가 증가되었으며 년차 간 기복 없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양모, 양가죽 및 소가죽도 개체 수 증가에 따라 생산량이 꾸준히 증가하였고, 특히 벌꿀은 같은 기간 동안 무려 43.9%가 증가되었다. 

Table. 13. Livestock production primarily processed in Tajikistan.

2007년 축산물의 생산, 수출입 및 공급량을 보면 총 721천 톤을 국내에서 생산하였고 60.1천 톤을 수입하여 총 762천 톤을 국내에 공급하였다. 품목별로 보면 육류는 78천 톤 생산에 33천 톤을 수입하고 111천 톤을 공급하여 자급율이 70.3%이다. 육류 중에서 양고기와 염소고기는 국내공급량 37천 톤을 전량 국내에서 생산하였고, 소고기는 26천 톤을 국내에서 생산하고 1천 톤을 수입하여 총 27천 톤을 공급하였다. 닭고기는 4천 톤을 생산하고 공급량의 대부분(24천 톤, 국내소비량의 85.7%에 해당)을 수입하여 총 28천 톤을 공급하였으며, 돼지고기는 국내 공급량의 전량(8천 톤)을 수입했다. 

우유는 630천 톤을 생산하고 4천 톤을 수입하여 634천 톤을 공급하였으며, 동물성 지방은 국내에서 2천 톤을 생산하고 1천톤을 수입하여 3천 톤을 공급하였다. 계란은 11천 톤을 국내에서 생산하고 3천 톤을 수입하여 14천 톤을 공급하였다(Table 14). 

Table. 14. Livestock production, trade and domestic supply in Tajikistan in 2009.

농업개혁

타지키스탄에서 토지개혁과 농장개편에 대한 첫 번째 법률은 1992년 발표되었지만 실제로 토지개혁은 구소련 전 지역에서 항시 높은 생산성을 올린 부분인 가족농장 (household plot, 농촌주택에 딸려 있는 보통 2 ha 미만의 작은 경지로서 가족의 생계를 위하여 채소, 식량작물 등을 재배하며 잉여생산물은 시장에 팔기도 함, 법적으로 자연인)에 추가적인 토지를 분배하는 대통령 포고령과 함께 1995년에야 시작되었다. 동시에 1995 ~ 1996년에 타지키스탄은 가장 비효율적인 부문에서 생산성 향상을 기대하는 희망을 가지고 전통적인 집단농장과 국영농장의 재편도 추진하였다. 그러나 대부분이 표면적인 재편으로 인하여 효율창출에 실패하여 관심의 초점을 가족영농의 모델로서 농민농장(dehkan farms 또는 peasant farms, 20 ha 정도의 중규모 농장으로서 주로 목화, 밀, 채소 등 규모가 필요한 작물을 재배하며 법적, 물리적으로 가족농장과는 구분됨, 법적으로 법인)으로 전환하였다. 1999년 이후 농민농장은 주 농지 사용자로서 대부분의 공동농장, 유한책임회사, 임차기업, 공동주식회사, 농업협동조합을 대체해 왔다(Lerman Zvi and David Sedik, 2008). 2006년에 약 25,000개의 농민농장이 경지면적의 60%(약 530,000 ha)를 관리하였고, 나머지 40%는 가족농장과 대규모 농장기업으로 균등 분배하여 관리되고 있다(State Statistical Committee of the Republic of Tajikistan, 2007). 그러나 농민농장의 효율은 상대적으로 낮아서 2006년 작물생산액은 단지 34%를 차지한 반면에 20%의 경지면적을 가진 가족농장은 전체 작물생산액의 45%를 차지 했다. 가족농장은 축산부문에서도 89%의 육우와 94%의 유우를 보유하여 확실한 우위를 점하고 있고 2006년 가축생산액의 90%를 차지하였다. 따라서 구소련시절 우세했던 대규모 농장기업은 오늘날 더 이상 중요하지 않게 되었다. 타지키스탄에서 토지개혁은 가족농장과 농민농장에서 생산증가를 통한 농촌 가족 소득증대를 이끌었다. 이러한 부정할 수 없는 성과에도 불구하고 타지키스탄의 농업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이유 때문에 더욱 성공적인 토지개혁을 이룬 다른 CIS 국가들에 비하여 훨씬 성과가 낮다. 첫째 농업생산의 회복은 상대적으로 작은 토지규모인 전체 20%의 가족농장에 기반 한다는 점이다. 타지키스탄에서 아직 개혁되지 않은 농장(기업농장과 집단 농민농장)에서 농지 면적의 60%를 가지고 있다. 만약 농민농장과 농업기업이 2006년 가족농장에서와 같은 수준의 생산성을 달성했다면 이 나라의 농업생산이 114%가 높아졌을 것이다. 둘째는 타지키스탄에서 토지개혁은 잠재력을 다 발휘하지 못했는데 정부가 농장의 의사결정과정에 큰 행정적 간섭을 하기 때문이다. 타지키스탄에서 토지개혁이 그 잠재력을 발휘하지 못한 최종 이유는 토지개혁이 지속되지 못함으로서 오랜 기간이 필요한 농업, 농촌개발 및 자연자원 관리를 정부가 할 수 없도록 막은데 있다. 타지키스탄에서 비록 앞으로 개혁에 더 많은 단계가 필요하지만, 토지개혁은 농촌생계의 충분한 근원이 되는 실용적이고 지속가능한 농업을 건설하는 첫째 단계이다. 개혁의 첫 단계에서 실패하여 농업이 어렵고, 농촌인구가 식량불안정의 고비에 처하고 있으며, 또한 농업이 자연재해에 취약하고, 정부는 농업부문으로부터 거두어들일 적합한 세원이 없다. 타지키스탄 정부에서 매우 우려하는 응급상황과 기초생계 문제는 지원 국가들에 의해 해소가 되지만, 궁극적으로 농업부문 성장과 농촌 생계를 위한 중요한 토지개혁의 역할은 이행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Zvi Lerman and David Sedik, 2008).

농업기술 협력 현황 및 금후 추진방향

농업기술 협력 현황

2011년 타지키스탄 하원의장 일행이 한국의 선진 영농기술개발 경험을 공유하고 농업발전 전략을 논의하기 위하여 한국을 방문한 적이 있으나(농촌진흥일보, 2011) 현재까지 우리나라와 타지키스탄간 정부차원에서 농업기술에 관련된 협력은 거의 추진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민간부분에서는 1998년부터 타지키스탄에서 지역개발사업 활동을 하고 있는 굿네이버스 타지키스탄 지부가 낙후지역인 카마로브 지역 고유의 공동체성을 유지하면서 그들의 힘을 키워 지속적인 개발이 가능하도록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소득증대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전력공급난 해소를 위하여 굿네이버스-KOICA 협력사업으로 소수력발전소를 건설하기 시작하여 2011년 12월 민간단체지원사업을 통해 카마로브 지역 내 소수력발전소 1개소를 완공하였으며 2013년까지 계속 진행될 예정이다(Goodneighbors, 2012).

금후 농업기술 협력 추진방안

1. 농업기술 및 사회간접 자본 분야

타지키스탄은 소련연방에서 독립 후 연방내 상호의존적인 경제관계의 붕괴와 장기간('92 ~ '96년)의 내전으로 인하여(The library of congress, 2007) 연구시설 및 기자재의 노후화가 극심하여 자체 시험연구 수행능력이 미약한 실정이다. 따라서 양국간 연구예산 공동투자에 의한 연구 추진은 불가능하나 타지키스탄은 왜성 밀, 완두 등 여러 작물의 원산지이고 재래종을 포함한 많은 자원을 현지외 보존하고 있으므로 공동관심 작목의 유전자원 교류와 공동 활용연구가 필요하다. 여타 분야에 있어서는 우리의 농업기술을 지원하여야할 형편으로서 앞으로 중앙아시아 국가 중 가난한 국가인 타지키스탄의 경제 및 농업발전과 양국간 장기적인 협력관계 구축차원에서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구체적으로 농업기술 협력분야는 ① 이나라의 주식이지만 생산성이 낮아서 국내소비량의 50%를 수입하는 밀과 벼, 감자의 육종, 생산 및 가공기술, ② 국내소비량 전부 또는 대부분을 수입하는 돼지와 육계의 육종 및 사양기술, ③ 관개 및 배수의 효율화, ④ 농업기술자 및 과학자의 훈련 중 양국 상호간의 국익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과제를 발굴하여 우선순위를 정하여 추진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사회간접자본 분야는 ① 강 하류에 있는 국가에 비하여 많이 드는 관개시설의 설치와 유지보수, ② 농산물의 부가가치 증대와 수출을 위한 가공시설 구축, ③ 전기가 없어 낙후된 지역에 대한 소수력 발전소 건설에 협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2. 농산물 교역분야

타지키스탄은 우즈베키스탄이나 키르기즈스탄과 마찬가지로 일사량이 풍부하고 일조시수도 많으며 곡창지대인 Khatlon 주와 Sughd 주에는 관개수도 비교적 풍부하여 곡물, 채소, 과일등의 생산여건이 양호하나 밀 등 대부분의 주곡을 수입하고 있는 실정이다. 수출은 조면, 토마토, 건과류, 건양파, 건포도 등을 수출하고 있다. 그러나 국경이 다른 국가들로 둘러싸인 내륙국으로서 수출입 농산물의 해상운송이 가능한 항구까지는 운송비가 많이 들므로 수출경쟁력이 취약하다. 그러나 1차 가공하여 농업생산물의 부피를 줄이면 운송비를 줄일 수 있어서 값싼 노동력과 광활한 대지에서 생산한 일부 품목은 수출 경쟁력이 확보되기 때문에 우리의 수입대상 농산물로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타지키스탄에서 채소 중 수박(2만 ha), 양파(1.5만 ha) 및 토마토(1.3만 ha)는 재배면적이 비교적 많아 농민들의 구매능력만 확보된다면 우리 채소종자 수출의 가능성이 있으리라 본다. 현재까지 대 타지키스탄 농산물 관련 수출은 누에씨 수출실적이 일부 있으나(Exportcenter, 2012) 다른 품목은 거의 실적이 없는 실정이고, 수입 품목은 조면이며 농산물외에는 알루미늄을 수입하고 있다. 

3. 유전자원 분야

다양한 지리(평야지, 구릉지, 고산지), 고도(270 ~ 7,495 m), 토양형(스텝지대 등 7개) 및 기후(아열대~극지기후) 변이와 관련되어 타지키스탄에는 5,000종의 식물이 존재하며 이중 650종은 이 나라 고유종이다. 또한 타지키스탄은 왜성 밀, 완두, 알팔파, 참깨, 멜론, 무, 양파, 마늘, 사과, 배, 포도, 베리 류 등 50종의 작물 원산지이고 약 1,000점의 재래종을 포함한 총 5,317점의 자원을 현지외 보존하고 있고 식물원에서도 1,500종의 식물을 보존하고 있는데, 이 중 750종이 중앙아시아 고유종이다. 이렇듯 타지키스탄에는 여러 작물의 원산지로서 다양한 유전자원 특히 원산자원을 많이 보유하고 있으나 저장시설의 미비로 3년에 1회씩 증식하여 갱신을 해야만 하므로 노력과 비용이 많이 드는 것은 물론 그 과정에서도 자원이 많이 소실되므로(Muminjanov, 2008) 외부로부터의 도움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타지키스탄에서 필요한 도움을 주면서 이러한 작물들에 대한 유전자원을 확보하여 도입할 수 있다면 우리 유전자원의 유전적 다양성 증대에 크게 기여함은 물론 육종사업에 있어서 중요한 교배모본으로도 활용이 가능하리라 기대된다. 

사 사

본 논문은 농촌진흥청 시험연구사업(과제번호: PJ00937303)지원에 의해 이루어 진 것으로 이에 감사드립니다. 

Reference

1.CIA World Factbook entry on Tajikistan. 2012.
2.Exportcenter.2012. http://www.exportcenter.go.kr
3.FAOSTAT. 2012.
4.FAO. AQUASTAT-FAO's information system on water and agriculture. 1997.
5.Goodneighbors. 2012. http://gniblog.tistory.com/364
6.Gwag JG, EG Cho, HH Kim, MS Yun, SJ Seok, and CY Kim. 2004. Agricultural status in Republic of Uzbekistan. Korean J. Intl. Agri. 16(2): 150-161.
7.Gwag JG, HC Ko, MJ K, OS H, NY Ro, JH L, GT Cho, HJ Baek and YG Kim. 2012. Agricultural Status in Kirgyz Republic and Korean Strategies for Agriculture Technical Cooperation with Kirgyzstan. Korean J. Intl. Agri. 24(2): 188-202.
8.Lerman Zvi and David Sedik. 2008. The economic effects of land reform in Tajikistan. FAO regional office for Europe and Central Asia. Policy studies on rural transition No. 2008-1.
9.Muminjanov H. 2008. Country report for "State of plant genetic resources for food and agriculture (PGRFA) in the republic of Tajikistan".
10.Novikov V. and N. Safarov. 2002. State of the environment report. Research Laboratory for Nature Protection (Tajikistan).
11.State Statistical Committee of the Republic of Tajikistan. 2007. Agriculture in Tajikistan, statistical yearbook(in Russian).
12.The library of congress. 2007. Country studies. Tajikistan.
13. Website: http://www.ecogeodb.com/ECO.asp?PN=Geology&C=TJK
14.Williams, M.W. and V.G. Konovalov. 2012. Central Asia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Data, 1879-2003, Boulder, Colorad USA National Snow and Ice Data Center. Digital media.
15.Worldmark Encyclopedia of Nations. 2007. Tajikistan. Encyclopedia. com. 8 Feb. 2013.